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정상인에서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 합성기법을 이용한 피질척수로의 위치에 따른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orticospinal Tract Segmented by Using Co-registered Functional MRI and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원문보기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13 no.1, 2009년, pp.40 - 46  

장성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  홍지헌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  변우목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황창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병원 재활의학교실) ,  양동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병원 재활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fMRI)과 확산텐서영상(DTI) 합성기법을 이용하여 피질척수로의 여러 부위에서 정량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 정상인 10명 (남: 8, 여: 2, 평균연령: 30세, 연령분포 : 22 -38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fMRI는 1.5T를 이용하였으며, 손의 쥐기 펴기를 수행하였다. fMRI와 확산텐서섬유로(DTT)의 합성이 가능한 DtiStudi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질척수로를 3차원 영상화하였다. 이때, 시작 관심영역은 2차원 분할 비등방성(fractional anisotropy, FA) 색지도(color map)에서 fMRI의 운동 수행 시 활성부위가 가장 많은 곳으로, 목표 관심영역은 하부 전방 뇌교의 피질척수 부위로 설정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관심영역을 부채살부터 연수까지 좌우 각각 5곳에 설정하여 분할 비등방성과 현성 확산계수(ADC)를 측정하였다. 결과 : 모든 대상자는 fMRI에서 일차 감각운동 영역이 주로 활성화되었다. 확산텐서 영상에서 피질척수로의 경로는 일차 감각운동 영역부터 연수까지 주행하였다. 피질척수로의 FA 값은 모든 대상자에서 중뇌와 내측 섬유띠의 후지가 타 부위보다 높았다. 결론 : fMRI와 DTT의 합성기법은 피질척수로 상태의 3차원 영상화 및 각 부위에서 FA와 ADC값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였다. 앞으로, fMRI와 DTT 합성기법은 뇌손상 환자에서 피질척수로의 명확한 상태를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orticospinal tract (CST) at the multiple levels by using functional MRI (fMRI) co-registered to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DTT). Materials and Methods : Ten normal subjects without any history of neuro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대상자들은 눈을 감은 채 앙와위로 누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몸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정 기구를 사용해 전완을 내전상태로 유지하였다. 20초간의 운동기와 20초간의 휴식기를 반복하였으며, 운동기에는 메트로놈을 이용하여 1Hz의 빈도로 수지의 쥐기와 펴기 동작을 반복하였고 각각의 휴지기와 운동기를 3회(총60) 반복하였다. 혈액산소수준의존(blood oxygenation level dependent, BOLD) fMRI 영상은 1.
  • 피질척수로는 2차원 분할 비등방성 색지도에서 적색(X component, 좌-우), 녹색(Y component, 전-후), 청색(Z component, 상-하)으로 각각 할당되었다. 2차원 분할 비등방성 색지도에서 시작 ROI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손 운동에 의해 활성화된 대뇌피질의 일차 감각운동 영역을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며, 목표 ROI는 하부 뇌교의 앞쪽 청색부위 (blue portion)로 설정하였고, 양측 ROI를 모두 통과하는 뇌 백질 섬유만 재구성 되도록 하였다. 이때 섬유로의 역치는 분할 비등방성과 각의 종료(angle termination)에서 각각 0.
  • DtiStudio 확산텐서영상에서 좌우 피질척수로의 부채살, 내막 후지, 중뇌, 뇌교, 연수에서 각각의 ROI를 설정한 후 분할 비등방성과 현상 확산계수 값을 구하였다.
  • 그러므로,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의 합성기법은 뇌 연구에서 매우 유용한 영역이나, 사용 방법 및 과정상의 복잡성 등으로 인하여 피질척수로에 대한 체계적인 시도가 진행된 바 없으므로,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피질척수로를 3차원 영상화 후 각 부위별로 정량적 분석을 시도 하였다.
  •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에서 활성된 영역을 확산텐서영상으로 합성이 가능한 프로그램인 DtiStudio, version 1.02 software (H. Jiang, S, Mori Department of Radiology, Johns Hopkins University, Baltimore, Maryland, U.S.A.)에 포함된(18), fiber assignment continuous track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19), 피질척수로를 3차원으로 재구성하였다. 피질척수로는 2차원 분할 비등방성 색지도에서 적색(X component, 좌-우), 녹색(Y component, 전-후), 청색(Z component, 상-하)으로 각각 할당되었다.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1인당 총 780개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자료는 MATLAB (Mathwork INC., Natick, MA, U.S.A.)에서 SPM-99 software (Wellcome Department of Cognitive Neurology, London, UK)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휴식기와 운동기의 뇌 활성화 차이는 통계적 검증을 통해 p < 0.
  • 대상자들은 눈을 감은 채 앙와위로 누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몸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정 기구를 사용해 전완을 내전상태로 유지하였다. 20초간의 운동기와 20초간의 휴식기를 반복하였으며, 운동기에는 메트로놈을 이용하여 1Hz의 빈도로 수지의 쥐기와 펴기 동작을 반복하였고 각각의 휴지기와 운동기를 3회(총60) 반복하였다.
  • 모든 영상은 전교련과 후교련을 연결한 선(AC-PC line)에 평행이 되도록 경축면(transaxial)으로 얻었으며, 해부학적 영상은 T1 강조영상을 얻었다 (13 axial, slice thickness 5 mm, matrix 128×128, FOV 210 mm).
  • 본 저자들은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의 합성 기법을 이용하여 피질척수로의 기능적 연결성과 해부학적 연결성을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을 통해 부위에 따른 분할 비등방성과 현성 확산계수 값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뇌손상 후 피질척수로의 손상정도와 뇌가소성에 의한 운동신경 회복기전의 정확한 평가 및 추적 연구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영상촬영조건은 확산강조 경사자장의 방향수 32방향, Matrix 128×128, field of view = 221×221 mm2 , TR/TE/FA 10,726 ms/76 ms/90º, EPI factor=67, bvalue= 1000 s/mm2 , NEX=1, thickness = 2.3 mm로 하였다.
  • 한편,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의 합성기법을 이용한 기존 피질척수로의 영상화는, 중뇌 이하에서 내측 섬유 띠와 소뇌각과의 구분에 제한이 있었으며, 단수 ROI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방법은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에서 손의 운동에 의하여 활성화된 일차 감각운동 영역을 시작 ROI로, 목표 ROI은 이미 공통으로 지나가는 경로만을 취하여 뇌교 아래인 연수까지 주행하는 피질척수로를 명확하게 3차원 영상화하였으며, 이전 해부학적 및 영상학적 경로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피질과 피질 하 영역에서 피질척수로의 상태 및 변화를 3차원적으로 연구하는 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혈액산소수준의존(blood oxygenation level dependent, BOLD) fMRI 영상은 1.5 T MR 기기(Philips Gyroscan Intera system)에서 두부코일을 사용하여 경사자장 방향 EPI 기법을 적용하였다 (TR/TE= 2 sec/6 ms, FOV 210 mm, matrix 64×64, slice thickness 5 mm).

대상 데이터

  • 모든 영상은 전교련과 후교련을 연결한 선(AC-PC line)에 평행이 되도록 경축면(transaxial)으로 얻었으며, 해부학적 영상은 T1 강조영상을 얻었다 (13 axial, slice thickness 5 mm, matrix 128×128, FOV 210 mm).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1인당 총 780개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자료는 MATLAB (Mathwork INC.
  • 모든 대상자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과 DtiStudio 확산텐서 영상에서 일측 손의 운동 시 반대 측 대뇌피질의 일차 감각운동 영역을 중심으로 활성화가 보였다 (Fig. 1a).
  • 본 연구에서는 Synergy-L Sensitivity Endocinding (SENSE) 두부코일을 장착한 1.5T MR 기기 (Philips Gyroscan Intera system)를 사용하였다. 영상 기법은 180º무선주파수 진동(radio frequency pulse) 전 후의 두 확산-민감 변화도로 single-shot spin echo EPI를 사용하였고, 자동 조정장치 교정(navigator echo-phase correction)은 동작 교정장치(motion correction)로 채택되었다.
  • 연구 대상자는 과거 병력상 신경학적 증상이 없고, 에딘버그 손잡이 검사(17)에서 오른손이 우성으로 판명된 10명의 정상 성인(남자 8명, 여자 2명, 평균 연령 29.5±5.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 영상 기법은 180º무선주파수 진동(radio frequency pulse) 전 후의 두 확산-민감 변화도로 single-shot spin echo EPI를 사용하였고, 자동 조정장치 교정(navigator echo-phase correction)은 동작 교정장치(motion correction)로 채택되었다. 영상 범위는 전교련-후교련 연결선에 평행하게 60개의 인접하는 절편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촬영조건은 확산강조 경사자장의 방향수 32방향, Matrix 128×128, field of view = 221×221 mm2 , TR/TE/FA 10,726 ms/76 ms/90º, EPI factor=67, bvalue= 1000 s/mm2 , NEX=1, thickness = 2.

데이터처리

  • 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나이 및 성별의 분포에 대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분할 비등방성 및 현성 확산계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이에 대한 각 부위별 좌우 측의 차이와 좌측 및 우측에서의 부위에 따른 각 종속변수의 차이를 일원배치분산 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 분석은 bonferroni를 통해 검증 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으로 p < 0.
  •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5.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나이 및 성별의 분포에 대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분할 비등방성 및 현성 확산계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이에 대한 각 부위별 좌우 측의 차이와 좌측 및 우측에서의 부위에 따른 각 종속변수의 차이를 일원배치분산 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 분석은 bonferroni를 통해 검증 하였다.
  • 휴식기와 운동기의 뇌 활성화 차이는 통계적 검증을 통해 p < 0.001(uncorrected)일 때 의미 있게 활성화된 부위로 간주하였다.

이론/모형

  • 영상 기법은 180º무선주파수 진동(radio frequency pulse) 전 후의 두 확산-민감 변화도로 single-shot spin echo EPI를 사용하였고, 자동 조정장치 교정(navigator echo-phase correction)은 동작 교정장치(motion correction)로 채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질척수로의 여러 부위에서 정량적 특성하기 위해 이용한 기법은? 목적 :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fMRI)과 확산텐서영상(DTI) 합성기법을 이용하여 피질척수로의 여러 부위에서 정량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 정상인 10명 (남: 8, 여: 2, 평균연령: 30세, 연령분포 : 22 -38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한 정상 피질척수로에 대한 부위별 최초의 정량적 연구는 Virta 등(20)이 연령, 성별, 좌우에 따라 대뇌각, 뇌교, 연수에서 분할 비등방성, 현성 확산계수, 주요 확산력을 제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한 정상 피질척수로에 대한 부위별 최초의 정량적 연구는 Virta 등(20)이 연령, 성별, 좌우에 따라 대뇌각, 뇌교, 연수에서 분할 비등방성, 현성 확산계수, 주요 확산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분할 비등방성은 대뇌각이 가장 높았 으며 연수, 뇌교 순으로, 성별과 좌우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낮은 연령군이 높은 연령군보다 대뇌각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 후 Stieltjes 등(15)은 뇌간의 연수, 뇌교, 중뇌에서 피질척수로, 내측 섬유띠와 소뇌각에 대한 정량적 분석으로 피질척수로의 분할 비등방성은 중뇌의 값은 Virta 등과 일치하였으나, 중뇌, 뇌교에서는 다른 결과를 보고 하였다.
대상자들이 고정 기구를 사용해 전완을 내전상태로 유지한 이유는? 대상자들은 눈을 감은 채 앙와위로 누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몸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정 기구를 사용해 전완을 내전상태로 유지하였다. 20초간의 운동기와 20초간의 휴식기를 반복하였으며, 운동기에는 메트로놈을 이용하여 1Hz의 빈도로 수지의 쥐기와 펴기 동작을 반복하였고 각각의 휴지기와 운동기를 3회(총60) 반복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Davidoff RA. The pyramidal tract. Neurology 1990;40:332-339. 

  2. Martin JH. The corticospinal system: from development to motor control. Neuroscientist 2005;11:161-173. 

  3. Wiesendanger M. Pyramidal tract function and the clinical "pyramidal syndrome". Hum Neurobiol 1984;2:227-234. 

  4. Ahn YH, Ahn SH, Kim H, Hong JH, Jang SH. Can stroke patients walk after complete lateral corticospinal tract injury of the affected hemisphere- Neuroreport 2006;17:987-990. 

  5. Chollet F, DiPiero V, Wise RJ, Brooks DJ, Dolan RJ, Frackowiak RS. The functional anatomy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in humans: a study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n Neurol 1991;29:63-71. 

  6. Macdonell RA, Jackson GD, Curatolo JM, et al. Motor cortex localization using functional MRI an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Neurology 1999;53:1462-1467. 

  7. Cramer SC. Changes in motor system function and recovery after stroke. Restor Neurol Neurosci 2004;22:231-238. 

  8. Basser PJ, Pierpaoli C. Microstructural and physiological features of tissues elucidated by quantitative-diffusion-tensor MRI. J Magn Reson B 1996;111:209-219. 

  9. Mori S, Crain BJ, Chacko VP, van Zijl PC. Three-dimensional tracking of axonal projections in the brain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n Neurol 1999;45:265-269. 

  10. Ronen I, Ugurbil K, Kim DS. How does DWI correlate with white matter structures- Magn Reson Med 2005;54:317-323. 

  11. Conturo TE, Lori NF, Cull TS, et al. Tracking neuronal fiber pathways in the living human brain. Proc Natl Acad Sci U S A 1999;96:10422-10427. 

  12. Chenevert TL, Brunberg JA, Pipe JG. Anisotropic diffusion in human white matter: demonstration with MR techniques in vivo. Radiology 1990;177:401-405. 

  13. Pierpaoli C, Jezzard P, Basser PJ, Barnett A, Di Chiro G. Diffusion tensor MR imaging of the human brain. Radiology 1996;201:637-648. 

  14. Ciccarelli O, Parker GJ, Toosy AT, et al. From diffusion tractography to quantitative white matter tract measures: a reproducibility study. Neuroimage 2003;18:348-359. 

  15. Stieltjes B, Kaufmann WE, van Zijl PC, et al. Diffusion tensor imaging and axonal tracking in the human brainstem. Neuroimage 2001;14:723-735. 

  16. Kunimatsu A, Aoki S, Masutani Y, et al. The optimal trackability threshold of fractional anisotropy for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of the corticospinal tract. Magn Reson Med Sci 2004;3:11-17. 

  17. Oldfield RC.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handedness: the Edinburgh inventory. Neuropsychologia 1971;9:97-113. 

  18. Jiang H, van Zijl PC, Kim J, Pearlson GD, Mori S. DtiStudio: resource program for diffusion tensor computation and fiber bundle tracking.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2006;81:106-116. 

  19. Parker GJ, Wheeler-Kingshott CA, Barker GJ. Estimating distributed anatomical connectivity using fast marching methods and diffusion tensor imaging. IEEE Trans Med Imaging 2002;21:505-512. 

  20. Virta A, Barnett A, Pierpaoli C. Visualizing and characterizing white matter fiber structure and architecture in the human pyramidal tract using diffusion tensor MRI. Magn Reson Imaging 1999;17:1121-1133. 

  21. Toosy AT, Werring DJ, Orrell RW, et al. Diffusion tensor imaging detects corticospinal tract involvement at multiple levels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3;74:1250-1257. 

  22. Ahn YH, Kim SH, Han BS, et al. Focal lesions of the corticospinal tract demonstrated by diffusion tensor imaging in patients with diffuse axonal injury. NeuroRehabilitation 2006;21:239-243. 

  23. Wong JC, Concha L, Beaulieu C, Johnston W, Allen PS, Kalra S. Spatial profiling of the corticospinal tract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J Neuroimaging 2007;17:234-240. 

  24. Guye M, Parker GJ, Symms M, et al. Combined functional MRI and tractography to demonstrate the connectivity of the human primary motor cortex in vivo. Neuroimage 2003;19:1349-1360. 

  25. Toosy AT, Ciccarelli O, Parker GJ, Wheeler-Kingshott CA, Miller DH, Thompson AJ. Characterizing function-structure relationships in the human visual system with functional MRI and diffusion tensor imaging. Neuroimage 2004;21:1452-1463. 

  26. Upadhyay J, Ducros M, Knaus TA, et al. Function and Connectivity in Human Primary Auditory Cortex: A Combined fMRI and DTI Study at 3 Tesla. Cereb Cortex 2007;17:2420-2432. 

  27. Takahashi E, Ohki K, Kim DS. Diffusion tensor studies dissociated two fronto-temporal pathways in the human memory system. Neuroimage 2007;34:827-838. 

  28. Lazar M, Weinstein DM, Tsuruda JS, et al. White matter tractography using diffusion tensor deflection. Hum Brain Mapp 2003;18:306-321. 

  29. Hendler T, Pianka P, Sigal M, et al. Delineating gray and white matter involvement in brain lesions: three-dimensional alignment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and diffusion-tensor imaging. J Neurosurg 2003;99:1018-1027. 

  30. Cherubini A, Luccichenti G, Peran P, et al. Multimodal fMRI tractography in normal subjects and in clinically recovere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Neuroimage 2007;34:1331-1341. 

  31. Ino T, Nakai R, Azuma T, Yamamoto T, Tsutsumi S, Fukuyama H. Somatotopy of corticospinal tract in the internal capsule shown by functional MRI and diffusion tensor images. Neuroreport 2007;18:665-6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