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NDVI를 이용한 습윤지표를 기준으로 습윤 및 건조상황의 분류 방법 제안
Suggestion of Method to Classify Moisture or Dryness Condition from Moisture Index Obtained by NDVI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2 no.4, 2009년, pp.84 - 94  

김주철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신사철 (안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상진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황만하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AA/AVHRR 자료를 이용하여 얻어진 습윤지표 시계열 자료는 기왕의 연구로부터 지역의 습윤 및 건조 상황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에 대하여 기후학적 물수지 모형에 의하여 얻어진 습윤지표를 습윤 및 건조 기후조건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재분류하였다. 습윤지표와 지역의 가뭄상황을 비교해 본 결과 지역의 습윤지표가 습윤/건조 상황의 탐지뿐만 아니라 징후의 감지, 지속기간 및 강도의 추정에도 대단히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누적통계량에 따라 습윤지표를 기후구분으로 분류하는 단순화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습윤지표의 정확성 검증을 위하여 습윤지표와 동일한 지역에서 발생한 지역적 실제 가뭄현상과의 비교를 통해 본 습윤지표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isture Index time series derived from NOAA/AVHRR data have showed to be useful for humid and arid states. The humid/arid states of the Geum river basin are classified by means of the moisture index estimated from the climatic water budget model. Validations showed that the moisture index has exc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습윤지표가 유역의 습윤 혹은 건조상태를 반영한다고 하나 습윤지표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직관적으로 이 지표만을 이용하여 유역의 상황을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윤지표를 통계학적 분포특성에 따라 유역의 습윤 및 건조 상황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시 사회적 현상과의 연관성 등을 통하여 가뭄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습윤지표 및 재분류항목이 실제 가뭄상황을 얼마나 잘 묘사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속적인 가뭄이 발생하여 비교적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었던 2000년과 2001년 봄가뭄을 대상으로 당시의 신문기사를 토대로 습윤 지표와 사회현상을 비교 검증하기로 하였다.
  • NDVI를 이용하여 기후학적 물수지 방법을 통한 습윤지표는 유역의 습윤상황뿐 만 아니라 건조상황까지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금강유역의 습윤 및 건조상황을 분류하여본 결과 2000년과 2001년의 연 전반에 걸친 건조 상황이 잘 묘사되고 있으며 이 습윤지표가 실제 현상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산정된 습윤지표의 사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누가확률에 따라 분류하여 기후상태로 구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사회현상과의 연관성을 통하여 본 습윤지수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분류된 기후구분이 2000년과 2001년의 실제 가뭄상황을 잘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족수분량이란 무엇인가? 물의 공급과 기후학적 물수요와의 비교에 의해 복잡한 자연지형 하에서의 물이동에 대한 정보가 파악된다. 부족수분량(water deficit)은 기후학적 수요량과 실제 공급량과의 차이로 정의되며, 과잉수분량(water surplus)은 식물에 의한 수요량 이상의 수분량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부족수분량은 식생의 성장을 유지 하기 위하여 관개 등에 의해 공급되어야 할 양이며, 과잉수분량은 지하에 침투하는 양과 하천수에 의해 손실되는 부분으로 표면류와 지표하유출에 의한 유출을 포함하고 있다.
과잉수분량은 무엇을 포함하는가? 부족수분량(water deficit)은 기후학적 수요량과 실제 공급량과의 차이로 정의되며, 과잉수분량(water surplus)은 식물에 의한 수요량 이상의 수분량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부족수분량은 식생의 성장을 유지 하기 위하여 관개 등에 의해 공급되어야 할 양이며, 과잉수분량은 지하에 침투하는 양과 하천수에 의해 손실되는 부분으로 표면류와 지표하유출에 의한 유출을 포함하고 있다.
증발산량의 변화는 무엇을 초래하는가? 예를 들어 평균 기온의 상승은 중요한 수문기상학적 인자 중의 하나인 증발산량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증발산현상은 물 순환과정의 한 부분을 구성 하는 요소로서 이의 변화는 유역의 습윤 및 건조 상황이나 유출특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변화들은 연쇄적으로 나머지 물 순환과정들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어 결국 물 순환과정 전반에 걸쳐 과거와는 다른 각종 수문기상학적 특성들을 양산하게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류경식, 황만하, 맹승진, 이상진. 2007. 유역관리 모형을 이용한 금강유역 유출특성 해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3(4):527-534. 

  2. 신사철, 황만하, 고익환, 이상진. 2006a. 식생 및 기온정보를 조합한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간편법 제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9(4):363-372. 

  3. 신사철, 정수, 김경탁, 김주훈, 박정술. 2006b. NDVI를 이용한 가뭄지역 검출 및 부족수분량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102-114. 

  4. 신사철, 황만하, 고익환. 2008. 기후학적 물수지에 의한 유역의 건조 및 습윤 상황 감시 기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1(2):173-184. 

  5. 신사철, 안태용. 2007.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광역증발산량의 산정방법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71-81. 

  6.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 2004. GIS와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5):407-424. 

  7. 이주헌, 정상만, 김재한, 고양수. 2006. 가뭄모니 터링 시스템 구축: II. 정량적 가뭄 모니터링 및 가뭄전망기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9):801-812. 

  8. 한국수자원공사. 2004. 실시간 물 관리 운영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13-174쪽. 

  9. 한국수자원공사. 2006. 가뭄관리정보체계 수립 보고서. 

  10. Haan, C.T. 2002. Statistical methods in hydrology. Iowa State Press. 378pp. 

  11. Hamon, W.R. 1961. Estima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roc. Am. Soc. Civil Engineering, J. of the Hydraulics Divisions. Vol. 87, pp. 107-120. 

  12. Legates, D.R. and Mather, J.R. 1992. An evaluating of the average annual global water balance. Geographical review. Vol. 82, pp. 253-267. 

  13. Shahin, M. 1985. Hydrology of Nile basin. Elsevier. 562pp. 

  14. Tateishi, R. and C.H. Ahn. 1996. Mapping evapotranspiration and water balance for global land surface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51:209-215. 

  15. Thornthwaite, C.W. 1948. An approach toward a rational classification of climate. Geographical Review. Vol. 38, pp. 55-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