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체영상 가시화를 위한 자동 피사계 심도 조절기법
Automatic Depth-of-Field Control for Stereoscopic Visualization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2 no.4, 2009년, pp.502 - 511  

강동수 (인하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과) ,  김양욱 (홍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박준 (홍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신병석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컴퓨터그래픽스에서 실세계의 피사계 심도를 표현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피사계 심도는 초점이 맺히는 초점평면을 기준으로 초점거리보다 가깝거나 멀 경우 렌즈와 조리개의 특성에 따라 해당부분이 흐리게 표현되는 현상이다. 이것을 이용하면 사람의 눈처럼 수정체에 의한 아웃 포커스 현상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감 있는 영상 표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eye-tracking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착안점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GPU기반의 피사계 심도 조절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입체영상을 볼 때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은 사용자의 초점을 강제로 조정하기 때문에 장시간 입체영상을 보면 어지럼증 등 부작용이 나타난다. 제안하는 기법은 눈동자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입체영상의 피사계 심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작용 저감이 가능하며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imulate a depth-of-field effect in real world, there have been several researches in computer graphics field. It can represent an out-of-focused scene by calculating focal plane. When a point in a 3D coordinate lies on further or nearer than focal plane, the point is presented as a bl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연구들은 양안시차를 수작업으로 조절하는 기능만 제공하며 인지기능과 연동해서 실시간으로 자동 조절하지 않는다. 논문에서는 시각적 부작용의 해결방법으로 사람의 눈동자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입체영상을 실시간을 생성하는 자동 피사계 심도 조절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유사한 연구로는 eye-tracking을 대신해 마우스와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위치로 포인터를 이동시켜 피사계 심도를 적용하는 시스템이 있다[41 하지만이 것은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위치를 보고 있는지만 알 수 있을 뿐 생성된 장면에서 어느 깊이의 초점평면을 바라보고 있는지 계산하지 못한다.
  • 기존의 유사한 연구로는 eye-tracking을 대신해 마우스와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위치로 포인터를 이동시켜 피사계 심도를 적용하는 시스템이 있다[41 하지만이 것은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위치를 보고 있는지만 알 수 있을 뿐 생성된 장면에서 어느 깊이의 초점평면을 바라보고 있는지 계산하지 못한다.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두 눈동자의 움직임을 동시 에 주적하여 양안시차를 계산하는 eye- tracking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피사계 심도는 양쪽 눈에 대해서 만들어진 각각의 단안영상을 착란원(circle of confusion)에 따라 적절히 몽롱화시킨 영상(blurred image)으로 대체하여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사람이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또한 그림 11의 (b)와 유사한 화질을 보이며, 그림 11의 (a)보다 부드러운 영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체영상 시청시의 부작용 저감과 몰입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12명의 사용자그룹으로부터 일반 입체영상과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각각 체험하게 한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주관적 평가방법인 ITU-R 권고안 BT.
  • 본 논문에서는 입체영상을 피사계 심도와 eyetracking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입체영상시청 시 느끼는 부작용을 저감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두 눈의 눈동자 움직임을 동시에 추적하여 양안시차를 계산하는 eye-tracking 시스템을 제작하여 해결하였고, 이를 피사계 심도와 연동하여 사용자 중심의 피사계 심도 조절이 가능한 실시간 렌더링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 Hodges, "Tutorial: Time-Multiplexed Stereoscopic Computer Graphics," 

  2. D. Paul and L.R. Jamesr, "Circumventing Side Effects of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HCI international 1997, Vol.21B, pp. 893-896, 1997. 

  3. B. Judy, Side Effects of Virtual Environ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DSTO Information Sciences Laboratory, 2003. 

  4. H. Sebastien, L. Anatole, C. Remi, and C. Gery, "Depth-of- Field Blur Effects for First-person Navig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Proceedings of the 2007 ACM symposium on Virtual Reality Software and Technology, pp. 203-206, 2007. 

  5. C.H. Morimoto and M.R. Mimica, "Eye Gaze Tracking Techniques for Interactive Applications," Computer Vision and Image Understanding, pp. 4-24, 2005. 

  6. Q. Ji and Z. Zhu, "Eye and Gaze Tracking for Interactive Graphic Display," Machine Vision and Applications, Vol.15, pp. 139-148, 2004. 

  7. K.N. Kim and R.S. Ramakrishna, "Vision-Based Eye-Gaze Tracking for Human Computer Interface," IEEE Systems, Man, and Cybernetics '99, Vol.2, pp. 324-329, 1999. 

  8. Y.M. Kwon, K.W. Jeon, J. Ki, Q.M. Shhab, S. Jo, and S.K. Kim, "3D Gaze Estimation and Interaction to Stereo Display," 

  9. M. Potmesil and R.V. Liere, "Synthetic Image Generation with a Lens and Aperture Camera Model,"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Vol.1, pp. 85-108, 1982. 

  10. J. Demers, Depth of Field: A Survey of Techniques, GPU Gems 3, Fernando R.,(Ed), Addison Wesley, pp. 375-555, 2004. 

  11. B.A. Barsky, D.R. Horn, S.A. Klein, J.A. Pang, and M. Yu, "Camera Models and Optical Systems Used in Computer Graphics : Part I and II," Computational Science and Its Applications(ICCSA) 2003, Vol.2669, pp. 246-265, 2003. 

  12. B. Marcelo, F. Pere, and S.C. Daniel, "Real-Time, Accurate Depth of Field using Anisotropic Diffusion and Programable Graphics Card," 3D Data Processing, Visual and Transmission(3DPVT) 2004, pp. 767-773, 2004. 

  13. B.A. Barsky, "Vision-realistic rendering: Simulation of the Scanned Foveal Image from Wavefront Data of Human Subjects," Proceedings of Symposium on Applied Perception in Graphics and Visualization, pp. 73-81, 2004. 

  14. M. Kraus and M. Strengert, "Depth-of-Field Rendering by Pyramidal Image Processing," EUROGRAPHICS 2007, Vol.26, No.3, pp. 645-654, 2007. 

  15. S. Adelson and L. Hodges, "Stereoscopic Ray Tracing," The Visual Computer, pp. 127-144, 1993. 

  16. L. Hodges, "Tutorial: Time-Multiplexed Stereoscopic Computer Graphics," 

  17. S. Patoor and M. Wopking, "3-D Display: a Review of Current Technologies," Displays, Vol.17, pp. 100-110, 1997. 

  18. A.J. Woods, "Optimal Usage of LCD Projectors for Polarised Stereoscopic Projection Stereoscopic Projection," Proceedings of Stereoscopic Displays and Virtual Reality System VIII, Vol.4297, pp. 5-7, 2001. 

  19. J.E, Melzer and K. Moffitt, Head Mounted Display: Designing for the User, New York, Publisher: McGraw-Hill, 1997. 

  20. M. Halle, "Auto stereoscopic Displays and Computer Graphics," Computer Graphics on Proceeding of SIGGRAPH' 97, pp. 58-62, 1997. 

  21. F.L. Hodges, "Tutorial: Time-Multiplexed Stereoscopic Computer Graphics," IEEE Computer Graphics & Applications, pp. 20-30, 1992. 

  22. ITU-R Rec. BT. 500-11, Methodology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Television Pictures, Geneva,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