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준공도면을 이용한 수치지형도 갱신시스템의 이력 DB 설계
History Database Construction for Digital Map Updating System using As-Built Drawings 원문보기

한국GIS학회지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v.17 no.2 = no.49, 2009년, pp.183 - 189  

양성철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기락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유기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형 지물의 생성, 소멸, 변경으로 인한 수치지형도의 변경은 정보의 변경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수치지형도 상의 지형 지물의 복잡도가 커지고 다른 객체와의 관계도 복잡해지고 있다. 정확성과 최신성을 유지하면서 수치지형도에 효율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준공도면을 이용한 부분갱신을 수행하는데 이는 현장측량을 수행하지 않는 부분갱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나 정보가 포함된 파일 혹은 데이터베이스 전체가 생성 혹은 소멸될 경우와 달리 객체별로 변경이 될 경우 원천자료의 상이, 갱신일자의 상이 등 부가적인 문제가 발생하므로 공간정보 속성정보의 생성, 변동, 소멸에 대한 이력 항목을 선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준공도면을 활용한 수치지형도 갱신시스템의 업무를 분석하고 필요한 이력항목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dification of digital maps because of creation, extinction, and change of topology can be expressed by change of information. But according to complication of society, topology of digital maps and relation with another objects is more complicated. We carry out partial update using as-built d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치지형도 부분 갱신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객체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이력을 저장하고 질의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준공도면을 이용한 수치지도 수시갱신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어떠한 이력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한지 업무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부분 갱신은 객체별 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이력으로 수치지형도 무결성 유지에 필요한 공간정보, 속성정보 검수 결과와 일시, 갱신에 사용된 준공도면에 대한 건설공사 계획 기관, 준공도면 작성기관, 작성일자 등을 저장하며 수치지형도 도엽별로 무결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품질검사에 사용하기 위해 검수결과를 저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준공도면을 이용한 수치지도 수시갱신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어떠한 이력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한지 업무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부분 갱신은 객체별 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이력으로 수치지형도 무결성 유지에 필요한 공간정보, 속성정보 검수 결과와 일시, 갱신에 사용된 준공도면에 대한 건설공사 계획 기관, 준공도면 작성기관, 작성일자 등을 저장하며 수치지형도 도엽별로 무결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품질검사에 사용하기 위해 검수결과를 저장하였다. 수치지형도를 갱신할 때를 준공도면을 사용하여 부분 갱신할 때 사회가 복잡해지고 정보의 필요성이 증대 되면서 국가기본지리정보의 정확성, 최신성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고 그에 따라 데이터 갱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므로 수치지형도 갱신시스템과 유사한 다른 시스템에 본 이력 관리 기술을 적용하면 객체별 이력을 저장, 질의할 수 있고 이를 유지/보수와 품질 관리에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 또한, 객체가 시간에 따라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수치지형도는 현재의 상태만을 표현하고 있으나 준공도면을 이용한 갱신 시스템에서 객체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이력을 저장하고 질의할 수 있는 필요성이 생긴다. 이와 같이 수치지형도 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공간정보, 속성정보의 생성, 변동, 소멸에 대한 이력 항목과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준공도면을 활용한 수치 지형도 갱신시스템의 업무를 분석한 후 필요한 이력 항목을 선정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제고하였다. GIS 관련 시스템 운영을 위해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연구는 주로 시스템에 시간을 확장하기 위한 시공간 데이터 모델과 시스템에 적합한 이력관리 형식, 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춘경, 2007; 최병길, 2004)가 수행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치지형도/기본지리정보를 유지 관리할 때 최선방안은 무엇인가? 또한, 미국의 SDTS에서도 데이터 이력을 데이터 품질요소로 규정하고 여기에 데이터 생산에 사용된 원시자료에 대한 정보, 투영과 좌표변환 의 매개변수들, 결정인자와 판단기준을 수록하고 있다(국토지리정보원, 1998). 수치지형도/기본지리정보를 유지 관리할 때 최선방안은 지형지물의 갱신 필요성이 생겨 갱신했을 때 이에 관한 작업 내용과 검수의 결과를 기록하여 무결성을 유지하고 이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갱신될 공간객체가 기존 수치지형도/기본지리정보 DB의 자료와 상충되지 않도록 수정 또는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한다.
데이터의 이력이란 무엇인가? 데이터의 이력이란 생성되어 수정, 편집되고 변환, 저장되는 등의 일련의 과정에서 데이터에 대한 역사를 기록하는 것이다(국토개발연구원, 1997). 이러한 이력은 데이터의 실제 내용을 묘사하기 보다는 생성, 수정, 변환의 과정에 대한 역사로서 품질측정의 대안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데이터의 이력은 무엇으로 사용이 가능한가? 데이터의 이력이란 생성되어 수정, 편집되고 변환, 저장되는 등의 일련의 과정에서 데이터에 대한 역사를 기록하는 것이다(국토개발연구원, 1997). 이러한 이력은 데이터의 실제 내용을 묘사하기 보다는 생성, 수정, 변환의 과정에 대한 역사로서 품질측정의 대안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김미정(2003)은 이력을 포함한 항목으로 공간데이터베이스의 품질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이권한.이한나.김대중, 2003, "사용자 관점에서의 지형DB 품질 확보를 위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11권 제4호, pp.359-370. 

  2. 이춘경.최중현.박태근, 2007, "건축물 유지관리 주체간 효율적인 정보교환을 위한 유지관리 이력관리시스템 모듈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3권 제9호, pp.221 -230. 

  3. 최병길.조광희.이형수.조태인, 2004, "공간데이터 구축공정 및 이력 관리 시스템 개발", 한국측량학회 2004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355-360. 

  4. 백주연.이성종.주영도.류근호, 1997,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의 객체 이력 지원", 한국정보과학회 1997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제2호, pp.201-204. 

  5. 배종철.이화종.류근호, 1999, "지적관리시스템을 위한 객체이력관리기법", 한국정보과학회 1999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제26권 제2호, pp.373-375. 

  6. 백주연.이성종.류근호, 2000, "고딕 GIS 도구를 이용한 시공간 객체의 표현과 이력관리", 정보과학회논문지, 제27권 제1호, pp.101-112. 

  7. 김미정.안종천.조우현, 2003, "공간데이터베이스의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토지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제11권 제4호, pp.1-15. 

  8. 김영학, 2008, "도로명주소의 이력관리형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0권 제2호, pp.47-62. 

  9. 김지영.김정옥.유기윤, 2009, "SOC 준공도면에 기반한 수치지형도 갱신을 위한 식별자 생성", 2009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10. 박승룡.박우진.유기윤, 2009, "수치지형도 갱신을 위한 건설도면 자료의 GIS 데이터 변환에 관한 연구", 2009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11. 국토개발연구원, 1997, "수치지형도의 정확도 향상방안 연구". 

  12. 국토지리정보원, 1998, "수치지형도 검수방안에 관한 연구". 

  13. 김계현.김희두.임상성.이경숙.유승근, 1999, "수치지도 공급을 위한 국립지리원 외부메타데이터의 설계", 개방형GIS연구회 논문지, 제1권 제1호, pp.89-98. 

  14. 국토지리정보원, 2008, "수치지도 수정용 건설공사 준공도면 작성에 관한 지침",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08-146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