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전기 정화기술을 이용한 Zn, Ni, F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Zn, Ni and F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4 no.1, 2009년, pp.36 - 43  

조정민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류병곤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성우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경조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백기태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Zn, Ni 및 불소로 복합 오염된 토양의 정화를 위해서 동전기 정화(Electrokinetic remediation)기술을 적용하였다. 토양에서 탈착된 불소는 음이온 형태이고, Zn, Ni은 양이온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간극수가 이동하는 전기삼투(electro-osmosis)와 이온이 이동하는 전기이동(electro-migration)의 두 가지 기작에 의해 제거되는 경향이 달랐다. 불소는 알칼리 조건에서 토양으로부터의 탈착이 증가하고, Zn과 Ni은 산성조건에서 탈착이 증가된다. 두 가지 탈착 특성이 다른 오염물질을 순차적 pH조절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정전압 하에서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V/cm를 적용하여으며, 2주간의 실험을 통해 Zn은 20.5%, Ni은 2.5%, 불소는 57.4% 제거되었다. Zn과 Ni의 제거율은 낮았으나 토양 ph조절을 통해 이동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토양 pH조절을 통하여 특성이 다른 복합오염물질을 동전기 정화 기술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asibility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was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to treat contaminated soil with Zn, Ni and F. Electro-migration and electro-osmosis are the major removal mechanisms because fluorines desorbed from soil exist as an anionic form in soil pores, and Zn and Ni exist as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A지역에서 채취한 중금속과 불소가 동시에 오염된 토양으로 동전기 정화기술을 적용하여 제거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pH에 따른 중금속과 불소의 용출 정도가 다르고 제거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어 산성 몇 염기성조건으로 반응기 내의 토양을 조절하여 3가지 조건으로 수행하였고 이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동전기 정화를 이용한 복원기술은 중금속 제거에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의 하나로서 중금속 및 불소의 동시 제거가 가능하고 높은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Costarramone et al., 2000; Reddy et al., 2001) 본 연구에서는 Zn, Ni, F를 토양으로부터 동시에 제거하고자 정전압 하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불소는 토양 내에서 음이온으로 존재하고 Zn과 Nie 양이온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산성 및 알칼리 조건에서 전기적이동과 전기삼투는 각각의 제거되는 경향과 제거율에 다른 영향을 줄 것고로 예상되어 세 가지 다른 조건을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car, Y.B. and Alshawabkeh, A.N., 1993, Principles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Environ. Sci. Technol., 27, 2638-2647 

  2. Acar, Y.B., Gale, R.J., Alshawabkeh, A.N., Marks, R.E., Puppala, S., Bricka, M., and Parker, R., 1995, Electrokinetic remediation : Basics and technology status, J. Hazard. Mater., 40, 117-l37 

  3. Al-Hamdan, A.Z. and Reddy, K.R., 2008, Transient behavior of heavy metals in soil during electrokinetic remediation, Chemosphere, 71, 860-871 

  4. Camargo, A., 2003, Fluoride toxicity to aquatic organisms: a review, Chemosphere, 50, 151-164 

  5. Baek, K., Kim, D.H., Park, S.W., Ryu, B.G, Batjargal, T. and Yang, J.S., 2009, Electrolyte conditioning-enhanced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arsenic-contaminated mine tailing, J. Hazard Mater., 161, 457-462 

  6. Costarramone, N., Tellier, S., Grano, B., Lecomte, D., and Astruc, M., 2000, Effect of selected conditions on fluorine recovery from a soil using electrokinetics, Environ. Technol., 21, 789-798 

  7. Khan, S., Cao, Q., Zheng, Y.M., and Zhu, Y.G, 2008, Health risks of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soils and food crops irrigated with wastewater in Beijing, China, Environ. Pollut., 152, 686-692 

  8. Kim, D.H., Jeon, C.S., Baek, K., Ko, S.H., and Yang, J.S., 2009,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fluorine-contaminated soil: Conditioning of anolyte, J. Hazard. Mater., 161, 565-569 

  9. Kim, D.H., Ryu, B.G, Park, S.W., Seo, C.I., and Baek, K., 2008,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Zn and Ni-contaminated soil, J. Hazard Mater., doi: 10.1016/j.jhazmat.2008.10.025 

  10. Kornilovich, B., Mishchuk, N., Abbruzzese, K., Pshinko, G, and Klishchenko, R., 2005, Enhanced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metals-contaminated clay, Colloid Surface A, 265, 114-123 

  11. Li, Z., Yu, J.W., and Neretnieks, I., 1996, A new approach to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soils polluted by heavy metals, J. Contam. Hydrol., 22, 241-253 

  12. Ottosen, M.L., Hansen, K.H., Laursen, S., and Villumsen, A., 1997, Electrodialytic Remediation of soil Polluted with Copper from Wood Preservation Industry, Environ. Sci. Technol., 31, 1711-1715 

  13. Pomes, V., Fernandez, A., Costarramone, N., Grano, B., and Houi, D., 1999, Fluorine migration in a soil bed submitted to an electic field : influence of electric potential on florin removal, Colloid Surface A, 159, 481-490 

  14. Reddy, K.R. and Chinthamreddy, S., 2003, Effects of initial form of chromium on electrokinetic remediation in clays, Adv. Environ. Res., 7, 353-365 

  15. Reddy, K.R., Xu, C.Y., and Chinthamreddy, S., 2001 , Assesment of electrokinetic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soils by 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J. Hazard Mater., B84, 279-296 

  16. Wang, J.Y., Zhang, D.S., Stabnikova, O., and Tay, J.H., 2005, Evaluation of electrokinetic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sewage sludge, J. Hazard Mater., B124, 139-146 

  17. Zheng, N., Wang, Q., Zhang, X., Zheng, O., Zhang, Z., and Zhang, S., 2007, Population health risk due to dietary intake of heavy metals in the industrial area of Huludao city, China, Sci Total. Environ., 387, 96-104 

  18. Zhou, O.M., Deng, C.F., and Cang, L., 2004,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a Cu contaminated red soil by conditioning catholyte pH with different enhancing chemical reagents, Chemosphere, 56, 265-273 

  19. Zhou, D.M., Deng, C.F., and Cang, L., 2005,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a Cu-Zn contaminated red soil by controlling the voltage and conditioning catholyte pH, Chemosphere, 61, 519-5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