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진국 토양오염 기준의 역할과 기준항목 설정방법
Role and Contaminant Selection Methods of Soil Quality Standards in Developed Countrie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4 no.1, 2009년, pp.18 - 28  

정승우 (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안윤주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김태승 (국립환경과학원 토양지하수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 각국은 토양환경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각국의 상황에 적합한 토양오염기준을 운영하고 있다. 본 총설은 각국의 토양환경관리 정책에서 토양오염기준의 역할과 토양오염기준 항목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토양기준은 토양오염여부를 일차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Guideling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기준치가 오염여부 판단과 관련 행정명령의 지표인 Standard로 활용하고 있는 나라는 스위스, 덴마크, 일본 등이었다. 네덜란드는 Guideline과 Standard를 혼용하고 있었다. 토양오염기준 물질선정은 현장에서 검출빈도수가 높은 토양오염물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독성, 노출, 분석의 용이성, 독성자료의 가용성 등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각 나라는 자국의 토양환경정책 및 기준 설정에 있어 자국의 상황을 고려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countries have recently established legal regulations and soil quality standards for soil prote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soil quality standards in soil protection policy and methods of selecting standard substances from various types of chemicals. In most countries, soil qua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진국의 토양오염기준의 역할은 자국의 상황과 토양법의 토양환경관리 정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총설에서는 각국 토양 관련법에 의한 토양환경관리에서 토양오염기준의 역할을 중점적 3 분석하였다. 또한 수많은 화학물질 중에서 토양오염기준 항목을 설정하는 방법에 초점을 두고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총설에서는 각국 토양 관련법에 의한 토양환경관리에서 토양오염기준의 역할을 중점적 3 분석하였다. 또한 수많은 화학물질 중에서 토양오염기준 항목을 설정하는 방법에 초점을 두고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총설은 “우선 관리대상 토양오염물질 선정연구(국립환경과학원, 2007)”를 바탕으로 상기 총설 목적에 따라 재정리한 것이다.
  • 또한 수많은 화학물질 중에서 토양오염기준 항목을 설정하는 방법에 초점을 두고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총설은 “우선 관리대상 토양오염물질 선정연구(국립환경과학원, 2007)”를 바탕으로 상기 총설 목적에 따라 재정리한 것이다.
  • 설정하는 특징이 있다. 즉 현장에서 검출빈도수가 높은 물질들을 대상으로 기준항목을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국의 토양오염기준의 역할은 토양오염여부를 판단해주는 가이드라인이며, 이후 정밀조사 및 위해성평가를 거쳐 확정되는 복원목표치 (Primary Remedial Goal)가 법적 및 행정적 효력이 있게 되므로 가능한 많은 물질 항목에 대해 가이드라인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국립환경과학원, 2007, 우선관리대상 토양오염물질 선정 연구. 선정기법 및 적용성 연구 

  2. 환경부, 토양보전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05 

  3. ATSDR, 2005, 2005 CERCLA Priority List of Hazardous Substances That Will Be The Subject of Toxicological Profiles and Support Document, Division of Toxicology, Washington DC., USA 

  4. Bbodschv, 1999, Federal Soil Protection And Contaminated Sites Ordinance, Germany 

  5. California State, 2005, Screening for Environmental Concerns at Sites with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California, USA 

  6. CCME, 2003, Canadian Environmental Quality Guidelines,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Manitoba, Canada 

  7. DEFRA, 2002a, Assessment of Risks to Human Health from Land Contamination: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Soil Guideline Values and Related Research, UK 

  8. DEFRA, 2002b, Note on The Withdrawal of ICRCL Trigger Values, CLAN 3/02 

  9. DEFRA, 2004, The First Soil Action Plan for England: 2004-2006-London, UK 

  10. DEFRA, 2006, First Soil Action Plan for England: 2004-2006-Second Annual Report, London, UK 

  11. Delaware State, Identification And Listing of Hazardous Waste, Delaware, USA 

  12. DEPA, 2002, Guidelines on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ites, Dan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3.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1995-96, Industry Profiles. Available for 47 different industrial activities from The Stationery Office, PO Box 29, Norwich NR3 lGN., U.K. 

  14.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1991-95, Environmental Hazard Assessment for a Range of Substances, Reports TSD/1 to 24, Toxic Substances Division. U.K. 

  15. EA 2002, Assessment of Risks to Human Health From Land Contamination: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Soil Guideline Values and Related Research, CLR 7., U.K. 

  16. Florida State, 1998,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Recovered Screen Material From C&D Debris Recycling Facilities In Florida, Florida, USA 

  17. Illinois EPA, 2007, Soil Remediation Objectivesa For Industrial/Commercial Properties/Residential Properties, Illinois, USA 

  18. Interdepartmental Committee on the Redevelopment of Contaminated Land, 1987 Guidance on the Assessment and Redevelopment of Contaminated Land, ICRCL Guidance Note 59/83, 2nd edn., U.K. 

  19. Lewis R.J., 1992, Sax's Dangerous Properties of Industrial Materials, 8th ed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USA 

  20. Louisiana State, 2003, Underground Storage Tank Closure/Change-In-Service Guidance Document, Depart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Louisiana, USA 

  21. Maryland State, 2000, State of Maryland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Cleanup Standards For Soil And Groundwater, Maryland, USA 

  22. Massachusetts State, 2006, Final Amendments Massachusetts Contingency Plan, 310 Cmr 40.0000, Massachusetts, USA 

  23. MDNR, 2001, Clean up Levels for Missouri-Tier 1 Soil and Groundwater Cleanup Standards, Missouri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4. Ministry Of The Environment Government of Japan, 2005, Soil Contamination Countermeasures, Japan 

  25. Mississippi State, 2002, Depart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Risk Evaluation Procedures For Voluntary Cleanup And Redevelopment Of Brownfield Sites, USA 

  26. NEPC, 1999, Schedule B(I) Guideline On The Investigation Levels F or Soil And Groundwater, Australia 

  27. New Jersey State, 1999, Soil Cleanup Criteria, New Jersey, USA 

  28. New York State, 2006, Development of Soil Cleanup Objectives Technical Support Document,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Health, USA 

  29. Oregon State, 1998, Guidance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Levels I, Ii, Iii, Iv, Oregon, USA 

  30. SAEFL, 1998, Derivation of trigger and clean up values for inorganic pollutants in the sol, Switzerland 

  31. SFT, 1999, Guidelines For The Risk Assessment Of Contaminated Sites, Norway 

  32. Texas State, 2001, Guidance For Conducting Ecological Risk Assessments At Remediation Sites In Texas, Texas Commission on Environmental Quality, USA 

  33. USEPA, 1996, Soil Screening Guidance : User’s Guide, Washington DC, USA 

  34. Virginia State, 2006, Universal Treatment Standards, Depat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Virginia, USA 

  35. VROM, 2000, Circular On Target Values And Intervention Values For Soil Remediation (Ministerie Van Volkshuisvesting. Ruimtelijke Ordening En Milieubehee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