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판타지 영화의 캐릭터 분장 코디네이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 - Tim Burton 감독의 작품을 중심으로 -
Post-modern Characteristics Expressed on Characters' Make-up Coordination of Fantasy Movies - Focused on the works of Tim Burton -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1 no.2, 2009년, pp.219 - 230  

장미숙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미용예술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haracters' make-up coordination that changes the narrative of the fantasy movies to a visual fantasy,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post-modern features from the works of Tim Burton, a post-modernist.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firstly, studying post-moder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하며, 특히">하며, 특히 상기의 미적 특성 가운데 타자성과 이중코드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논자는 다원성과 대중성을, 타자성과 이중코드성을 통해 일원성이 해체되고 다양화, 분산화되어 다원화, 대중화된 캐릭터가 양산되는 결과적 특성으로 보고, 타자성과 이중코드성 속에 포함시켜 분석하였음을 밝힌다. 논자는 분장을, 인체를 둘러싼 예술적 아젠더(agenda)이자 당대의 사회·문화적 형상물로 보고, 판타지 영화의 캐릭터 분장이 표출하는 미적 특성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시대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을 충실히 영화 속에 녹여내고 있는 Tim Burton 감독의 작품을 중심으로 판타지영화의 캐릭터 분장 코디네이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 따라서 본고는 판타지 영화의 내러티브를 시각적 판타지로 탈바꿈시키는 캐릭터 분장 코디네이션의 미적 특성에 대한 고찰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특히 포스트모더니스트인 Tim Burton 감독의 작품을 중심으로 판타지 영화의 캐릭터 분장 코디네이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론에서는 이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Tim Burton의 작품 속에서 포스트모던 특성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캐릭터의 분장 코디네이션을 분석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의 미적 특성 가운데 타자성과 이중코드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논자는 다원성과 대중성을, 타자성과 후)본장에서는">본 장에서는 Tim Burton의 환상적인 작품세계에 시대적, 정신적 배경이 된 것으로 평가되는(이진영, 1999)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고윤전. (1995). 영화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영화 텍스트 내에서의 해체와 재구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은미. (2008). 홍상수 영화의 포스트모더니즘 미학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준. (1994).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연구: 현대 공상과학 영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진아. (2006, 8. 7).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내는 힘 '팀 버튼', 자료검색일 2008,7.10, 헤럴드생생. 자료출처 http://news.nate.com/view/20060807n04612 

  5. 김진홍. (2005). 포스트모더니즘과 컴퓨터 애니메이션 발전의 사적 고찰.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현정. (2005. 9. 13). 광활한 상상의 세계, . 자료검색일 2008, 7. 10. 씨네21. 자료출처 www.cine21.com 

  7. 문신애. (2004).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표현된 패치워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배트맨 특집(1)-배트맨의 탄생 과정과 역대 영상 작품 소개.(2005, 6. 3). 자료검색일 2008, 7. 10, 씨네21. 자료출처www.cine21.com 

  9. 이수인. (2005). 컬렉션에 나타난 현대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양상.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진영. (1999). Tim button 영화의 Post-modernism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현주. (2006). 타투(Tattoo)미학의 타자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장광현. (2005). 영화적 이미지의 관점에서 본 영화 오프닝타이틀에 관한 연구:들뢰즈의 영화론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장미숙. (2005). 20세기 영화 특수 분장사와 캐릭터 특수분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최세라. (2001).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의 특성 연구:시간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한혜영. (1993). 포스트모더니즘 측면에서 접근한 시각표현 연구:영상으로부터 도출된 평면작품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Beetle Juice. (1988, March 30). Roger Ebert. Retrieved Aug. 15. 2008 from www.RogerEbert.com 

  17. Best. S. & Kellner. D. (1991). Postmodern Theory: Critical Interrogations. New York:The Guilford Press. p.5 

  18. Burton. T.(2006). Burton on Burton. London:Faber and Faber. pp.1-9 

  19. Canby V. (1988. May 8). Beetle Juice is pap for the Eye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une 17. 2008. from www.wikipedia.org 

  20. Edward Scissorhands. (2008, December 2). Wikipedia. Retrieved June 5, 2008. form www.wikipedia.org 

  21. Harvy. D. (1990). The Condition of Postmodernism. Oxford:Blackwell. p.48 

  22. Habermas. J. (1987). 모더니티:미완성의 프로젝트(이영철 역). 중앙일보계간미술(편), 현대미술비평 30선. 서울:중앙일보사. pp.162-170. (윈저 1981 출판) 

  23. Howe. D. (1988. April 1). Beetle Juice. Washington Post. Retrieved Aug. 1. 2008. from http://www.washingtonpost.com/wp-srv/style/longterm/movies/videos/beetlejuicepghowe_a0b155.htm 

  24. Joffe, H. (2002). 위험사회와 타자의 논리(박종연, 박해광 역). 서울:한울아카데미, pp.21-28 (윈저 1999 출판) 

  25. Kehoe. V. J-R.(1991). Special Make-up Effects. Boston:Focal Press. p.58 

  26. Leutrate, J-L. (2002). 영화의 환상성(김영온,오일환 역). 서울:동문선, p.38. (윈저 1995 출판) 

  27. McGowan, J.(1991). Postmodernism and Its Critics. New York:Cornell Univ. Press, pp.16-17 

  28. Oompa Loompa. (2007, June 1). Wikipedia. Retrieved Aug. 24, 2008. form www.wikipedia.org 

  29. Story, J. (1999). 문화연구와 문화이론(박모 역). 서울:현실문화연구, pp.242-244. (윈저 1993 출판) 

  30. Timpone, A.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48 

  31. Tolkein, J.R.R. (2006, March 12). Wikipedia. Retrieved June 5, 2008. form www.wikipedia.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