$\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하계 독도연안의 수심별 수환경과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변화
Water Environments and Species Compositions of Phytoplankton at the Depths during Summer in the Coast of Dokdo,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7 no.1, 2009년, pp.48 - 57  

김미경 (영남대학교 해양과학연구센터) ,  박정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the species compositions of phytoplankton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marine ecosystem at the depths during summer in the coast of Dokdo (stations DOK1$\sim$3). The mean values of conductivity (32 mS cm$^{-1}$), total dis...

주제어

참고문헌 (27)

  1. 강용주, 강형구. 1992. 초여름 독도 근해에서의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기초 생산력. 섬연구회 논문집. 1:36-45 

  2. 김미경. 김영환. 1999. 일반조류학. 아카데미서적. 194pp 

  3. 김미경, 신재기. 2007. 독도 연안의 하계 수환경과 미세조류의 종조성 변화. Algae 22:193-199 

  4. 김미경, 신재기, 차재훈. 2004. 하계 독도 연안 해조류의 종조성 변동과 갯녹음현상. Algae 19:69-78 

  5. 독도연구보전협회. 1999a. 독도 해양환경.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해양수산부. 544pp 

  6. 독도연구보전협회. 1999b. 독도 인근해역의 환경과 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독도 연구총서 제4집. 253pp 

  7. 심재형.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34권 해양식물플랑크톤. 교육부 487pp 

  8. 심재형, 여환구, 박종규. 1992. 한국 동해 남부해역의 일차 생산계 I. 생물량과 생산력. 한국해양학회지. 27:91-100 

  9. 이진환, 백정현. 1996. 울릉도 및 독도의 식물플랑크톤에 관하여. 자연실태종합보고서. 10:243-257 

  10. 이진환, 장 만, 1996. 한국해산돌말(규조)도감. 자유아카데미. 서울. 109pp 

  11. 장선덕, 김종규. 1994. 측류판 표류실험에 의한 하계 울릉도.독도 근해의 해수류동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7:583-593 

  12. 정영호. 1981. 울릉도 및 독도의 식물성 플랑크톤.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221-228 

  13. 정지안, 조은영, 차재훈, 김미경, 김기태. 2000. 울릉도와 독도 근해해역의 이화학적 특성과 광합성 색소의 계절적인 변화. 환경생물. 18:425-440 

  14. 정지안. 2001. 울릉도.독도 근해 해역의 해양학적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인 변화. 영남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62pp 

  15. 정지안, 조은영, 차재훈, 김미경, 김기태. 2001. 울릉도.독도 근해의 환경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변화. AIgae 16:325-335 

  16. 좌종헌, 이준백. 2000. 제주도 분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 생태학적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5:59-69 

  17. 한국해양연구소. 2000. 독도 생태계 등 기초조사 연구. 해양수산부. BSPM 99045-00-1282-6. 1033pp 

  18. APHA, AWWA, 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Eaton AD, LS Clesceri and AE Greenberg eds.). Baltimore. USA 10:157 

  19. Fukuyo Y, H Takano, M Chihara and K Matsuoka. 1990. Red Tide Organisms in Japan-An Illustrated Taxonomic Guide. Uchida Rokakuho. Tokyo 

  20. Hallegraeff GM. 1991. Aquaculturists' Guide to Harmful Australian Microalgae. CSIRO 

  21. Jensen NG. 1984. The Pennate Diatoms. Strauss and Cramer GmbH. 918pp 

  22. Lee JH. 1994. Neurotoxin-producing diatom, Pseudonitzschia pungens Grunow f. multiseries Hasle, off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I. Morphological features. Korean J. Phycol. 9:125-150 

  23.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36-71 

  24.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n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5.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lllinoisw Univ. Press. Urbana. 177pp 

  26. Shin JK, MK Kim. CK Kang, SJ Hwang and MH Chung. 2003. Freshwater ecosystem (Mulkol) and periphytic algal biomas: in the Tok Island, Korea. Korean J. Limnol. 36:463-466 

  27. Strickland JDH and TR Parsons. 1972. A par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Bull. Fish. Res. Board. Can. 167: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