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골 결손부의 치조골 신장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IMPLANT PLACEMENT IN DISTRACTION-AUGMENTED ALVEOLAR BONE OF THE MANDIBLE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1 no.4, 2009년, pp.325 - 329  

류현욱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대전 치과병원 임플란트 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intraoral distraction osteogenesis, iliac bone graft for alveolar augmentation in the extremely atrophied alveolar defects after infected allobone grafted area. Subjects and Methods :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was performed and the trans-oral al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에 단순한 골신장을 시도하는 것보다 골이식을 선행한 골 신장 술이나, 성장인자를 이용한 골 신장술, 줄기세포를 동반한 골 신장술등 새로운 방향 및 치료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증례도 초기에 이종 블록골로 이식 후에 발생한 감염이나 골 이식의 실패를 장골 이식 후에 골 치유를 유도한 후에 치조골 신장술을 시행하는 복합적인 방법을 시도하였기에 차후 임상적 인 치료 방향을 제시 하고자 보고하게 되었다. 또한 구강의 기능과 심미의 회복을 동시에 임플란트를 상하악에 식 립함으로서 회복시킬 수 있었고.
  • 이에 본 증례는 법랑아세포종으로 심하게 결손 또는 위축된 치조골 결손 환자 예 (하악 전치부)에서 1차 수술에서 이종 골 블록골의 감염에 의한 실패 후 장골 이식 및 골 신장 술을 이용하여 치조골의 높이와 면적을 넓히고 골 신 장기를 제거할 때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증례의 임상과정과 치험결과를 임상 및 방사선학적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Myung Jin, Kim Yeo Gap et al : Seoul Jisung Published Oral cancer : 242-256, 2002 

  2. Jung se yong, Lee yoi woong : Pathologic & Histologic research of ameloblastoma. J Korean Oral & Maxillofac Surg 13 : 161, 1987 

  3. Gardner DG : A pathologist's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ameloblastoma. J Oral Maxillofac Surg 42 : 161, 1984 

  4. Mehlisch DR, Dahlin DC, Masson JK : Ameloblastoma: a clinico- pathologic report. J Oral Surg 30 : 9, 1972 

  5. Sehdev MK, Huvos AG, Strong EW et al : Ameloblastoma of maxilla And mandible. Cancer 33 : 324-333, 1974 

  6. Shatkin S, Hoffmeister FS : Ameloblastoma: A rational approach to therap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0 : 421, 1965 

  7. Codivilla A : On the means of lengthening in the lower limbs, the muscles and tissues which are shortened through deformity. Am J Orthop Surg 2 : 353, 1905 

  8. Ilizarov GA : The principles of the Ilizarov method. Bull Hosp Jt Dis Orthop Inst 48 : 1, 1988 

  9. Ilizarov GA : The tension-stress effect on the genesis and growth of tissues : Part I. The influence of stability of fixation and soft-tissue preservation. Clin Orthop 238 : 249, 1989 

  10. Ilizarov GA : The tension-stress effect on the genesis and the growth of tissues : Part Ⅱ. The influence of the rate and frequency of distraction. Clin Orthop 239 : 263, 1989 

  11. McCarthy JG, Schreiber J, Karp N et al : Lengthening the human mandible by gradual distraction. Plast Reconstr Surg 89 : 1, 1992 

  12. Snyder CC, Levine GA, Swanson HM et al : Mandibular lengthening by gradual distraction. Preliminary report. Plast Reconstr Surg 51 : 506, 1973 

  13. Block MS, Chang A, Crawford C : Mandibular alveolar ridge augmentation in the dog using distraction osteogenesis. J Oral Maxillofac Surg 54 : 309, 1996 

  14. Aronson J : Experimental and clinical experiences with distraction osteogenesis. Cleft Palate Craniofac J 31 : 473, 1994 

  15. Aroson J : The biology of distraction osteogenesis. In Chapman MW, editor: Perative orthopaedics, Phioladelphia, JB Lippincott, 1993 

  16. Carlson D : Growth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Zarb GA,Carlsson GE, Sessle BJ, Mohl ND, editors : Temporomandibular joint and masticatory muscle function, Copenhagen, Munksgaard, 1994 

  17. Konboh T, Xestesson PL, Takahashi M : Prevalence of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urface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k associated with inerangement, J Oral Mawillofac Surg 56 : 339, 1998 

  18. MJ Troulis, J Glowacki, DH Perrott et al : Effect of latency and rate on bone formation in a porcine mandibular distraction model. J Oral Maxillofac Surg 58 : 509, 2000 

  19. Tavakoli K, Walsh WR, Bonar F et al : The role of latency in mandibular osteodistraction. J Cranio Maxillofac Surg 29 :165, 2001 

  20. Wiltfang J, Kessler P, Merten HA et al : Continuous and intermittent bone distraction using a microhydraulic cylinder; experimental study in minipigs. Br J Oral Maxillofac Surg 39 : 2, 2000 

  21. Cope JB, Samchukov ML : Regenerate bone formation and remodeling during mandibular osteodistraction. Angle Orthod 70 : 99, 2000 

  22. Swennen G, Schliephake H, Dempf R et al : Craniofacial distraction osteogene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art I : clinical studies. Int J Oral Maxillofac Surg 30 : 89, 2001 

  23. Hollier LN, Kim JH, Grayson BH et al : Mandibular growth after distraction in patients after 48months of age Reconstr Surg 103 : 1361, 1999 

  24. Klein C, Howaldt HP : Mandibular micrognathism as a sequence early childhood capitulum fractures and their treatment using traction osteogenesis, Fortschr Kiefer Gesichtschir 41 : 147, 1999 

  25. Sato M, Ochi T, Nakase T et al : Mechanical tensionstress induces expression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2 and BMP-4, but not BMP-6, BMP-7, and GDF-5 mRNA, during distraction osteogenesis. J Bone Miner Res 14 : 1084,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