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태풍 위험 평가
Application of GIS to Typhoon Risk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GIS학회지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v.17 no.2 = no.49, 2009년, pp.243 - 249  

이승수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  장은미 (한국공간정보통신)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10년간 발생한 자연재해 중 태풍의 피해는 전체의 60%를 넘을 정도로 풍수해의 피해는 막대하며, 지속적 산업화와 개발로 인해 피해 규모 역시 매년 1조원 이상을 상회하고 있어,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 경감 노력이 매우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풍수해의 피해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예방 및 대비는 물론 재해 발생에 따른 응급 대응 및 복구의 효율성을 제고를 목적으로 과학적 방법론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풍에 의한 피해 예측은 위험도 (Hazard)의 추정, 피해 대상 자료의 구축 (Inventory) 및 피해대상의 취약도 (Fragility)의 세 가지 요소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험도는 자연재해의 특성인 강우, 풍속 등을 물리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으며, 피해 대상 자료는 공공 및 사유 시설물을 총 망라함으로써 피해의 사회, 경제적인 피해 규모 예측에 활용된다. 각각의 피해 대상이 위험도에 따라 갖는 취약도는 최종 피해 및 손실 규모의 평가 자료로 이용된다. 이때 위험도의 추정 및 피해 대상자료의 구축을 위한 핵심적인 방법론으로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이 크게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 피해 예측을 위한 자연재해 위험성 평가 방법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고도 및 자연 지형, 지표의 특성 및 활용도, 피해 대상인 인공 시설물 등의 자료 항목을 분류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태풍 위험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mages from typhoon events have contributed more than 60 percent of total economic and social loss and the size of loss have been increased up to 800 million dollars per year in Korea,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mitigate the loss of natural disasters. To facilitate the evalu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태풍 위험 평가를 위한 자연 재해 위험성 평가 방법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자연 지형, 지표의 특성 및 활용도, 피해 대상인 인공 시설물 등의 자료 항목을 분류하고 태풍 피해 예측 기술의 핵심 요소로서의 지리정보시스템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풍 위험 평가는 어떤 요소로 구성되는가? 태풍 위험 평가는 일반적 자연재해 위험성 평가 방법에 따라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풍의 위험 요소(Hazard) 산정, 피해 대상 자료 (Exposure)의 구축 및 피해대상의 취약도 (Fragility) 모형에 의한 피해 규모 및 범위 추정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풍수해의 위험성 평가나 피해 예측에서 필수적인 세 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태풍과 같은 풍수해의 위험성 평가나 피해 예측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험성의 인지 및 평가, 취약성의 평가와 피해 규모 및 범위에 대한 분석의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위험요소 (Hazard)의 정량적 산정, 피해 대상 자료 (Exposure)의 구축 및 피해대상의 취약도 (Fragility) 모형의 세 가지 요소가 필수적인데 위험요소는 태풍의 특성인 강우, 풍속 등을 물리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산정할 수 있으며, 피해 대상 자료는 공공 및 사유 시설물을 총망라함으로써 피해의 사회, 경제적인 피해 규모 예측에 활용된다. 각각의 피해 대상이 위험도에 따라 갖는 취약도는 최종 피해 및 손실 규모의 평가 자료로 이용된다.
위험 요소 모델링은 어떤 과정인가? 위험 요소 모델링 (Hazard)은 태풍 재해의 원인이 되는 기상 요소의 강도 및 규모를 물리적/통계적 방법으로 모델링하고 강풍 파괴, 범람 등의 재해 발생 과정을 수리학, 수문학, 풍공학, 해양학 등 자연과학 및 공학을 이용하여 산정하는 과정으로 과거 태풍과 관련된 기상 현상을 통계적 방법으로 처리하거나, 기상학 및 풍공학 이론에 의해 태풍 현상을 수치 모의 함으로써 대상 지역의 풍속이나 강우량을 예측하는 과정이다. 취약성 함수 모델링 (Fragility)는 풍수해의 피해 대상이 되는 건물, 도로, 농작물 등에 강풍, 범람, 침수 등 각종 재해 유형별 강도에 따라 발생 가능한 피해의 정도를 통계학적 접근을 통하여 추정하는 과정으로 과거의 피해 자료를 이용하거나 피해 대상의 저항 성능을 이론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피해 규모를 예측하는 과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이승수, 장은미, 풍수해 피해 예측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2007, 소방방재청. 

  2. 조원철, 이승수 외, 태풍 위험도 추정을 위한 알고리즘분석 연구, 2006, 국립방재연구소. 

  3. 자연재해보험 활성화 방안 연구, 2007, 소방방재청. 

  4. 이승수, 함희정, 산업용 시설물의 풍해손상함수 국산화방안 연구, 2007,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5. 김윤종, 김원명, 유일현, 1993, 지질재해분석을 위한 GIS 응용연구, 한국GIS학회지 1(1): 89-94. 

  6. 이사로, 김윤종, 1996, Drastic System을 이용한 지하수오염가능성 및 위험분석연구 1-11. 

  7. 유환희. 김원석, 2006, 도시홍수모델을 이용한 해안지역의 침수재해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4(3) : 299-309. 

  8. National report on disaster reduction in Vietnam, The World Conference on Disaster Reduction, Kobe-Hyogo, Japan, 18-22 January 2005. 

  9. Swiss Re, Natural catastrophes and man-made disasters in 2004, Sigma, No1/2005. 

  10. 김감래, 정혜진, GIS기법을 이용한 재해상황 통보 및 관리 지원 시스템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24권4호, 2006. 10, pp.359-365. 

  11. 유환희, 김원석, 김성삼,도시홍수모델을 이용한 해안지역의 침수재해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4권3호, 2006.8, pp.299-309. 

  12. 장은미. 2006, 지리정보기반의 재해 관리시스템 구축(I), 민간 보험사의 사례, 태풍의 경우, 대한지리학회지 41(2): 106-120. 

  13. HAZUS-MH, Technical Manual, 2005, FEMA. 

  14. 건축물 구조기준, 2005, 대한건축학회. 

  15. 이영규, 이승수, 한반도 근역 태풍에 의한 지표풍 추정, 한국풍공학회지, 12권2호, 2008.8, pp.121-128. 

  16. 이승수, 이영규, 김학선, 한반도 내습 태풍의 최대풍속 반경 분석, 한국풍공학회지, 11권2호, 2007.12, pp.203-210. 

  17. 이승수, 함희정, 서애숙, 강풍 및 대설 위험도 산정 기법 연구, 2009, 소방방재청.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