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이차전지용 Si/Cu/Graphite 복합체 음극의 전기화학적 거동
Electrochemical Behavior of Si/Cu/Graphite Composite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2 no.2, 2009년, pp.162 - 166  

김형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차전지연구센터) ,  정경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차전지연구센터) ,  조원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차전지연구센터) ,  조병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차전지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소 피복된 Si/Cu 분말을 기계적인 볼-밀링(ball-milling) 방법과 고온에서 탄화수소가스 분해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으로 사용하였고 이에 대한 전기화학적 거동을 조사하였다. 천연흑연(natural graphite)을 이용하여 탄소 피복된 Si/Cu/graphite 복합체 음극소재를 제조하였으며 천연흑연 음극소재와 전기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탄소 피복된 Si/Cu 음극의 가역적 비용량은 초기 10 싸이클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탄소 피복된 Si/Cu/graphite 복합체 음극의 가역적 비용량은 $0.25mA/cm^2$ 전류밀도에서 450mAh/g이고 초기 싸이클 효율은 81.3%로 나타났다. 복합체 음극의 싸이클 성능은 가역적인 비용량값을 제외하고 천연흑연 음극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rbon-coated Si/Cu powders were synthesized by mechanical ball-milling and hydrocarbon gas decomposition methods at high temperature. The carbon-coated Si/Cu powder was used as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its electrochemical behavior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arbon-co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8) 실리콘 소재의 합금화는 리튬과 실리콘과의 삽입반응을 제어함으로써 충/방전 중에 발생하는 과도한 부피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합금재료로는 철, 니켈, 구리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십 마이크로 크기의 Si와 Cu 입자를 아르곤 가스 분위기에서 기계적인 볼-밀링(ball-milling) 방법으로 합금화하고 고온에서 다시 탄화수소가스를 열분해하는 방법으로 탄소 피복된 Si/Cu 입자를 제조함으로써 실리콘계 소재 음극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천연흑연을 이용하여 리튬이 온전지용 탄소 피복된 Si/Cu/graphite 복합체 음극을 제조하여 이에 대한 전기화학적인 거동이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연이 모바일 디지털 융합기기에 사용할 음극 소재로 부족한 이유는? 최근에 상용 흑연전극을 대체하기위한 리튬이온전지용 음극개발이 활발히 연구 중에 있다.1-5) 흑연은 이론적인 용량의 한계로 인해 고용량을 요구하는 모바일 디지털 융합기기에 부응하는 음극소재로는 미흡하다. 따라서 새로운 고용량 소재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실리콘(Si)계 음극소재가 이론적인 용량이 약 4,200 mAh/g으로 흑연소재에 비해 10배 이상 크기 때문에 가장 유망한 소재로 대두되고 있다.
실리콘(Si)계 음극소재의 이론적인 용량은 무엇인가? 1-5) 흑연은 이론적인 용량의 한계로 인해 고용량을 요구하는 모바일 디지털 융합기기에 부응하는 음극소재로는 미흡하다. 따라서 새로운 고용량 소재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실리콘(Si)계 음극소재가 이론적인 용량이 약 4,200 mAh/g으로 흑연소재에 비해 10배 이상 크기 때문에 가장 유망한 소재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음극소재는 낮은 전기전도도와 지속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300%에 가까운 높은 부피 변화 때문에 싸이클 성능이 대단히 나쁘고 따라서 아직까지 상용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실리콘 음극소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가? 그러나 실리콘 음극소재는 낮은 전기전도도와 지속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300%에 가까운 높은 부피 변화 때문에 싸이클 성능이 대단히 나쁘고 따라서 아직까지 상용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 같은 실리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일환으로 실리콘의 합금화, 실리콘의 표면개질, 실리콘 복합체 등의 방법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6-8) 실리콘 소재의 합금화는 리튬과 실리콘과의 삽입반응을 제어함으로써 충/방전 중에 발생하는 과도한 부피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합금재료로는 철, 니켈, 구리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 Netz, R. A. Huggins, and W. Weppner, 'The formation and properties of amorphous silicon as negative electrode reactant in lithium systems', J. Power Sources, 119-121, 95 (2003) 

  2. I. Kim, G. E. Blomgren, and P. N. Kumta, 'Nanostructured Si/Ti $B_{2}$ Composite Anodes for Li-Ion Batteries', Electrochemical and Solid-State Letters, 6, A157 (2003) 

  3. Y. Liu, K. Hanai, J. Yang, N. Imanishi, A. Hirano, and Y. Takeda, 'Silicon/carbon composite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Electrochemical and Solid-State Letters, 7, A369 (2003) 

  4. P. Zuo, G. Yin, X. Hao, Z. Yang, Y. Ma, and Z. Gao,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Si/Cu/and Si/Cu/graphite composite anode',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104, 444 (2007) 

  5. G. X. Wang, J. H. Ahn, M.J. Lindsay, L. Sun, D. H. Bradhurst, S. X. Dou, and H. K. Liu, 'Graphite-Tin composites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97-98, 211 (2001) 

  6. H. Kim, K. Chung, and B. Cho,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arbon-coated Si/B composite an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89, 108 (2009) 

  7. N. Dimov, S. Kugino, and M. Yoshio, 'Carbon-coated silicon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 advantages and limitations', Electrochimica Acta, 48, 1579 (2003) 

  8. D. Q. Shi, J. P. Tu, Y. F. Yuan, H. M. Wu, Y. Li, and X. B. Zhao,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mesoporous Si/Zr $O_{2}$ nanocomposite film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Electrochemistry Communications, 8, 1610 (2006) 

  9. H. Kim, K. Chung, and B. Cho,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Structural Analysis of Carbon-Coated Silicon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J.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11, 37 (2008) 

  10. M. N. Obrovac and L. Christensen, 'Structural Changes in Silicon Anodes during Lithium Insertion/Extraction', Electrochemical and Solid-State Letters, 7, A93 (2004) 

  11. X. Q. Yang, J. McBreen, W. S. Yoon, M. Yoshio, H. Wang, K. Fukuda, and T. Umeno, 'Structural studies of the new carbon-coated silicon anode materials using synchrotron in situ XRD', Electrochemistry Communications, 4, 893 (2002) 

  12. H. Li, X. Huang, L. Chen, G. Zhou, Z. Zhang, D. Yu, Y. Mo, and N. Pei, 'The crystal structural evolution of nano-Si anode caused by lithium insertion and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Solid State Ionics, 135, 181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