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후요인에 의한 제주도 토양분포
Regional Soil Distribution in Jeju Island by Climatic Factor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2 no.5, 2009년, pp.348 - 354  

문경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임한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현해남 (제주대학교 생물자원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요인과 토양분포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온, 강우량, 증발산량 등 기후요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중심지역의 Mesic상 지역과 주변부의 Thermic상 지역으로 구분하고, 월별 수분수지빈도를 기준으로 4개로 구분하여, 온도, 수분수지로 전체를 온대수분과 다지역(집단1), 난대수분과다지역(집단2), 난대수분균형지역(집단3), 난대수분부족지역(집단4), 난대수분매우부족지역(집단5)의 5개의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집단1에서 집단5로 갈수록 토양분류측면에서는 andisols, inceptisols, alfisols, ultisols의 분포 비중이, 토색측면에서는 흑색토양, 농암갈색토양, 암갈색토양의 분포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relationship soil distribution and climatic factors using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maps in Jeju island. The whole area was divided into 5 groups - mesic high moisture region(group1), thermic high moisture region(group2), thermic balanced moisture region(group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대표적인기후인자인 기온, 강우량, 증발산량의 분포를 작성하여 지온, 수분 상태 등의 기후요인을 유도하고 이것과토양통 분포를 공간적으로 결합하여 해석하고 적합한구분방법을 제시하고 제주도 화산회 토양의 형성에 대한 정량적인 해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len, R., L. Pereira, D. Raes, and M. Smith.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FAO) 

  2. Chae, S. S. and D. T. Lee. 1972. Studies on the genesis and classification of volcanic black soil in Chejudo. Res. Rep. Office Rural Devel. 14:27-38 

  3. Choi, S. H. 1992. Geological structure and groundwater resources in Cheju and Ohau island. Korean Soc. Eng. Geol. 2:70-91 

  4. Dahlgren, R.A., J.L. Boettinger, G.L. Huntington, and R.G. Amundson. 1997. Soil development along an elevational transect in the western Sierra Nevada, California. Geoderma. 78:207-236 

  5. Hyun, B. K., Jung Y. T., Hyun K. S., Moon K. H., Song K. C., Sonn Y. K., Zhang Y. S., Park C. W., Hong S. Y., Kim L. H., Choi E. Y. and Jang B. C. 2009. A Study on the lava terraces with different elevationin Jeju. Korean J. Soil Sci. & Fert. 42:88-97 

  6. Lee, S. H. 1999.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Cheju Island . J. Korean Geog. Soc. 34:123-136 

  7. McBratney, A.B., I.O.A. Odeh, T.F.A. Bishop, M.S. Dunbar, and T.M. Shatar. 2000. An overview of pedometric techniques for use in soil survey. Geoderma. 97:293-327 

  8. Minasny, B., A.B. McBratney, and S.a. Salvador-Blanes. 2008. Quantitative models for pedogenesis -- A review. Geoderma. 144:140-157 

  9. Moon, H. S. 1989. A Comparative Study of Climate in Cheju and Sogwipo. Geog. Studies 4:51-73 

  10. Moon K. H., Lim H. C. and Hyun H N. 2007. Distribution of Soil Series in Jeju Island by Proximity and Altitude. Korean J. Soil Sci. & Fert. 40(3):221-228 

  11.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000. Detailed soil map(Chejudo) 

  12.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2000. Taxonomic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13. Shin, J. S. 1978. Composition and genesis of volcanic ash soils derived from basaltic materials in Jeju Island(Korea). Ph.D. Thesis. State Univ. of Ghent. Belgium 

  14. Soil Survey Staff, USDA, NRCS. 2003. Keys to soil taxonomy. ninth edition 

  15. Song, K. C. and S. H. Yoo. 1991.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 I. Characterization of volcanic ash soils by selective dissolution analysis. J. Korean Soc. Soil Sci. Fert. 24:85-94 

  16. Yun, J. I. 1990. Agricultural Climatology of Cheju Island. Korean J. Crop Sci. 35:504-511 

  17. Yun, J. I. 2004. Visualization of Local Climates Based on Geospatial Climatology. Korean J. Agric. Forest Meteo. 6(4):272-289 

  18. Zhang, Y. S., Sonn Y. K., Park C. W., Jung S. J., Lee G. J., Kim M. S., Kim S. K., Lee J. Y. and Pyun I. H. 2006. Clay mineral composition of the soils derived from residuum and collouvium. Korean J. Soil Sci. & Fert. 39:245-2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