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균형, 기능적 보행, 시지각, 일상생활 평가도구의 상관성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alance Test, functional movement, Visual Perception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1 no.2, 2009년, pp.39 - 45  

이동진 (청주성모병원 물리치료실) ,  김성렬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송창호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the Berg Balance Scale (BBS), Functional Reach Test (FRT), Timed Up & Go (TUG), Motor-Free Visual Perception Reach Test Vertical format (MVPT-V),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Method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평가도구 간에 상관성을 알아보고 시지각 평가도구의 세부항목과 보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균형 및 보행 기능, 일상생활동작, 시지각 평가도구들 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특히, 시지각 평가도구의 세부항목이 기능적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뇌졸중 환자의 평가와 재활 훈련 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3개월 이상 된 35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 도구인 BBS, FRT와 기능적 보행을 평가하는 도구인 TUG, 시지각 평가도구인 MVPT‐V, 일상생활 평가도구인 FIM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TUG와 시지각 평가도구의 세부항목을 비교함으로써 향후 시지각 평가도구를 응용하여 기능적 보행 연습 및 균형 훈련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 검사 방법으로 고정된 지지면 위에 양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린 기립 자세에서, 주먹을 쥐고, 주관절 신전, 견관절 90°전방 굴곡 한다. 시작 자세에서 견봉의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막대와 수평을 유지하면서 팔을 최대로 뻗어 균형을 잃지 않고 5초간 유지한 상태로 세 번째 중수골 원위부의 처음 지점을 기록한 후 최대로 뻗은 후 그 지점을 기록하여, 처음과 마지막 지점간의 거리차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안정성 한계를 잘 측정 할 수 있으며, 임상에서 균형 장애를 찾아내거나, 시간경과에 따른 균형 수행력의 변화를 검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12 본 연구에서는 측정의 편리를 위해 치료실의 벽에 눈금을 그어 표시를 하였고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가도구의 상관성과 신뢰도에 대한 검증이 중요시 되는 이유는? 4 현재 중추 신경계 손상 환자의 치료 패턴은 균형과 이동에 영향을 주는 기능향상과 감각 손상 및 인지회복에 중점을 두고 있다.5 뇌졸중 환자에게 이러한 평가도구가 정확한 측정 및 치료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관성과 신뢰도에 대한 검증이 중요시 되고 있다.6
뇌졸중 환자의 효과적인 재활을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은? 평가 도구는 뇌졸중 환자가 회복되는 상황에 맞게 기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을 선택하여야 한다.1,2 그리고 효과적인 재활을 위해서 반드시 손상을 확인한 후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여 기능부전의 진행을 방지와 더불어 기능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적절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치료결과를 평가하여야 한다.3
운동 회복의 평가는 뇌졸중 환자에게 중요한 부분인데, 평가 도구의 선정은 어떻게 해야하는가? 운동 회복의 평가는 뇌졸중 환자에게 중요한 부분이다. 평가 도구는 뇌졸중 환자가 회복되는 상황에 맞게 기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을 선택하여야 한다.1,2 그리고 효과적인 재활을 위해서 반드시 손상을 확인한 후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여 기능부전의 진행을 방지와 더불어 기능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적절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치료결과를 평가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med S, Mayo NE, Higgins J et al. The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STREAM): a comparison with other measures used to evaluate effects of stroke and rehabilitation. Phys Ther. 2003;83(7):617-30. 

  2. Corcos DM. Strategies underlying the control of disordered movement. Phys Ther. 1991;71(1):25-8. 

  3. Hwang SJ, Lee SY, Lee JA. The correlat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in the elderly people. J Korean Acad Univ Trainde Phys Therapists. 2004;11(1):27-34. 

  4. Diamond PT, Felsenthal G, Macciocchi SN et al. Effect of cognitive impairment on rehabilitation outcome. Am J Phys Med Rehabil. 1996;75(1):40-3. 

  5. Tappan RS. Rehabilitation for balance and ambulation in a patient with attention impairment due to intracranial hemorrhage. Phys Ther. 2002;82(5):473-84. 

  6. An SH, Lee JH. Reliablity and validity of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 Aoc Phys Ther. 2009;21(1):9-18. 

  7. Halsaa KE, Brovold T, Graver V et al. Assessments of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Norwegian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94-8. 

  8. Morris S, Morris ME, Iansek 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Timed "Up & Go" test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Phys Ther. 2001;81(2):810-8. 

  9. Trombly CA, Radomski MV.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Baltimore, Lippincott, 2002. 

  10.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80. 

  11.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12.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1990;45(6):192-7. 

  13. Warburg CL. Assessment and treatment planning strategies for perceptual deficits. In: O'Sullivan SB, Schmitz TJ, eds,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3rd ed, Philadelphia, Pa, FA Davis Coy, 1994:603-32. 

  14. Colarusso RP, Hammill DD.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Revised. Novato, Calif, Academic Therapy Publications, 1996. 

  15. El-Kahky AM, Kingma H, Dolmans M et al. Balance control near the limit of stability in various sensory conditions in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suffering from vertigo or balance disorders, impact of sensory input on balance control. Acta Otolaryngol. 2000;120(4):508-16. 

  16. Kirk-Sanchez NJ, Roach KE.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therapy services in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and mobility at discharge in patients with orthopedic problems. Phys Ther. 2001;81(3):888-95. 

  17. Mercier L, Hebert R, Colarusso R et al.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Manual. Califonia, Academic Therapy Publications, 1997. 

  18. Granger CV, Lotter AC, Hamilton BB et al. Functional assessment scales: a study of person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3;74(2):133-8. 

  19. Kirshner B, Guyatt GA.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ssessing health indices. J Chronic Dis. 1985;38(1):27-36. 

  20. Brock KA, Goldie PA, Greenwood KA.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troke rehabilitation: choosing a discriminative measur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92-9. 

  21. De Oliveira R, Cacho EW, Borges G. Post-stroke motor and functional evaluations: a clinical correlation using Fugl-Meyer assessment scale, Berg balance scale and Barthel index. Arq Neuropsiquiatr. 2006;64(3):731-5. 

  22. An SH, Seo YJ, Park C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ural Control, ADL Function, Muscle Tone,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Univ Trainde Phys Therapists. 2007;14(1):64-73. 

  23. Zwecker M, Levenkrohm S, Fleisig Y et al.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cognitive FIM instrument, and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relation to functional outcome of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3):324-5. 

  24. Chong BH. Correlations between functional recovery and visual perception therapy in stroke patients. Dong 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4. 

  25. Su CY, Chang JJ, Chen HM et al.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stroke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and intracerebral hemorrhage. Arch Phys Med Rehabil. 2000;81(6):706-14. 

  26. Cate Y, Richards L.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on tests of basic visual functions and visual-perceptual processing in persons after brain injury. Am J Occup Ther. 2000;54(3):326-34. 

  27. Hong SY.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balance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 Chungnam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4. 

  28. Titus MN, Gall NG, Yetxa ET et al. Correlation of perceptual perform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m J Occup Ther. 1991;45(5):410-8. 

  29. Lee DY. The effect of visual cognitive dual-task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Sahmy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8. 

  30. Park JS. The effects of the purposeful visual-feedback training on the postural balance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legia. Inj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