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자력 자료를 이용한 황해 군산분지의 지질 구조 해석
Analysis of a Structure of the Kunsan Basin in Yellow Sea Using Gravity and Magnetic Dat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0 no.1, 2009년, pp.49 - 57  

박계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실) ,  최종근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구준모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권병두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해 군산분지 지역의 지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2006년 획득한 선상 자력 자료와 Scripps 해양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고도계위성중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중력자료에 대해 파워스펙트럼 분석과 심도역산이 수행되었고, 자력자료 분석을 위해 분석신호기법과 가중력변환 및 이에 대한 역산을 수행하였다. 중자력 자료 분석 결과 남 중소분지 중심부로 갈수록 기반암 심도가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며, 기반암의 심도는 깊은 곳에서 6-8km, 낮은 곳에서 약 2km로 해석되었다. 또한 남중소분지 중심부이서 기반암 심도와는 달리 중력이상과 자력이상이 높지 나타나는 것은 주변 기반암보다 밀도가 높은 화성암의 관입에 의한 효과로 해석되며, 이는 동일지역에서 수행된 정밀 탄성파 해석 결과와 잘 부합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a structure of the Kunsan basin in the Yellow Sea using ship-borne magnetic data and altimetry satellite-derived gravity data provided from the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in 2006. The gravity data was analyzed via power spectrum analysis and gravity inversion, and the magnetic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황해 배타적 경제수역 내 군산 분지와 주변 지역의 해상자력탐사자료와 인공위성중력 자료 및 선행연구 자료들을 이용하여 군산분지의 기반암 구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다 정밀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자력 자료의 기본적인 보정을 수행한 후 심도 역산, 파워스펙트럼 분석 (power spectrum analysis), 분석신호기법 (analytic signal) 등의 다양한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중력자료와 자력자료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포아송 관계식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구자학, 자력분포를 토대로 한 한국 황해 구역의 지구물리학적 해석연구. 1974, 대한광산학회지, 11, 79-81 

  2. 권병두, 권재월, 이희순, 1990, 다중 이차곡면 방적식을 이용한 중력자료의 지형보정. 한국지구과학회지, 11, 156-165 

  3. 김경오, 오재호, 2007, 인공위성 해면고도계 중력자료를 이용한 황해 군산분지의 밀도 불연속면에 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40, 751-759 

  4. 박관순, 강동효, 신영재, 신재봉, 2005, 황해 군산 분지 서부해역의 지구조 발달, 지질학회지, 41, 141-155 

  5. 박계순, 류희영, 양준모, 이희순, 권병두, 엄주영, 김종오, 박찬홍, 2008, 포텐셜 자료해석을 통한 화산칼데라 구조 해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9, 1-12 

  6. 박계순, 이희순, 권병두, 2005, 고정밀 중력 탐사을 위한 3차원 중력 지형 역산 기법. 한국지구과학회지, 26, 691-697 

  7. 선우돈, 김경오,강무희, 오재호, 정태진, 이영주, 2005 황해 군산분지의 구조 발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317-319 

  8. 신재봉, 박관순, 신영재, 강동효,2005, 국내 대륙붕 군산분지 제2광구의 탄성파 구조해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눈문집, 9, 72-83 

  9. 이현주, 정대교, 허식, 2001, 군산분지 내 남중소분지의 분지형성 및 충서 연구. 한국석유지질학회 2001년도 제8차 학술발표회 발표눈문집, 66-70 

  10. 이호영, 황인걸, 최성자, 권영인, 손병국, 신국선, 2005, 황해 군산분지 시추공들의 지질시대. 한국고생물학회 2005년 21차 학술발표회 발표 눈문 초록, p. 146 

  11. 정태진, 오재호, 선우돈, 이영주, 김경오, 강무희, 2005, 중국 동부 및 황해 퇴적분지의 지질 개요. 한국석유지질학회 2005년 제12차 학술발표회 초록집, 78-93 

  12. 최광선, 옥수석, 서만철, 최영섭, 김백수, 2000, 황해 남부 에서의 선상중력 자료 획득 및 처리에 관한 고찰. 지구물리, 3, 291-310 

  13. Blakely, R.J., 1995, Potential theory in gravity and magnetic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441 p. 

  14. Choi, S.C., 2004, 3D density modelling of the Yellow sea sedimentary basin.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7, 283-291 

  15. Levenberg, K., 1944, A method for the solution of certain nonlinear problems in least squares. Quarterly of Applied Mathematics, 2, 164-168 

  16. Marquardt, D.W., 1963, An algorithm for least-squares estimation of nonlinear parameters.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11, 431-441 

  17. Nabighian, M.N., 1972, The analytic signal of two-dimensional magnetic bodies with polygonal cross-section: Its properties and use for automated anomaly interpretation. Geophysics, 37, 507-517 

  18. Nabighian M.N., 1974, Additional comments on the analytic signal of two-dimensional magnetic bodies with polygonal cross-section. Geophysics, 39, 85-92 

  19. Nabighian, M.N., 1984, Toward a three-dimensional automatic interpretation of potential field data via generalized Hilbert transforms - Fundamental relations. Geophysics, 49, 780-786 

  20. Sandwell, D.T. and Smith, w.H.F., 1997, Marine gravity anomaly from Geosat and ERS 1 satellite altimet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2, 10039-10054 

  21. Tomoda, Y, 1960, Thickness of the earth's crust from bouguer anomaly static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Japan, 6, 47-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