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문상화학설(命門相火學說)에 대한 의사학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n The Myeongmunsanghwa(命門相火) Theory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2 no.4, 2009년, pp.199 - 211  

은석민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pt of Myeongmun(命門) could be found in early medical texts such as "Naegyeong (內經)" and "Nan-gyeong(難經)", but the real idea about Myeongmun(命門) had mainly originated from "Nan-gyeong", in successive medical research. The concept of Myeongmun in "Nan-gyeong" could be read as an organ withou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점에 있어 본 문장의 중심을 이루는 明代의 命門相火學說에 대해서는 그 흐름 중의 대표적인 의가라 할 수 있는 孫一奎, 趙獻可, 張景岳 등을 중심으로 논하고자 하며, 또한 命門學說에 영향을 준 道敎이론이 道敎의 사상계통 내에서 어떤 흐름에 속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의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본 문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대로 인체 내의 精·氣·神의 수양의 문제를 다룬 道敎內丹이론을 중심으로 논하고자 한다. 道敎內丹이론은 일반적으로 唐末五代의 시기에그 이론체계가 크게 발전하시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본 문장에서는 그 흐름 중의 대표적 저작인 『鍾呂傳道集』을 주된 자료로 하여 그 내용 중에서 命門 및 그와 관련된 相火, 元氣 등의 개념에 대해 살피면서 이를 의학이론의 연구에 참고할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 道敎는 唐末五代의 시기 이후로 內丹思想이 발전하면서 道敎思想의 주류로 자리하였는데, 命門과 相火 등에 관한 金元代 이후의 의학 이론은 상당 부분 이와 같은 道敎內丹思想의 이론 체계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점과 관련하여 또한 命門相火學說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儒家의 理學 역시 道敎內丹思想과의 관계의 측면에서 일정한 언급이 필요한 것이지만, 본 문장에서는 이와 관련된 내용은 생략하고 命門相火學說의 이론적 근거로서의 道敎內丹思想의 이론적 함의를 찾는 것에 집중하기로 한다. 道敎內丹思想은 不老長生의 仙藥을 製鍊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外丹의 쇠락과 함께 그에 대한 반동으로 내적인 精·氣·神을 수련한다는 의미로 발전된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 관점이지만, 한편으로 그것은 전통적인 心性之學이 道敎의 이론체계 내에서 구현된 것이라는 데 더 의미가 주어지기도 한다.
  • 이 점에 있어 본 문장의 중심을 이루는 明代의 命門相火學說에 대해서는 그 흐름 중의 대표적인 의가라 할 수 있는 孫一奎, 趙獻可, 張景岳 등을 중심으로 논하고자 하며, 또한 命門學說에 영향을 준 道敎이론이 道敎의 사상계통 내에서 어떤 흐름에 속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의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본 문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대로 인체 내의 精·氣·神의 수양의 문제를 다룬 道敎內丹이론을 중심으로 논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道敎內丹思想의 발전과정에서 鍾離權, 呂洞賓 등은 그 이후의 內丹家들의 실질적인 祖師로서의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 이후의 內丹家들의 사상체계는 사실상 이론의 본질적인 면에 있어서는 큰 변화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문장은 鍾離權, 呂洞賓의 內丹思想을 담고 있는 대표적인 저작으로 알려진 『鍾呂傳道集』61)을 중심으로 命門相火學說의 이론적 근거로서의 道敎內丹思想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문장은 의학이론 내에서의 命門學說의 원류 및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와 아울러 대표적인 道敎저작의 내용을 통해 道敎이론의 어떤 부분이 의학이론에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점에 있어 본 문장의 중심을 이루는 明代의 命門相火學說에 대해서는 그 흐름 중의 대표적인 의가라 할 수 있는 孫一奎, 趙獻可, 張景岳 등을 중심으로 논하고자 하며, 또한 命門學說에 영향을 준 道敎이론이 道敎의 사상계통 내에서 어떤 흐름에 속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의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본 문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대로 인체 내의 精·氣·神의 수양의 문제를 다룬 道敎內丹이론을 중심으로 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命門이란 용어는 어디서 처음 찾아볼 수 있으며, 무엇을 의미하는가? 命門이란 용어는 『內經』에서 처음 찾아볼 수 있는데, 『內經』에서 말한 命門은 目 내지는 睛明穴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즉 『素問·陰陽離合論』에서는 “太陽根起于至陰, 結于命門, 名曰陰中之陽.
命門의 개념이 의학이론에서 특히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明代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무엇 때문인가? 命門은 인체 내의 일종의 무형의 기관으로서 일찍이 『內經』, 『難經』 등의 고전의서에서 그에 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命門의 개념이 의학이론에서 특히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明代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후대에 이른바 溫補學派로 불리는 의가들에 의해 命門의 개념이 다시금 구체적으로 정립되었기 때문이다. 즉 이들 溫補學派 의가들은 朱丹溪 이래의 滋陰學說 등에 대한 반동으로 溫補學說을 주장하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相火의 개념과 관련하여 命門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전개했던 것이다.
黃帝內經太素에 대한 연구를 통해 林殷은 楊上善의 命門學說의 주된 논점을 어떻게 정리하였는가? 楊上善은 기본적으로 『難經』에서 말한 바와 같이 右腎이 곧 命門이라는 관점을 지녔는데, 이를 바탕으로 그는 左腎은 志를 藏하고 右腎은 精을 藏한다고 생각하였다.8) 그 예들을 보면 먼저 楊上善은 『素問·宣明五氣篇』의 五臟神의 개념 중 ‘腎藏精志’9)라 한 내용에 대한 주석에서 이에 대해 “腎有二枚, 左箱爲腎, 藏志也, 在右爲命門, 藏精也.”10)라 하여 左腎은 志를 藏하고 右腎은 精을 藏한다고 설명한 것이다. 그래서 楊上善은 “精爲命門所藏精也. 五臟之所生也.”11)라 하고 또 “五精有所不足, 不足之臟虛而病也. 五精有餘, 所幷之臟亦實而爲病也.”12), “精幷左腎, 則腎實生恐”13)이라 하여 命門의 精이 五臟의 精으로 化生하며, 한편으로 左腎이 志를 藏하므로 命門의 精의 有餘 및 不足에 의해 그 영향이 左腎에 미치면서 腎에 藏해져 있는 志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고 보았다. 또한 楊上善은 『素問·調經論』에서 “腎藏志, 而此成形”이라 한 부분에 대한 주석에서 “腎藏志者, 腎藏于精, 精以舍志. 今藏志者, 言所舍也. 腎有二枚, 在左爲腎, 在右爲命門. 腎以藏志, 命門藏精, 故曰腎藏精也.”14)라 하여 腎중의 志와 命門의 精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로서 命中, 其位象極, 名爲丹田”35)이라 하여 命門은 곧 道敎에서 말하는 丹田이라 언급하였다. 이와 같이 明代의 대표적인 溫補學派 의가들은 命門에 대한 연구에 있어 상당 부분 道敎이론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命門에 대한 연구에 있어 기존의 의학이론 중의 부족한 부분을 道敎이론에서 차용해 온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그 과정에서 이론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 따라 命門에 대한 약간의 상이한 학술적 관점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