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제방붕괴 해석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 to Analyze Levee Break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2 no.7, 2009년, pp.571 - 578  

박재홍 (세명대학교 토목공학과) ,  한건연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안기홍 (한국수자원공사 댐유역관리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제방붕괴시 제방의 침식 및 세굴이론에 기초한 범람 홍수량 해석, 시간에 따른 제방붕괴폭의 변화, 침수범위 및 침수위의 추정, 침수 예상 피해규모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천의 유량변화를 고려한 제방붕괴 모형을 개발코자 하였다. 하도구간에서는 홍수시 4점 음해 유한차분기법을 이용하여 하천 홍수위를 예측하며, 제방 붕괴해석을 위해서 제방침식을 고려한 토사이동방정식을 도입하여 물리적 이론에 기초한 제방붕괴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방붕괴모형과 하천해석모형을 이용하여 제방붕괴해석모형으로 통합하였고 연구모형을 실제하도 붕괴사례에 본 모형을 적용한 결과 제방붕괴 기간중의 하천수위, 파제기간, 파제폭 등의 인자들을 합리적으로 모의하고 있었고 개발된 모형이 보다 다양한 실제 하천제방 붕괴사례에 도입되어 적용성 및 정확성이 증명된다면 앞으로 정확한 제방붕괴가 발생한 도시하천의 하천수위 해석, 파제유량 계산, 홍수지도 작성 및 침수위 해석 등에 본 모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vee-break Analysis model is developed to predict the variation of breach width according to time and to estimate inundation area and depth in protected lowland. This Model calculate flood depth using 4 point implicit finite difference method in river channel and analyze breach flow based on phys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홍수특성 및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제방붕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이를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물리적 이론에 기초한 제방붕괴 모의 컴퓨터 모형을 개발코자 하였다. 즉 하도구간에서는 홍수시 흐름의 시간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해 하천 홍수해석을 위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4점 음해 유한차분기법을 이용하여 하천 홍수위를 예측하며, 제방붕괴해석을 위해서 제방침식을 고려한 토사이동방정식을 도입하여 물리적 제방붕괴 모형을 개발하여 시간에 따른 제방월류 유량, 그에 따른 제방붕괴폭, 제방월류 유량을 산정하고 월류유량으로 인한 본류에서의 흐름양상 변화 등을 고려할 수 있게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제방붕괴시 제방의 침식 및 세굴이론에 기초한 범람 홍수량 해석, 시간에 따른 제방붕괴폭의 변화, 침수범위 및 침수위의 추정, 침수 예상 피해규모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천의 유량변화를 고려한 제방붕괴 모형을 개발코자 하였다. 또한 최근 수년간 발생한 홍수피해 원인의 대부분이 하천제방의 붕괴와 관계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본 모형의 제방의 월류 및 붕괴특성에 대한 보다 정교한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지도 작성 및 홍수보험에의 도입 등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서의 제방붕괴해석을 위해 하천의 동역학적 흐름특성을 고려한 수학적 모형과 제방의 세굴을 계산할 수 있는 모형을 결합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NWS 의 BREACH 모형을 기초로 국내의 하천 붕괴에 적용가능한 모형으로 발전시켰다.
  • 즉 하도구간에서는 홍수시 흐름의 시간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해 하천 홍수해석을 위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4점 음해 유한차분기법을 이용하여 하천 홍수위를 예측하며, 제방붕괴해석을 위해서 제방침식을 고려한 토사이동방정식을 도입하여 물리적 제방붕괴 모형을 개발하여 시간에 따른 제방월류 유량, 그에 따른 제방붕괴폭, 제방월류 유량을 산정하고 월류유량으로 인한 본류에서의 흐름양상 변화 등을 고려할 수 있게 하였다. 하천 흐름 해석과 제방붕괴 해석모형을 완전히 통합시킨 하천제방 붕괴 해석모형을 통해서 하천에서의 홍수위 예측은 물론 제내지에서의 범람 홍수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천 제방붕괴시 제내지 침수범위 및 침수위해석, 홍수파의 도달시간, 제방붕괴로 인한 본류의 흐름 양상의 변화 등을 보다 정교하게 예측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침식은 파제단면의 측벽이 붕괴되었을 경우를 제외하고 파제단면의 바닥과 측면에서 동일하게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파제순간에는 파제면의 바닥은 측벽을 따라 붕괴된 토사의 체적이 수로의 유사이송 능력의 비율로 완전하게 제거될 때까지 하부방향으로의 침식은 계속되지 않는 것으로 역시 가정된다. 이런 과정을 마치기 위한 비교적 짧은 시간 후에 세굴수로의 바닥과 측면은 계속해서 침식된다.
  • 2에서 선 A-A 의 해 나타나 있는 것처럼 오직 제방의 하류사면에서 발생한다. 여기서 만약 초기에 식생 피복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작은 사각형태의 초기수로가 하류면을 따라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굴수로는 점차 제방의 하류사면 속으로 파고 든다.
  • 침식은 파제단면의 측벽이 붕괴되었을 경우를 제외하고 파제단면의 바닥과 측면에서 동일하게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파제순간에는 파제면의 바닥은 측벽을 따라 붕괴된 토사의 체적이 수로의 유사이송 능력의 비율로 완전하게 제거될 때까지 하부방향으로의 침식은 계속되지 않는 것으로 역시 가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방의 붕괴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특히, 도시하천과 같이 제방 인접한 곳에 주거, 산업시설 등이 밀집하고 있는 지역에서 불의의 제방 붕괴로 인한 홍수류의 범람은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는 큰 재해가 될 수 있으며, 실제로 최근의 홍수피해 양상을 조사해 보면 인구와 산업, 주거 및 사회기반시설 등이 밀집된 도시지역에서 피해가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홍수피해의 주된 원인이 되는 제방의 붕괴는 월류, 침식, 제체의 불안정 및 하천구조물에 의한 붕괴 등으로 구분되는데 주로 월류 및 파이핑으로 인해 발생한다. 하천제방이 붕괴되었을 때 발생하는 제방의 붕괴면을 통과하여 제내지로 유출되는 파제유량의 정확한 추정은 홍수범람 구역에 대한 침수범위 산정, 적절한 홍수 예·경보 및 피난대책의 수립을 가능케 하여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천제방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하천제방은 홍수시 유수의 원활한 소통을 유지시키고 제내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천을 따라 토질재료 등으로 축조한 공작물이라고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제방이 유수 등에 의해 그 기능을 잃어버린 경우를 제방붕괴라고 하며 제방에 의해 보호되던 제내지는 범람된다.
국내외의 제방붕괴 및 유출에 관한 연구 제방붕괴 및 유출에 관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물리적인 이론에 기초한 제방붕괴 및 유출에 관한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이 수행되었다. Cristofano(1965)는 세굴수로를 통하여 흐르는 물의 힘과 세굴수로의 바닥에서의 흙 입자들의 전단강도를 연계하는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Harris and Wagner(1967)는 Schoklitsch 유사 이동 방정식을 사용하여 세굴수로를 월류가 발생함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진행이 시작된다고 고려하였다. Ponce and Tsivoglou(1981)는 Meyer-Peter와 Muller 유사이송방정식을 1 차원 부정류 방정식과 연계하여 연구하였으나 사용되어지는 계수들의 결정방법이 명확하지 못하였다. Fread(1980)에 의해 개발된 수치모형은 붕괴된 흙댐으로부터 유출되는 유량수문곡선을 예측하기 위해 저수지 유입, 여수로 유출, 그리고 세굴로 형성된 붕괴부의 유출량들로 인한 연속방정식을 적용하였다. 국내에서는 한건연 등(1985)이 흙댐의 붕괴로 인한 유출수문곡선의 해석을 저수지의 특성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수위-수표면적 관계식을 도출한 후 임의의 댐 높이와 파괴지속시간에 대한 첨두 유출량 및 유출수문곡선을 구할 수 있는 도표를 제시하였다. 이종태와 한건연(1989)은 가상 수치실험을 통한 월류 및 제방의 붕괴에 의한 하도-제내지 간의 흐름의 특성을 해석하여 붕괴부의 폭이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냈었다. 한건연 등(2002)은 제방 월류 또는 붕괴에 의해 발생한 홍수파로 인한 제내지침수위, 침수시간, 침수범위 등의 예측을 위해 하도구간에서는 1차원 부정류를 이용하여 하천 홍수위를 예측하고 제내지에서는 제방붕괴로 인한 범람홍수류의 사간별 수문곡선을 유입수문곡선으로 하는 2차원 수치해석모형을 개발하였으나 제방붕괴 해석을 위한 세굴식의 도입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단 (2002). 국내 도시홍수 침수원인 조사 및 분석 

  2. 이종태, 한건연 (1989). '하천제방의 붕괴로 인한 제내지의 침수 예측모형.' 한국수문학회 논문집, 한국수문학회, 제22권, 제2호, pp. 223-231 

  3. 한건연, 이종태, 이원환 (1985). 'Earth Dam 파괴로 인한 유출수문곡선의 유도.'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5권, 제2호, pp. 41-50 

  4. Cristofano, E.A. (1965). Method of computing erosion rate for failure of earthfill dams. United States Bureau of Reclamation, Denver, Colorado 

  5. Fread, D.L. (1980). Capabilities of NWS model to forecast floods caused by dam failures. Proceedings of the Second Conference on Flash Flood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pp. 171-178 

  6. Fread, D.L. (1982). DAMBRK: The NWS dam-break flood forecasting model. Hydrologic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weather Service, Silver Spring, Maryland, p. 56 

  7. Fread, D.L. (1985). 'Channel Routing.', in Anderson, M.G.,and Burt, T.P.(eds), Hydrological Forecast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437-503 

  8. Harris, G.W., and D.A. Wagner. (1967). Outflow from breached earth dams. University of Utah, Salt Lake City, Utah 

  9. Morris, H.M., and J.M. Wiggert. (1972). Applied Hydraulics in Engineering. The Ronald Press Co., New York, 69-70, 290, pp. 451-452 

  10. Ponce, V.M., and A.J. Tsivoglou. (1981). 'Modeling of gradual dam-breaches.'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07(HY6): pp. 829-838 

  11. Smart, G.M. (1984). 'Sediment transport formula for Steep Channels.'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10(HY3): pp. 267-276 

  12. Spangler, M.G. (1984). Soil Engineering. 4th Ed. Harper & Row Publishers, New York, pp. 482-4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