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치과 임플란트 환자의 통계 분석에 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atistical analysis of dental implants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47 no.3, 2009년, pp.266 - 272  

조춘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  조인호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  문은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초록

연구목적: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따라 무치악 환자들이 증가하고 이들의 임플란트 보철 수복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부분 무치악 또는 완전 무치악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치료는 효과적이며 그 성공율 또한 높게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임플란트 사용 범위가 다양해짐에 따라 여러 가지 실패가 보고되고 이러한 실패를 줄이기 위한 방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생존율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해 예측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8년 8월부터 2003년 8월까지, 2003년 9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두 차례로 나누어 진료기록부 조사를 통해 최근 10년 동안 단국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임플란트를 치료받은 환자들의 임플란트 생존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진료기록부 조사를 통해 식립된 임플란트의 수, 임플란트 위치 및 분포, 1차 수술 후부터 2차 수술까지의 기간, 생존율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차 조사에서 612명 환자에게 1680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고, 2차 조사에서는 933명 환자에게 2438개가 식립되어 총 1545명의 환자에게 4118개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2. 총 1545명 환자의 성비는 남성이 57.2% (884명), 여성이 42.8% (661명)였고, 총 4118개 임플란트에서 상악에 1739개 (42.2%), 하악에 2379개 (57.8%)가 식립되었으며 하악 구치부에 2043개 (53.2%)가 식립되어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3. 1차 조사에서는 총 1680개의 임플란트 중 57개가 실패하였고 2차 조사에서는 2438개의 임플란트 중 17개가 실패하여 총 4118개의 임플란트 중 74개가 실패 하여 98.2%의 생존율을 보였다. 4. 1차 수술 이후 2차 수술이 시행되기까지의 기간은 상악에서 평균 7.4개월에서 6.8개월로, 하악에서 평균 5.6개월에서 5.0개월로 2차 조사 기간에서 0.6개월 단축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볼 때 1차 조사에서보다 2차 조사시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수 및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1차수술 후부터 2차 수술 전까지 기간도 단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임플란트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계속 증가 할 것이고 그 성공율 또한 증가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ement of problem: The number of edentulous patients is increasing due to an aging society, which leads to increased demands and interests on implant restorations. Implant restorations are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both complete and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and the success rate ha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차트 조사를 통해 완전 무치악과 부분 무치악의 임플란트 식립 비율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그 중 완전 무치악에서는 상악과 하악의 분포를 조사하였고, 부분 무치악에서는 상악과 하악 분포, 좌측과 우측의 분포 그리고 전치와 구치의 분포를 각각 조사하였다.
  • 차트 조사를 통해 완전 무치악과 부분 무치악의 임플란트 식립 비율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그 중 완전 무치악에서는 상악과 하악의 분포를 조사하였고, 부분 무치악에서는 상악과 하악 분포, 좌측과 우측의 분포 그리고 전치와 구치의 분포를 각각 조사하였다.
  • 또한 임플란트 형태별로 나사형 (Screw type)과 원통형(Cylinderical type)으로 나누어 그 분포를 조사하였고 1차 수술에서 2차 수술까지 기간, 그리고 2차 수술이후 보철물장착까지의 기간도 조사하였다.
  • 임플란트 식립 후 보철물을 올리기 전에 제거된 임플란트는 실패로 간주하였고 임플란트 식립 후 보철물이 장착되지 않은 환자는 본 조사에서 제외한 후 전체 식립된 임플란트와 하중이 부과된 임플란트 중에서 잔존하는 임플란트의 비율을 생존율로 구하였다.
  • 구강 내에 생존하여 있는 임플란트라 하더라도 주변에 골 소실이 진행되고 있다면 추적기간이 증가하였을 때 실패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임플란트 환자를 추적하는 등 여러 가지 어려움들로 인하여 제한된 기간에서만의 생존율을 구하게 되었다.
  • 단국대학교 치과 병원에 내원하여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환자 중, 1998년 8월부터 2003년 8월, 2003년 9월에서 2007년 4월까지 식립된 임플란트 환자를 대상으로 2회로 나누어 임플란트의 생존율을 조사,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 데이터

  • 단국대학교 치과 병원에 내원하여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환자 중, 1998년 8월부터 2003년 8월까지 (1차 조사), 그리고 2003년 9월부터 2007년 4월까지 (2차 조사) 최근 10년간 식립된 임플란트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처리

  • 0 for Win. (SPSS Inc., Chicago, USA)를 사용하여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으며 95% 유의수준으로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의 상실로 인한 문제는? 치아의 상실은 구강악안면의기능과 심미에 큰영향을 미치고, 이에 더 나아가 전부 무치악 상태가 되면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결손부의 일반적인 수복방법으로는 단일 치아나 소수 치아 결손인 경우 고정성 보철물, 고정성 보철물로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 무치 악이나 완전 무치악인 경우에는 가철성 보철물 등을 사용하고 있다.
임플란트 고정체의 초기실패 원인은? 임플란트의 성공율과 실패율은 술자와 환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임플란트 고정체의 초기실패 원인으로는 부적절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배열, 감염, 불량한 골질과 골량, 조기 과부하, drilling시 과도한 열 발생으로 인한 골 괴사, 이식골 재료의 선택 등이 있다. 대부분 임플란트 골유착 실패의 대부분은 보철물 연결 전에 발생하지만 보철물 연결 후에도 발생 할 수 있다.
치아의 상실의 일반적인 수복방법은? 치아의 상실은 구강악안면의기능과 심미에 큰영향을 미치고, 이에 더 나아가 전부 무치악 상태가 되면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결손부의 일반적인 수복방법으로는 단일 치아나 소수 치아 결손인 경우 고정성 보철물, 고정성 보철물로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 무치 악이나 완전 무치악인 경우에는 가철성 보철물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철성 보철물을 장착하는 환자에 있어서 장기적인 수명이나 기능면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악골 흡수가 심한 경우 의치의 탈락, 불량한 지지 및 안정성, 통증 등을 유발하여 의치의 사용을 더 어렵게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lbrektsson T, Zarb G, Worthington P, Eriksson AR. The long-term efficacy of currently used dental implants: a review and proposed criteria of succes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6;1:11-25 

  2. Zarb GA, Albrektsson T. Consensus report: towards optimized treatment outcomes for dental implants. J Prosthet Dent 1998;80:641 

  3. Rosenberg ES, Cho SC, Elian N, Jalbout ZN, Froum S, Evian CI.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implant failure and survival in periodontally compromised and periodontally healthy patients: a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19:873-9 

  4. H $\ddot{a}$ mmerle CH, Jung RE, Feloutzis A. A systematic review of the survival of implants in bone sites augmented with barrier membranes (guided bone regeneration)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J Clin Periodontol 2002;29:226-31 

  5. Bahat O. Br $\aa$ nemark system implants in the posterior maxilla: clinical study of 660 implants followed for 5 to 12 years.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646-53 

  6. Kim JS, Chang HH, Chang CH, Rhyu SH, Kang JH. Preprosthetic Stage Dental Implant Failure. J Kor Oral Maxillofac Surg 2001;27:178-83 

  7. Drago CJ, O'Connor CG. A clinical report on the 18-month cumulative survival rates of implants and implant prostheses with an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 Compend Contin Educ Dent 2006;27:266-271 

  8. Schmitt A, Zarb GA. The longitudinal clinical effectivenes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for single-tooth replacement. Int J Prosthodont 1993;6:197-202 

  9. Lekholm U, Gunne J, Henry P, Higuchi K, Lind $\acute{e}$ n U, Bergstr $\ddot{o}$ m C, van Steenberghe D. Survival of the Br $\AA$ nemark implant in partially edentulous jaws: a 10-year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639-45 

  10. Quirynen M, Listgarten MA. Distribution of bacterial morphotypes around natural teeth and titanium implants ad modum Br $\AA$ nemark. Clin Oral Implants Res 1990;1:8-12 

  11. Nevins M, Langer B. The successful use of osseointegrated implants for the treatment of the recalcitrant periodontal patient. J Periodontol 1995;66:150-7 

  12. Buser D, Mericske-Stern R, Bernard JP, Behneke A, Behneke N, Hirt HP, Belser UC, Lang NP. Long-term evaluation of non-submerged ITI implants. Part 1: 8-year life table analysis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ith 2359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1997;8:161-7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