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멀티 GPS 센서를 이용한 장대교량의 형상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of Long Span Bridge Using Multi GPS Sensor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7 no.3, 2009년, pp.385 - 392  

최병길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나영우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 GPS 센서를 이용하여 장대교량의 형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관리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는데 있다. 멀티 GPS 센서를 장대교량의 주요 지점에 설치하고 변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장대교량의 3차원적인 형상거동을 관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형상관리시스템은 교량의 전체적, 지점별 변위정보를 수치화, 시각화하고 위험발생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측정데이터의 DB화를 통해서 계측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GPS센서를 이용한 형상관리시스템은 GPS 센서를 이용한 장대교량의 3차원 절대변위 및 거대변위의 효과적인 측정에 의한 교량의 전체적인 형상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methodology a system which is able to monitor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of long span bridge in real time using multi GPS. Through setting up many GPS at the important points of long span bridge and measuring displacement in real time, over all 3D configuration of bridge coul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멀티 GPS 센서를 이용하여 장대교량의 거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 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대교량의 3차원적 거동을 모니터링 및 형상관리 하기 위해 측점지점별 3차원 변 위 모니 터 링 모듈을 개발하였다. 다음 그림 9는 지점별 3차원 거동 모니 터 링 모듈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멀티 GPS 센서를 이용하여 장대교량의 거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형상을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멀티 GPS 센서가 획득한 측정데이터를 지점별로 분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었고, 형상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3차원적인 형상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교량 전체적인 변위 및 지점별 변위를 수치화, 시각화하고분석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멀티 GPS 센서를 장대교량의 주요 지점에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거동을 측정함으로써 장대교량의 순간적인 변위와 형상을 관리 할 수 있는 형상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장대교량의 형상관리를 위한 기존의 계측시스템은 변형율계, 경사계, 레이저처짐계, 광섬유센서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교량의 순간적인 미세변위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었지만 교량의 전체적인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분석과정을 거쳐야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박민석, 김성곤, 장정환 (2000), 서해대교 교량계측 모니터링시스템 개발, 대한토목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I), 대한토목학회, pp. 515-518 

  2. 박운용, 이횽규, 정성모, 장상규 (1998), 실시간 동적 GPS측위 기법에 의한 교량 거동의 모니터링, 대한토목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IV), 대한토목학회, pp. 377-380 

  3. 박흥석 (2000), 교량구조물의 상시계측 시스템, 소음진동,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0권 6호, pp. 914-924 

  4. 배인환, 하강희 (2008), 건전도모니터링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자정식 현수교의 구조거동, 2008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513-516 

  5. 윤석구 (2000), 교량모니터링 시스템의 적용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I), 대한토목학회, pp. 507-510 

  6. 이영균 (2005), GPS 멀티안테나 스위치를 활용한 실시간 구조물 변위 측정 시스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7. 이호철, 윤홍식 (2001),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장대교량 모니터링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 21, No. 6-D, pp. 875-883 

  8. Frees, E. W. (1996), Data Analysis Using Regression Models, Prentice Hall, pp. 1-714 

  9. Hoffmann-Wllenhof, B., Lichtenegger, H. and Collins, J. (2001),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ory and Practice 4th revised edition, Springer Wein New York, pp 1-350 

  10. JAVAD Homepage (2008), http://www.javad.com : JAVA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