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년 동안 국립농업과학원 연구포장에서 벼 등 14개 작물의 수확지수와 작물의 지상/지하부 비율을 산출하여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작물 부위별 탄소 고정량을 분석하고, 농림수산식품부 농업통계의 2002~2006년 작물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5년 평균한 통계 값을 이용하여 국내 재배 작물의 탄소 고정량을 산출하였다. 이와 같이 작물의 탄소 고정량을 통해 농경지에서 탄소 수지, 토양 유기탄소 축적량 그리고 잔사 소각으로 인한 대기 오염 평가 등을 위해 농업의 탄소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의 연구 결과, ha 당 작물별 총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감자가 16.5 톤으로 가장 많았고, 벼 10.5톤, 고구마 8.7 톤, 마늘 7.5 톤 이었고, 대파가 2.8 톤으로 가장 적었다. 수확지수는 벼, 보리, 콩 등 곡류에서 0.44~0.49 정도였고, 참깨, 들깨, 땅콩과 유채 등 유료작물은 0.1~0.37이였으며, 과채류의 수박과 고추는 각각 0.85와 0.28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서류작물인 고구마와 감자는 0.85~0.89, 당근, 마늘 그리고 대파 등 기타채소류는 0.7 이상이었다. 농작물체의 부위별 탄소 고정량은 전반적으로 수확 대상이 되는 식용부분이 경 엽과 뿌리 부위보다 높았으며 탄소 고정량은 유지류, 곡실류, 과채류, 서류 순이었다. 작물별 ha당 탄소량은 감자가 6.4 톤으로 가장 많고, 벼는 4.2 톤, 고구마 3.4 톤, 유채 2.9 톤, 마늘 2.8 톤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14개 작물의 탄소량은 벼는 전라남도에서, 겉보리는 경상남도, 콩과 참깨는 전라남도, 들깨는 충청남도, 땅콩은 경북에서, 유채는 제주도, 서류인 고구마가 경기도 그리고 감자는 강원도에서 많았다. 채소류는 당근이 제주도, 그리고 마늘과 대파는 전라남도에서 많았고, 고추와 수박은 경남에서 가장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 fixation and density of crops are important to estimate carbon uptake or emission by agricultural production activities and to establish life cycle inventory of crops for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In this study, regional carbon fixation and density in each part of 14 crops, harv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작물별 수확지수는 뿌리부분을 제외한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하였다. 대파가 0.
  • 또한 농림통계연보의 농작물 재배면적과 수확량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시 . 도별 작물의 탄소량을 파악하고 농업의 탄소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시험지 개황 농경지의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작물의 부위별 탄소 고정량의 조사 . 분석을 위하여 2003 년부터 2007년까지 경기도 수원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연구포장(37°15'22"N, 126° 59'24.
  • 그리고 작물 부위별 탄소 고정량을 분석하고, 농림수산식품부 농림통계연보의 2002〜2006년 작물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5년 평균한 통계 값을 이용하여 국내 재배 작물의 탄소 고정량을 산출하였다. 이와 같이 작물의 탄소 고정량을 통해 농경지에서 탄소 수지, 토양 유기탄소 축적량 그리고 잔사 소각으로 인한 대기 오염 평가 등을 위해 농업의 탄소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lesdent, J. and M. Balabane. 1996. Major contributions of roots to soil carbon storage inferredfrom maize cultivated soils. Soil Biol.Biochem. 28:1261-1263 

  2. Bruce, J., M. Frome, E. Haites, H. Janzen, R. Lal, and K. Paustian. 1998. Carbon sequestration in soils. J. Wat. Conserv. 54: 382-389 

  3. Cambell, C.A., H.H. Janzen, K. Paustian, E.G. Gregorich, L.Sherrod, B.C. Liang, and R.P. Zentner. 2005. Carbon Storage in Soils of the North American Great Plains: Effent of Cropping Frequency. Agonim. J. 97:349-363 

  4. Desjardins, R.L., W.N. Smith, B. Grant, C.A. Campbell, and R.Riznek. 2005. Management strategies to sequester carbon in agricultural soils and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 Climate Change. 70:283-297 

  5. Donald, C.M., and J. Hamblin. 1976. The biological yield and harvest index of cereals as agronomic and plant breeding criteria. Adv. Agron. 28:361-405 

  6. Follett, R.F., 2001. Soil management concept and carbon sequestration in cropland soils. Soil and tillage research. 61: 77-92 

  7. Gregorich, E.G., P. Rochette, A.J. VandenBygaart and D.A. Angers.2005. Greenhouse gas contribution of agricultual soils and potential mitigation practice in Eastern Canada. Soil and Tillage research. 83:53-72 

  8. Heal, O.W., Anderson J.M., Swift M.J.. 1997. Plant litter quality and decomposition: An historical overview. In Cadisch G and Giller KE (Eds.), Driven By Nature. Plant Litter Quality and Decomposition. pp 3-30.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9. Hutchinson, J.J., C.A. Cambell, and R.L. Desjardins. 2007. Some perspectives on carbon sequestration in agricultur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2: 288-302 

  10. IPCC. 1995. WMO/UNEP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econd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1995.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1. IPCC. 1996. Revised IPCC guideline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Reference Manual, revised in 1996, IPCC 

  12. IPCC. 2001. A Report for Working group I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3.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Penman J., Gytarsky M., Hiraishi T., Krug T., Kruger D., Pipatti R., Buendia L., Miwa K., Ngara T., Tanabe K., Wagner F.,(Ed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IPCC/IGES, Hayama, Japan 

  14. Puget P. and L.E. Drinkwater. 2001. Short-Term Dynamics of Rootand Shoot-Derived Carbon from a Leguminous Green Manure. Soil Sci. Soc. Ad. J. 65:771-779 

  15. Silver W.L. and R.K. Miya. 2001. Global patterns in root decomposition: comparisons of climate and litter quality effects. Oecologia 129:407-19 

  16. The marrakesh accords and the marrakesh declaration. 2001. 2nd plenary meeting 2 November 2001 

  17. Thomson, A.M., R.C. Izaurralde, N.J. Rosenberg, and X. He. 2006.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e and soil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in the Huang-Hai Plain of China.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14: 195-209 

  18. Yahai, L., A. Watanabe, and M. Kimura. 2003. Carbon dynamics of rhizodeposits, root- and shoot-residues in a rice soil. Soil Biol Biochem 35:1223-1230 

  19. 농림부. 2002, 2003, 2004, 2005, 2006. 농림 통계연보. p.96-1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