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 지의류 표본은 2006년부터 3년 동안 헝가리 자연사박물관으로부터 총 222점, 23과 54속 119종을 확보하였으며, 현재 모든 표본들은 국립수목원 표본실에 보관되어 있다. 이번에 확보된 지의류 표본에는 한반도에서 아직 보고되지 않은 12종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헝가리 자연사박물관에서 입수한 미보고 묘향산 분포 지의류 목록을 재정리한 결과, 총 26과 57속 179종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는 한반도에서 아직 보고되지 않은 17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번 북한 지의류 목록 정리 작업을 통하여 29종의 한반도 미보고 지의류 목록을 확보할 수 있었다. 북한 지의류에 대한 본 보고는 한반도 분포 지의류 연구를 위하여 매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222 lichen specimens of North Korea including 23 family, 54 genera and 119 species were newly obtained from the Hungarian Natural History Museum for the last 3 years. Among them, 12 species were added to Korean lichen checklist as new. All the species were deposited at the herbarium of Korea 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번 북한 지의류 표본 목록 정리 작업을 통해 몇 종의 한반도 미보고 지의류 목록을 확보할 수 있었는가? 북한 지의류 표본은 2006년부터 3년 동안 헝가리 자연사박물관으로부터 총 222점, 23과 54속 119종을 확보하였으며, 현재 모든 표본들은 국립수목원 표본실에 보관되어 있다. 이번에 확보된 지의류 표본에는 한반도에서 아직 보고되지 않은 12종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헝가리 자연사박물관에서 입수한 미보고 묘향산 분포 지의류 목록을 재정리한 결과, 총 26과 57속 179종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는 한반도에서 아직 보고되지 않은 17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번 북한 지의류 목록 정리 작업을 통하여 29종의 한반도 미보고 지의류 목록을 확보할 수 있었다. 북한 지의류에 대한 본 보고는 한반도 분포 지의류 연구를 위하여 매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헝가리에서 입수한 북한 지의류 원고의 서식지에 대한 기술 I, II, III의 기준은 무엇인가? 헝가리에서 입수한 북한 지의류 원고(Fig. 1)에는 각종의 분포 서식지에 대한 기술을 I, II, III으로 표시하고 있는데, Zone I은 해발 900 m까지로 활엽수와 소나무의 혼합림(mixed deciduous and pine forest)이며, Zone II는 해발 900~1,300 m로 활엽수, 전나무(구상나무), 가문비나무의 혼합림 (mixed deciduous, Abies and Picea forest), Zone III은 해발 1,300~1,900 m로 아고산지역(subalpine region)에 해당한다. 또한 지의류가 서식하는 기물(substratum)별로 V는 나무수피(bark of living tree)를, P는 죽은 고목(rotten wood)을, S는 암석(rock)을, T는 토양(soil)을 나타내고 있다.
2006년부터 3년 동안 헝가리 자연사박물관으로부터 북한 지의류 표본을 총 몇 종 확보할 수 있었는가? 북한 지의류 표본은 2006년부터 3년 동안 헝가리 자연사박물관으로부터 총 222점, 23과 54속 119종을 확보하였으며, 현재 모든 표본들은 국립수목원 표본실에 보관되어 있다. 이번에 확보된 지의류 표본에는 한반도에서 아직 보고되지 않은 12종이 포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김성회. 1981. 한국산 지의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논문집 17: 279-304 

  2. 리용재. 1988. 조선포자식물 7. 지의류.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소, 평양. 

  3. 문광희, 박승태, 민경희. 1991. 덕유산 지의류 상 조사. 한국균학회지 19: 22-26 

  4. Huneck, S., Lumbsch, H. T. and Yoshimura, I. 1994. Contribution to the lichen flora of the Diamond mountains (Korea). J. Hattori Bot. Lab. 75: 365-369 

  5. Huneck, S., Ri, J. D., Ahti, T. and Poelt, J. 1989. Zur Kenntnis der Flectenflora von Korea. Herzogia 8: 177-185 

  6. Hur, J.-S., Harada, H., Oh, S.-O., Lim, K.-M., Kang, E.-S., Lee, S. M., Kahng, H.-Y., Kim H.-W. and Jung, J.-S. & Koh, Y. J. 2004. Distribution of Lichen Flora on South Korea. J. Microbiol. 42: 163-167 

  7. Hur, J.-S., Harada, H. and Koh, Y. J. 2005. A checklist of Korean lichens. Lichenology 4: 65-95 

  8. Kim, S. 1965. Enumeration of genus Parmelia in Korea. Bull. Kongju Teachers Col. 2: 50-72 

  9. Kim, S. 1975. On genus Cladonia in Korea. Bull. Kongju Teachers Col. 12: 237-257 

  10. Moon, K.-H. 1999. Lichens of Mt. Sorak in Korea. J. Hattori Bot. Lab. 86: 187-220 

  11. Park, Y. S. 1990. The Macrolichen flora of South Korea. Bryologist 93: 105-1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