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소 도포가 미백 처리된 치아의 색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uoridation on discoloring of bleached teeth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47 no.3, 2009년, pp.257 - 265  

장향아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 대학원 심미수복학과) ,  서규원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 대학원 심미수복학과) ,  류재준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 대학원 심미수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전문가 미백술 후 불소 도포가 커피 착색 시 치아 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4 개의 시편은 임의로4 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 1은 미백과 불소 처리를 하지 않고 치아 색에 대한 커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대조군이다. 그룹 2, 3, 4는 35% 과산화수소로 하루에 30 분간 3 일 동안 미백 처리 하였다. 그룹 2는 불소 도포를 하지 않았고, 그룹 3과 4에는 각각 Cavity shield$^{(R)}$와 pH 7 Gel$^{(R)}$을 도포하였다. 모든 그룹은 7 일간 커피 용액에 침전시켰다. 분광광도계 (VITA Easyshade$^{(R)}$)를 사용하여 명도 지수, 채도 지수, 색상 지수를 3 회 반복 측정하였다. 결과: 미백 처리한 그룹에서 명도 지수, 색상 지수의 증가와 채도 지수 감소를 보였다. 이는 Tukey의 HSD를 이용한 쌍체 비교 시 미백한 그룹의 명도 지수, 색상 지수 변화는 미백하지 않은 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커피 적용 시 모든 그룹에서 명도 지수, 색상 지수의 점차적인 감소를 보였고, 채도 지수는 감소 후 증가하였다. 커피 적용 7 일 후 그룹 간 명도 지수, 채도 지수, 색상 지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5). 또한 Cavity shield$^{(R)}$와 pH 7 Gel$^{(R)}$을 도포한 그룹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결론: 불소 도포가 치아 미백 후 외인성 착색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ement of problem & Purpose: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fluoridation methods after in-office bleaching on the color of teeth during severe staining with coffee. Material and methods: 44 specim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1 (no bleaching, no fluoride, coffee) was serv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실험에서는 35% 과산화수소와 광원을 이용한 전문가 미백술 후 두 가지 타입의 (젤과 바니쉬) 불소 도포에 의한 재광화30가 커피 착색 시 치아의 색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두 가지 형상의 불소를 사용하였다. 젤형상인 pH 7 Gel은 중성으로 산을 중화시켜 실제 임상에서도 전문가 미백술 후 치아의 시린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고, 바니쉬 형상인 Cavity shield를 사용하여 불소 형상 차이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미백제와 불소 도포 사이사이에 불소 도포에 의한 재광화 효과만을 위해 인공 타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 커피 용액은 7 일간 적용시켜 장시간의 커피 적용에 의한 치아 색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루 커피 식음 시간을 30 분이라 하였을 때 매일 커피를 마시는 경우 실험 1 일은 48 일 정도, 7 일은 336 일에 해당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백제의 치아 미백 효과는 구체적으로 어떤 원리를 통해 이루어지는가? 치아 미백 효과는 미백제의 주성분인 과산화수소의 화학 작용으로 나타난다. 카바마이드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와 요소로 분해되며, 요소는 다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고, 불안정한 과산화수소는 다시 물과 활성 산소 (Oxygen radical)로 분해된다. 이렇게 생성된 활성 산소는 치질에 흡수되어 치아 변색을 초래한 착색 물질과 화학 반응을 하여 미백 효과를 갖게 된다. 대부분의 착색 물질들은 색을 나타내는 복합 탄소 이중 결합 (Conjugated carbon-carbon double bond)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중 결합들은 가시광선 스펙트럼 범위에 있는 빛을 흡수하지 않게 되어 미백효과가 나타나게 된다.8
전문가 미백술의 특징은 어떠한가? 본 실험에서는 35% 과산화수소와 광원 (Ultra-lite 180A PlasmaⓇ)을 이용한 전문가 치아 미백술로 3 일에 걸쳐 하루에 10 분씩 3회 총 90 분간 미백제 도포와 광원을 조사하여 치아 미백을 시행하였다. 전문가 미백술은 자가 미백술의 전체 시간 보다 더 적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즉각적인 결과를 보이며9, 자가 미백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농도의 (30 - 35%) 미백제를 사용하므로 입과 점막 보호에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고, 치료하는 동안 치아의 탈수가 일어나 미백 직후에는 밝게 보이나 재수화에 의해 색상 변화가 곧 되돌아오는 경향이 있다.12
미백 치료 후 부작용으로 어떤 것들이 보고되었는가? 이러한 미백 치료 후에 미백 효과9,10와 더불어 다양한 부작용11,12들도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미백 후 법랑질 표면의 미세 경도 감소 및 표면 거칠기 증가,14-17 법랑질 투과성 증가,18 법랑질탈회증가,19 세관 상아질의 경도와 탄성 계수 (Young’s Modulus) 감소20,21 등이 보고되었고 미백제의 농도가 높고 적용시간이 길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뚜렷한 양상을 보인다고 하였다.22,23 특히 Ghavamnasiri 등24은 미백된 치아에서 커피에 대한 법랑질의 착색 감수성이 증가한다고 보고 하였고, 이는 미백 치료가 착색 음식에 의한 치아 변색을 가속화 시킬 수 있고 일정기간 (6 개월에서 1 년)이 지난 후 재 미백 치료를 필요로 하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passer HF. The walking bleach: 35 years later. Dent Today 1996;15:114-7 

  2. Haywood VB, Heymann HO. Nightguard vital bleaching. Quintessence Int 1989;20:173-6 

  3. Haywood VB. History,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urrent bleach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of the nightguard vital bleaching technique. Quintessence Int 1992;23:471-88 

  4. Dostalova T, Jelinkova H, Housova D, Sulc J, Nemec M, Miyagi M, Brugnera Junior A, Zanin F. Diode laser-activated bleaching. Braz Dent J 2004;15 Spec No:SI3-8 

  5. Luk K, Tam L, Hubert M. Effect of light energy on peroxide tooth bleaching. J Am Dent Assoc 2004;135:194-201 

  6. Tavares M, Stultz J, Newman M, Smith V, Kent R, Carpino E, Goodson JM. Light augments tooth whitening with peroxide. J Am Dent Assoc 2003;134:167-75 

  7. Buchalla W, Attin T. External bleaching therapy with activation by heat, light or laser--a systematic review. Dent Mater 2007;23:586-96 

  8. Fasanaro TS. Bleaching teeth: history, chemicals, and methods used for common tooth discolorations. J Esthet Dent 1992;4:71-8 

  9. Sulieman M, MacDonald E, Rees JS, Newcombe RG, Addy M. Tooth bleaching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rbamide 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whitening strips: an in vitro study. J Esthet Restor Dent 2006;18:93-100 

  10. Braun A, Jepsen S, Krause F. Spectrophotometric and visual evaluation of vital tooth bleaching employing different carbamide peroxide concentrations. Dent Mater 2007;23:165-9 

  11. Leonard RH Jr, Smith LR, Garland GE, Tiwana KK, Zaidel LA, Pugh G Jr, Lin NC. Evaluation of side effects and patients’perceptions during tooth bleaching. J Esthet Restor Dent 2007;19:355-64 

  12. Tredwin CJ, Naik S, Lewis NJ, Scully C. Hydrogen peroxide tooth-whitening (bleaching) products: review of adverse effects and safety issues. Br Dent J 2006;200:371-6 

  13. Basting RT, Rodrigues AL Jr, Serra MC. The effects of seven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agents on enamel microhardness over time. J Am Dent Assoc 2003;134:1335-1342 

  14. Cavalli V, Arrais CA, Giannini M, Ambrosano GM. Highconcentrated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agents effects on enamel surface. J Oral Rehabil 2004;31:155-9 

  15. Zantner C, Beheim-Schwarzbach N, Neumann K, Kielbassa AM. Surface microhardness of enamel after different home bleaching procedures. Dent Mater 

  16. Lopes GC, Bonissoni L, Baratieri LN, Vieira LC, Monteiro S Jr. Effect of bleaching agents on the hardness and morphology of enamel. J Esthet Restor Dent 2002;14:24-30 

  17. Pinto CF, Oliveira R, Cavalli V, Giannini M. Peroxide bleaching agent effects on enamel surface microhardness, roughness and morphology. Braz Oral Res 2004;18:306-11 

  18. Schiavoni RJ, Turssi CP, Rodrigues AL Jr, Serra MC, Pe cora JD, Fr $\ddot{o}$ ner IC. Effect of bleaching agents on enamel permeability. Am J Dent 2006;19:313-6 

  19. Efeoglu N, Wood DJ, Efeoglu C. Thirty-five percent carbamide peroxide application causes in vitro demineralization of enamel. Dent Mater 2007;23:900-4 

  20. Chng HK, Ramli HN, Yap AU, Lim CT. Effect of hydrogen peroxide on intertubular dentine. J Dent 2005;33:363-9 

  21. Hairul Nizam BR, Lim CT, Chng HK, Yap AU. Nanoindentation study of human premolars subjected to bleaching agent. J Biomech 2005;38:2204-11 

  22. Bistey T, Nagy IP, Sim $\acute{o}$ A, Hegedus C. In vitro FT-IR study of the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on superficial tooth enamel. J Dent 2007;35:325-30 

  23. Browning WD, Blalock JS, Frazier KB, Downey MC, Myers ML. Duration and timing of sensitivity related to bleaching. J Esthet Restor Dent 2007;19:256-64 

  24. Ghavamnasiri M, Bidar M, Rad AH, Namazikhah MS. The effect of 16 percent carbamide peroxide on enamel staining susceptibility. J Calif Dent Assoc 2006;34:873-6 

  25. Arm $\hat{e}$ nio RV, Fitarelli F, Arm $\hat{e}$ nio MF, Demarco FF, Reis A, Loguercio AD. The effect of fluoride gel use on bleaching sensitivity: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J Am Dent Assoc 2008;139:592-7 

  26. Leonard RH Jr, Smith LR, Garland GE, Caplan DJ. Desensitizing agent efficacy during whitening in an at-risk population. J Esthet Restor Dent 2004;16:49-55 

  27. Attin T, Kielbassa AM, Schwanenberg M, Hellwig E. Effect of fluoride treatment on remineralization of bleached enamel. J Oral Rehabil 1997;24:282-6 

  28. Bizhang M, Seemann R, Duve G, R $\ddot{o}$ mhild G, Altenburger JM, Jahn KR, Zimmer S. Demineralization effects of 2 bleaching procedures on enamel surfaces with and without post-treatment fluoride application. Oper Dent 2006;31:705-9 

  29. Lewinstein I, Fuhrer N, Churaru N, Cardash H. Effect of different peroxide bleaching regimens and subsequent fluoridation on the hardness of human enamel and dentin. J Prosthet Dent 2004;92:337-42 

  30. Buchalla W, Attin T, Schulte-Mo¨nting J, Hellwig E. Fluoride uptake, retention, and remineralization efficacy of a highly concentrated fluoride solution on enamel lesions in situ. J Dent Res 2002;81:329-33 

  31. Hassel AJ, Grossmann AC, Schmitter M, Balke Z, Buzello AM. Interexaminer reliability in clinical measurement of $L^{\ast}C^{\ast}h^{\ast}$ values of anterior teeth using a spectrophotometer. Int J Prosthodont 2007;20:7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