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등재(登載)의 의의(意義)와 현대적(現代的) 활용(活用)
The Significance of Dongeuibogam Registration and Its Modern Application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5 no.1 = no.25, 2009년, pp.13 - 22  

김남일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gistration of Dongeuibogam as UNESCO's Memory of world was not only a national triumph but also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event. This event got rid of the opinions that suggested Dongeuibogam was a medical system practiced only un the limited area of Korea and this event signified the rest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東醫寶鑑은 어디에 맞추어진 책인가? 다음으로, 400년이나 된 의서에 왜 아직까지 집착하고 있는냐는 인식이다. 아마도 『東醫寶鑑』이 400년전의 건강코드에 맞추어진 책이기에 현대에 맞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東醫寶鑑』 을 과거의 유산으로만 여기고 400년간의 한의학의 역사를 停滯的 시각에서 바라보는 왜곡된 역사관을 바탕으로 한다.
동의보감이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시기는? 2009년 7월 말에 『동의보감』이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민족사의 쾌거이기도 하지만 세계사적으로도 의미가 큰 사건이었다. 이것은 『동의보감』이 지정학적으로 한국이라는 국한된 지역에서 구사되는 한정된 의료의 체계라는 일부의 견해를 불식시키면서 그동안 폄하되어 왔던 이 책의 세계성, 보편성의 위치를 일거에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東醫寶鑑을 구성하고 있는 지식체계를 정리한다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지만 주관적인 작업으로 비춰질 수도 있는 모험적인 면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東醫寶鑑』을 구성하고 있는 지식체계를 정리한다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지만 주관적인 작업으로 비춰질 수도 있는 모험적인 면이 있다. 이 책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적 인식의 틀을 제시하여 오도된 지식을 재생산하는 구조를 만들어내는 것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신동원 외,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들녘출판사, 1999. 

  2. 정은아, 허준의 언해태산집요에 대한 연구, 韓國醫史學會誌, 2002;15(2). 

  3. 신동원, 조선사람 허준, 한겨례신문사, 2001 

  4. 金斗鍾, 韓國醫學文化大年表, 탐구당, 1982 

  5. 許浚, 原本 東醫寶鑑, 南山堂 

  6. 崔秀漢, 朝鮮醫籍通考, 中國中醫藥出版社, 1996. 

  7. 金南一, 우리나라 傳統醫藥技術의 中國醫學 수입후 土 着化에 對한 硏究, 國際東亞細亞傳統醫學史學術大會 資料集, 韓國醫史學會, 2003. 

  8. 金斗鍾, 韓國醫學史, 탐구당, 1979 

  9. 신순식, 한국한의학연구원, 1995, 한국한의학사 재정립 상? 하. 

  10. 신동원, 조선사람의 생로병사, 한겨레신문사, 1999 

  11. 金南一, 韓國韓醫學의 學術流派에 관한 試論, 韓國醫史學會誌, 2004;17(2). 

  12. 강연석, 안상우, 鄕藥集成方을 통해 본 朝鮮前期 鄕藥醫學, 韓國醫史學會誌, 2002;15(2). 

  13. 허종?안상우, 纂圖方論脈訣集成편찬과 朝鮮中期의 脈學의 成就, 韓國醫史學會誌, 2002;15(2). 

  14. 조미숙, 及幼方에 대한 연구, 韓國醫史學會誌, 2002;15(2). 

  15. 정순덕, 許浚의 諺解救急方에 관한 연구, 韓國醫史學會誌, 2003;16(2). 

  16. 안상우, 醫方類聚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17. 김홍균, 朝鮮 中期 醫學의 系統에 關한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2. 

  18. 李亮載, 東醫寶鑑 版本考, 한국고문서협회, 2000;9. 

  19. 박경련, 동의보감의 국내 및 국외에 있어서의 간행에 관한 고찰, 대한의사학회지, 2000;9(2). 

  20. 李盛雨, 韓國食經大典, 향문사,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