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갯벌과 주변 연안역 사이의 물질순환, 특히 영양염 순환에 있어서의 갯벌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서해 남부 해역의 대표적 갯벌인 함평만 입구에서 4차례(2008년 8월 5일과 18일, 2008년 10월 28일, 2009년 2월 9일)에 걸쳐 조위변화에 따른 영양염 변동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온은 조위변화에 따라 여름철 간조시 높고 만조시 낮은 반면, 가을과 겨울철은 간조시 낮고 만조시 높아 여름과 대조적인 경향을 보인다. 염분은 조위가 상승함에 따라 외해수가 유입되어 여름/겨울철에 만조시 높고, 간조시 낮은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는 반면, 가을철에는 만조시 낮고 간조시 높은 반대의 경향을 보인다. 모든 계절에서 만조와 간조시 염분의 차는 0.3 psu미만이였다. 한편 함평만에서 관측된 모든 영양염은 조위변화에 따라 여름철 만조시 낮고 간조시 높은 반면, 겨울철은 만조시 높고 간조시 낮아 여름철과 반대의 패턴을 보인다. 특징적으로 가을철은 조위변화에 따른 뚜렷한 농도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함평만 갯벌이 여름철에는 영양염의 공급원으로 겨울철에는 영양염의 제거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영양염 계절별 조위변동은 외해수와 갯벌에서의 영양염 농도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갯벌과 외해수 사이의 상호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irculation of nutrient between muddy tidal flat and the surrounding coastal area, tidal time-scale variations in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at the entrance of Hampyeong Bay. The results show that the temperature was higher in ebb tide and lower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량이 큰 한강과 금강이 영향을 미치는 다른 서해 중부 해역과는 다르게 서해 남부 해역은 상대적으로 유량이 작은 영산강 이외의 다른 강이나 하천이 없어 생태계의 영양염 순환에 있어서 주변 연안에 광활하게 발달하고 있는 갯벌의 역할이 매우 크게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갯벌이 주변 연안역 사이의 영양염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해 남부 해역의 대표적인 갯벌로써 하천과 같은 다른 영양염 공급원이 없는 함평만에서 조위변화에 따른 영양염 농도 변동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의 물질수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가 되는 것은? 연안생태계에 필요한 영양염의 상당부분은 이러한 초기속성 과정 등에 의해 저층으로부터 용출되는 과정으로 공급된다(Zeitschel and Davies[1978]). 이러한 영양염의 유입-유출은 퇴적물의 상층부에서 진행되는 생지화학적 물질순환의 중요한 과정으로 생태계의 물질수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가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서해안에 광범위하게 발달하고 있는 갯벌은 주변 연안역에서의 영양염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퇴적층의 공극수 모델과 퇴적물 챔버를 이용한 갯벌 퇴적층에서의 영양염 플럭스에 관한 연구의 문제점은? [2006]). 이러한 기존의 연구방법들은 갯벌과 같이 여러 물질들이 상호작용하며 끊임없이 순환되는 환경에서는 조류 등과 같은 여러 영향을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갯벌 전체에 대한 영양염 저층 플럭스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많은 오차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갯벌이 주변 연안역의 영양염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갯벌에서 조위에 따른 영양염 농도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된다(김과 김[2008]).
서해안에서 주변 연안역에서의 영양염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은? 이러한 영양염의 유입-유출은 퇴적물의 상층부에서 진행되는 생지화학적 물질순환의 중요한 과정으로 생태계의 물질수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가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서해안에 광범위하게 발달하고 있는 갯벌은 주변 연안역에서의 영양염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도희, 양재삼, 2001, "곰소만에서의 오염물질 플럭스 및 탈질산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4권, 32-41. 

  2. 김동선, 김경희, 2008, "서해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Ocean and Polar Res, 제30권, 1-10. 

  3. 나태희, 이동섭, 2005, "공극수 모델로 추정한 강화도 갯벌의 탈질산화 작용", 한국해양학회지, 제10권, 55-68. 

  4. 양재삼, 김영태, 2002, "곰소만 조간대에서 인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제7권, 171-180. 

  5. 양재삼, 김기현, 김영태, 2003, "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질소 성분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제8권, 251-261. 

  6. 조홍연, 구본주, 2008, "강화도 남단 조간대에서의 수온 및 염분 변동양상 분석", 한국해안, 해양공학회논문집, 제20권, 310-320. 

  7. An, S. and Joye, S.B., 2001, "Enhancement of coupled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by benthic photosynthesis in shallow estuarine sediments", Limnol. Oceanogr., Vol. 46, 62-74. 

  8. Balls, P. W., 1992, "Nutrient behaviour in two contrasting Scottish estuaries, the Forth and Tay", Oceanol. Acta., Vol. 15, 261-277. 

  9. Bally, G., Mesnage, V., Deloffre, J., Clarisse, O., Lafite, R. and Dupont, J.-P., 2004,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orewaters in an intertidal mudflat of the Seine estuary: Relationship to erosion- deposition cycle", Mar. Poll. Bull., Vol. 49, 163-173. 

  10. Bates, M. H. and Neafus, N. J., 1980, "Phosphorus release from sediments from Lake Carl Blackwell, Oklahoma", Water Res., Vol. 14, 1477-1481. 

  11. Billen G., Somville, M., De Becker E. and Servais, P., 1985, "A nitrogen budget of the Scheldt hydrographical basin", Neth. J. Sea Res., Vol. 19, 223-230. 

  12. Billerbeck, M., Werner, U., Bosselmann, K., Walpersdorf. and Huettel, M., 2006, "Nutrient release from an exposed intertidal sand flat", Mar. Ecol. Prog. Ser., Vol. 316, 35-51. 

  13. Chau, K. W., 2002, "Field measurements of SOD and sediment nutrient fluxs in a land-locked embayment in Hong Kong", Adv. Environ. Res., Vol. 6, 135-142. 

  14. Defant, A., 1961, Physical Oceanography, Vol. 1, Pergamon Press, Oxford, 729 pp. 

  15. Dietrich, G., Kalle, K., Krauss, W. and Siegler, G., 1980, Gener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2nd Edi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626 pp. 

  16. Hu, W. F., Lo, W., Chua, H., Sin, S. N. and Yu, P. H. F., 2001, "Nutrient release and sediment oxygen demand in a eutrophic land-locked embayment in Hong Kong", Environ. Int., Vol. 26, 369-375. 

  17. Kairesalo, T., Tuominen, L., Hartikainen, H. and Rankinen, K., 1995, "The role of bacteria in the nutrient exchange between sediment and water in a flow-through system", Microb. Ecol., Vol. 29, 129-144. 

  18. Knowles, N., 2002, "Natural and management influences on freshwater inflows and salinity in the San francisco Estuary at monthly to interannual scales", Water Resour. Res., Vol. 38, 25 pp. 

  19. Laima, M., Brossard, D., Sauriau, P.-G., Girard, M., Richard, P., Gouleau, D. and Joassard, L., 2002, "The influence of long emersion on biota, ammonium fluxes and nitrification in intertidal sediment of Marennes-Oleron Bay, France", Mar. Environ. Res., Vol. 53, 381-402. 

  20. Lebo, M. E. and Sharp, J. H., 1992, "Modeling phosphorus cycling in a well-mixed coastal plain estuary", Estuar. Coast. Shelf Sci., Vol. 35, 235-252. 

  21. Grunwald, M., Dellwing, O., Liebezeit, G., Schnetger, B., Reuter, R. and Brumsack., H.-J., 2007, "A novel time-series station in the Wadden Sea (NW Germany): First results on continuous nutrient and methane measurements", Mar. Chem., Vol., 107, 411-421. 

  22. Mortimer, R. J. G., Davey, J. T., Krom, M. D., Watson, P. G., Frickers, P. E. and Clifton, R. J., 1999, "The effect of macrofauna on porewater profiles and nutrient fluxes in the intertidal zone of the Humber estuary", Estuar. Coast. Shelf Sci., Vol. 48, 683-699. 

  23. Neumann G., 1972, Precipitation, evaporation and monthly salinity variations in the inner gulf of Guinea near Equator, In: Gordon, A.L., and Breach, New York, Vol. 1, 19-48 pp. 

  24. Pastuszak, M., Witek, Z., Nagel, K., Wielgat M. and Grelowski, A., 2005, "Role of the Oder estuary(southern Baltic) in transformation of the riverine nutrient loads", J. Mar. Syst., Vol. 57, 30-54. 

  25. Rahm, L., Conley, D. J., Sanden, P., Wulff. and Stalnacke, P., 1996, "Time series analysis of nutrient inputs to the Baltic Sea and changing DSi/DIN ratio", Mar. Ecol. Prog. Ser., Vol. 130, 221-228. 

  26. Rendell, A. R., Horrobin, T. M., Jickells, T. D., Edmunds, H. M., Brown, J. and Malcolm, S., 1997, "Nutrient cycling in the Great Ouse estuary and its impact on nutrient fluxes to the Wash, England", Estuar. Coast. Shelf Sci., Vol. 45, 653-668. 

  27. Risgaard-Petersen, N., Rysgaard, S., Nielsen, L.P. and Revsbech, N.P., 1994, "Diurnal variations of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in sediments colonized by benthic microphytes", Limnol. Oceanogr., Vol. 39, 573-579. 

  28. Vidal, M., 1994, "Phosphate dynamics tied to sediment disturbances in Alfacs Bay(NW Mediterranean)", Mar. Ecol., Vol. 110, 211-221. 

  29. Zeitzschel, B. and Davies, J. M., 1978, "Benthic growth chambers. Rapp. R.-v. Reun", Cons. Int. Explor. Mer., Vol. 173, 31-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