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펄프의 고해 및 배합 방법이 종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fining and Blending of Pulp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aper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1 no.2 = no.130, 2009년, pp.7 - 12  

원종명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제지공학과) ,  신동준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제지공학과) ,  김흥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제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refining either SwBKP or HwBKP, and both of SwBKP and HwBKP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aper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lucidate if the non-conventional refining and blending method can be used for the optimizing the paper properties. The blending ratio of SwBKP and HwBKP was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펄프는 서로 다른 고유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고해에 대한 반응뿐만 아니라 종이의 제반 물성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다. 따라서 이들 펄프의 고해 및 혼합 방법을 달리하였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종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펄프의 배합비는 침엽수 펄프 85%, 활엽수 펄프 15%로 고정하였으며, 이들 펄프 중 어느 한 가지만 고해하거나 모두 고해하여 혼합 초지를 실시하였다.
  • 따라서 종이의 용도 및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성질을 효율적으로 부여하기 위해서는 펄프 및 제조하고자 하는 종이의 특성에 따라 고해 공정을 최적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소 엉뚱한 발상일 수는 있지만 기존의 전형적인 펄프의 고해 및 배합 방식과 전혀 다른 새로운 접근을 통하여 펄프의 고해 및 배합 방법이 종이의 물성의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펄프의 고해 및 혼합 방법이 종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 또는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만을 고해하여 혼합한 경우와 두 종류의 펄프를 모두 고해하여 혼합하여 제조한 종이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는 10 L 용량의 실험실용 Valley 고해기를 이용하여 600, 500, 400 및 300 mL CSF의 수준으로 고해를 실시하였으며,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는 550, 450 및 350 mL CSF 수준으로 고해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이의 성질에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무엇인가? 종이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펄프의 특성, 고해 방법과 정도, 충전제, 보류 시스템뿐만 아니라 종이 제조에 사용되는 초지기와 관련된 다양한 조건들이 고려될 수 있다. 그 중 종이의 성질에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펄프의 특성과 고해라 할 수 있다.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펄프는 수종에 따라서 뿐만 아니라 생육 조건 등에 따라서도 매우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인쇄용지의 경우 어떤 펄프를 사용하는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펄프는 수종에 따라서 뿐만 아니라 생육 조건 등에 따라서도 매우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펄프의 선택은 제조하고자 하는 종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특히 인쇄용지의 경우 인쇄적성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양호한 지필도, 평활도 및 벌크를 부여하기 위하여 활엽수 펄프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지필의 주행성 및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장섬유에 해당하는 침엽수 펄프를 일부 혼합 사용한다. Nanko 등1)은 시판되고 있는 마켓펄프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종이의 용도에 가장 적합한 특성을 지닌 펄프를 선택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펄프의 고해 및 혼합 방법을 달리하였을때 일어날 수 있는 종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펄프의 배합비는 침엽수 펄프 85%, 활엽수 펄프 15%로 고정하였으며, 이들 펄프 중 어느 한 가지만 고해하거나 모두 고해하여 혼합 초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충전 여부에 관계없이 침엽수 펄프만고해하여 초지하였을 때 가장 높은 벌크가 얻어졌다. 하지만 불투명도의 경우 미충전 시에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충전 시에는 활엽수 펄프만 고해했을 때 가장 높은 값이 얻어졌고, 동일 벌크에서 비교할 경우에도 가장 높은 불투명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파열 및 인장지수는 충전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벌크에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불투명 도의 개선이 요구되는 경우 활엽수 펄프만 고해하는 방법을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Nanko, H., Button, A. and Hillman, D., The World of Market Pulp, WOMP, LLC (2005) 

  2. Seth, R.S., Beating and refining response of some reinforcement pulps, TAPPI Journal 82(3):147-155 (1999) 

  3. Ebeling, K.A., Critical review of current theories for the refining of chemical pulp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Fundamental Concepts of Refining, Project 3384, Report 3, The Institute of Paper Chemistry (1981) 

  4. Page, D.H., The beating of chemical pulps - The action and the effects, Transactions of 9th Fundamental Research Symposium, Fundamentals of Papermaking, Mechnical Engineering Publications Ltd., pp. 1-38 (1989) 

  5. Kang, T. Role of external fibrillation in pulp and paper properties, Doctoral Thesis,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2007) 

  6. Kerekes, R. J. and Schell, C. J., Characterization of fibre flocculation regimes by a crowding factor, J. Pulp Pap. Sci. 18(1):32-38 (1992) 

  7. Kerekes, R. J. and Schell, C. J., Effects of fiber length and coarseness on pulp flocculation, Tappi J. 78(2):133-139 (1995) 

  8. Kerekes, R. J., Perspectives on fibre flocculation in papermaking, Proc. Int. Paper Physics Conf., pp. 23-31 (1995) 

  9. Waterhouse, J. F., The effect of papermaking variables on formation, Tappi J. 76(9):129-134 (1993) 

  10. Versalyas, R., Controlling the flocculation of fibers and fillers, Paper Technology 31(7):18-22 (1990) 

  11. Jokinen, O. and Ebeling, K., Flocculation tendency of papermaking fibres, Paperi ja Puu 5:317 (1985) 

  12. Smith, M. K., Formation potential of west coast kraft pulps. Pulp Paper Can. 87(10):69 (1986) 

  13. Bhardwaj, N.K., Hoang, V., and Nguyen, K.L.,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refining on physical and electrokinetic properties of various cellulosic fibres, Bioresource Technology 98:1647?1654 (2007) 

  14. Wahren, D., Refining of hardwoods and softwoods, IPC Technical Paper Series No. 136, The Institute of Paper Chemistry (1983) 

  15. Lumiainen, J.J. and Partanen, M.T., Refining of reinforcement kraft pulp for mechanical printing papers, Proceedings of TAPPI Engineering & Papermakers Conference, pp. 353-364 (1997) 

  16. Hiltunen, E., Kettunen, H., Laine1, J.E. and Paulapuro, H., Effect of softwood kraft refining on a mechanical-chemical mixture sheet, TAPPI Journal 83(10): (2000) 

  17. Manfredi, V., Evaluation of Refining Strategies for Combined Use of Softwood and Eucalyptus Pulps in Papermaking, Proceedings of Pan Pacific Conference, pp. 37-4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