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Much has been known that the systematical theory of acupuncture was developed from stone needle as therapeutic tools for orthopedic diseases in ancient times. Stone needle is very old therapeutic method like moxibustion and has been recognized that it was developed since the Stone Age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砭石이 언급된 『馬王堆醫書』와 『黃帝內經』을 비롯한 古代 文獻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동북아시아 중 요동을 포함한 한반도에서 발견된 석제 유물 중에 용도가 불명한 것이나 의료용의 가치가 있는 것을 조사하고 이러한 유물이 砭石과 관련이 있는지를 추정하였다. 砭石의 형태학적 특징과 의학적 응용과 부작용을 정리하였고, 砭石과 관련한 유물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砭石의 起源과 活用에 대하여 알아보고, 석기시대 이후로 발굴된 석기 유물 중 古代社會에 醫療用으로 사용될 수 있었던 석기의 가치를 조사함으로써 古代社會의 砭石으로부터 발전한 경락이론 및 침술이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고대 민족들에 의하여 형성되었음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 한반도내 砭石의 기원을 추적하고자 『山海經』에서 언급된 砭石 관련 내용을 氏族의 흐름과 광물학적 인식을 통해 조사하였다. 한반도에서 발굴된 석기유물 중 砭石의 특징을 갖는 鑛物性 유물인 흑요석에 대한 고고학적 사실과 의미를 조사하였다. 석기시대에 흑요석기의 의학적 활용을 조사함으로써 砭石과의 관련성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鍼灸의 起源은 어디에서 싹트게 되었다고 볼 수 있는가? 鍼灸의 起源은 석기시대와 같은 원시사회에서 싹트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근거로 鍼術의 원형이 돌로 만들어진 鍼, 즉 砭石이라는 도구에서 출발하였다고 인식하고 있다.
古代의 자극 도구인 砭石은 『漢書·藝文志』顔師古注에서 그 유래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이를 근거로 鍼術의 원형이 돌로 만들어진 鍼, 즉 砭石이라는 도구에서 출발하였다고 인식하고 있다. 古代의 자극 도구인 砭石은 『漢書·藝文志』顔師古注에서는 “針은 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石은 砭石인데 돌침이다”라고 유래를 설명하였고,1) 『素問·異法方宜論』2)은 “砭石이 東方의 해안지역에서 유래한다”고 하였으며, 『山海經』3)은 “高氏의 山 … 그 기슭에는 침석이 많다”라고 하여 砭石의 産地를 언급하였다.
馬王堆醫書와 관련하여 周8)는 砭石의 모양을 “砭石의 모양은 한쪽 끝은 鍼모양이고 다른 끝은 칼 모양이어서 鍼과 칼의 작용을 겸하며, 鍼 모양의 끝은 체표의 經絡穴位를 자극하는 데, 칼 모양의 끝은 피부를 절개해 피를 빼거나 排膿을 시키는 용도로 썼다.”라고 추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대 의료용 도구는 어디에서 자주 발굴되는 형태인가? ”라고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대 의료용 도구는 석기문화를 지닌 문화권에서 자주 발굴되는 형태이며, 한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석기를 생활용구로 설명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uck BA, Ancient technology in contemporary surgery, Th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982;136(3):265?269. 

  2. Green LA, (1997.09), "Surgeons use Stone Age technology for delicate surgery" The University Record, , (2009.07.01). 

  3. Sharer RJ, Ashmore W, Archaology: Dicovering Our Past 3rd Ed., NY: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3. 

  4. Tomas DH, Archaeology 2nd Ed., Ft. Worth: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89. 

  5.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Obsidian", , (2009.07.01). 

  6.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FOR CLINICAL RESEARCH ON ACUPUNCTURE, WHO Regional Publications, Western Pacific Series No. 15. WHO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1995. 

  7. 高大倫. 玉器鑒賞?中國文物鑒賞叢書. 北京:?江出版社. 1993. 

  8. 廣東, 廣西, 湖南, 河南辭源修訂組. 商務印書館編輯部 編. 辭源縮印合訂本. 香港:商務印書館. 1987. 

  9. 국립광주박물관, 선?원사인의 도구와 기술, 광주, 1994. 

  10. 국립중앙박물관, 중앙박물관, 서울:통천문화사, 1996. 

  11. 국립춘천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서울:통천문화사. 2002. 

  12. 金富軾 撰, 이병도 역주, 열린데이터베이스연구원 집필, (CD-ROM)三國史記, 서울:누리미디어, 1999, , (2009.07.01). 

  13. 김상태, 한반도 출토 흑요석기와 원산지 연구현황, 한국구석기학보, 2002;6:47-60. 

  14. 김영주, 한민족의 뿌리와 단군조선사, 인천:桓雄출판사, 1987. 

  15. 김원사, 덱타이트와 흑요석의 보석학적 특징비교-중국 광동 덱타이트와 백두산 흑요석을 중심으로-, 한국광물학회지, 2007;20(3):181-191. 

  16. 동아대학교 박물관, 선사시대 흑요석제석기, , (2009.07.01). 

  17. 柳承國, 동양철학연구, 서울:동양학술연구원, 1983. 

  18. 孟競璧, 孟子敬, ?石學, 北京:中醫古籍出版社, 2007. 

  19. 苗威, ?高云家世看高句?移民, 博物??究, 2009;1:38-43. 

  20. 北京中醫藥學大學 中醫藥數字博物館, 醫史藏品 "?石", , (2009.07.01). 

  21. 李慶雨 譯, 黃帝內經靈樞, 서울:여강출판사, 2007. 

  22. 李慶雨 譯, 黃帝內經靈樞, 서울:여강출판사, 2003. 

  23. 李能和, 朝鮮醫藥發達史 (1), 조선총독부, 朝鮮, 1931;15(6):27-37. 

  24. 이선복, 이용일, 흑요석 석기의 지화학적 특성에 대한 예비 고찰, 한국고고학보, 1996;35:173-187. 

  25. 이정철, 우리나라 구석기유적 출토 흑요석의 원산지 연구 동향, 忠北史學, 2008;21:5-21. 

  26. 이헌종, 이혜연,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인의 흑요석에 대한 전략적 활용에 대한 고찰,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5;8(1):7-34. 

  27. 임숭경, 선사시대 옥기의 성격 및 그 제작기술에 대한 일고찰, 史林, 2003;20:127-71. 

  28. 장순근, 망치를 든 지질학자, 서울:가람기획, 2001. 

  29. 鄭在書, 山海經, 서울:민음사, 1985:143. 

  30. 조경화 編, 漢文大辭典, 서울:경인문화사, 1981. 

  31. 조남철, 박용희, 도성재, 강형태, 남인탁, 성분분석 및 자기적 특성에 의한 한반도 흑요석의 분류 연구, 보존과학회지, 2004;16:89-103. 

  32. 조선유적 유물도감 편찬위원회, 조선 유적, 유물 도감, 평양:조선유적 유물도감 편찬위원회, 1989-1993. 

  33. 周一謀 著, 김남일, 인창식 共譯, 고대 중국의학의 재발견, 서울:법인문화사, 2000. 

  34. 中國大百科全書考古學編纂委員會 編, 文物, 辨玉, 北京:文物出版社, 1992. 

  35. 中華文化息網, 百家姓, 百姓百? "高", , (2009.07.01).陳壽 撰, 三國志(石版本), 史學會社刊寫, 1902. 

  36. 최광식, 동북공정 이후 중국 연구서에 보이는 고구려?발해 인식, 先史와 古代, 2008;29:107-131. 

  37. 崔容泰, 林鐘國, 李潤浩, 金賢濟 共譯, 最新針灸學, 서울:成輔社, 1979. 

  38. 崔亨柱, 山海經, 서울:자유문고, 2004. 

  39. 침코리아 의약사박물관, 上海中醫學院 醫史博物館 소장 "?石, 骨針", , (2009.07.01). 

  40. 황용훈, 신복순, 경희대학교 유적의 발굴조사:강원도, 강원대학교 박물관, 상무룡리: 파로호 퇴수지역 유적발굴 조사보고, 강원대학교 박물관 유적조사보고 第 8輯,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