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arried Worker's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7 no.10 = no.256, 2009년, pp.51 - 61  

김재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최수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최보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김혜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impact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mong married workers and to examine mediation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the two variables. 356 married workers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results indicate that job stres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이 근로자 개인의 정신건강 문제 중 우울에 미치는 영향만 살펴보았다. 향후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 인의 문제와 가정 내 문제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근로자에게 있어서 직무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직장가정갈등, 그리고 그에 따른 개인의 삶의 질을 낮추는 부정적인 영향들은 개인적인 차원 그리고 조직적인 차원 모두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근로자의 정신건강 중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서 직장가정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혼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직장가정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개입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논의에서는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혼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때 직장가정갈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1단계, 직무스트레스가 직장 가정갈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2단계, 그리고 직무 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 직장가정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논의에서는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더불어 직장 가정갈등은 직장역할의 압력으로 가정역할의 수행이 어려운 직장 가정갈등(WFC)과 가정역할의 압력으로 직장역할 수행이 어려운 가정직장갈등(FWC)으로 나누어 방향성에 따른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Frone, Russell, & Cooper, 1992; Gutek, Searle, & Klepa, 1991; Kossek & Ozeki, 1998), 최근에는 양방향 상호순환적인 특성을 지니게 되는 경우가 많아 직장가정갈등(WFC)과 가정직장갈등(FWC)을 같이 보는 경향이 있다(최수찬, 백지애, 2006; Carlson & Frone, 2003).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직무 스트레스가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그 방향성 자체가 직장에서의 갈등이 원인이 되므로 직장일로 인해 가정에서 역할 갈등이 일어나는 직장 가정갈등(WFC)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강동묵, 고상백, 김성아, 김수영, 김용진, 박정선 외(2005).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서울: 고려의학 

  2. 강혜련, 임희정(2000). 성취동기와 가족친화제도가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갈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조절변인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2), 1-14 

  3. 강혜련, 최서연(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121-135 

  4. 강희숙, 김근조(2000).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4), 451-459 

  5. 김승연, 고선규, 권정혜(2007).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6(1), 77-105 

  6. 김재엽, 최수찬, 정윤경(2008). 직장-가정갈등과 스트레스가 남편의 아내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121-135 

  7. 김진희, 한경혜(2002).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 전이와 관련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0(11), 55-69 

  8. 김흥규, 가영희(2005). 성인의 직장-가정에서의 갈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85-98 

  9. 박광희, 유화숙(2003).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41(6), 167-183 

  10. 박인규(2004).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 갈등사이에서의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관광호텔종사원들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연구, 6(2), 211-222 

  11. 박해웅, 최수찬(2005). 근로자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아존중감, EAPs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2, 1-22 

  12. 배수진(2000). 최신 스트레스관리. 서울: 학문사 

  13. 엄태완(2008). 빈곤층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8, 36-66 

  14. 우종민, 김경미, 김성아(2003). 업무전환 후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과적 질환 증례. 대한산업의학회지, 15(2), 205-212 

  15. 윤숙희, 배정아, 이소우, 안경애, 김세은(2006).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음주, 흡연 형태. 보건과 사회과학, 19(6), 31-50 

  16. 이동수, 김지혜(2001).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회지, 40(2), 217-229 

  17. 이수광(2007). 호텔업 직무 스트레스가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리더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1(3), 167-178 

  18. 이은희(2000). 남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탈진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스트레스연구. 대한스트레스학회, 8(2), 47-62 

  19. 이종구, 곽원섭(2001). 중소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원, 직무 스트레스 및 조직 성과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2), 97-122 

  20. 이주희, 이은희(2000). 맞벌이 부부의 직장, 가정의 역할갈등과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287-303 

  21. 임승락, 김지혜, 이동수, 김이영(2000). 여성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자원과 정신건강. 신경정신의학회지, 39(6), 999-1009 

  22. 임효창, 김오현, 이봉세(2005). 기혼 직장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계획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18(1), 421-442 

  23. 장세진(2002). 스트레스의 사회심리적 요인. 한국역학회지, 24(2), 148-163 

  24.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외(200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25. 장재윤, 김혜숙(2003).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1), 23-42 

  26. 정윤경, 김형렬, 박소영, 홍정연, 고상백, 장세진(2007). 직무 스트레스가 실업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2), 115-124 

  27. 최규련(1993). 맞벌이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증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1), 61-84 

  28. 최수찬(2003). 직장인 스트레스 감소전략의 모색: 근로자원조프로그램(Employee Assistance Program)을 중심으로. 연세사회복지연구, 9, 155-178 

  29. 최수찬(2007). 국내 기업복지의 활성화 방안: 근로자의 욕구에 근거한 기업복지 프로그램 개발. 파주: 집문당 

  30. 최수찬, 백지애(2006). 비동거가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성근로자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8(4), 157-182 

  31. 최수찬, 우종민(2008).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의 이론과 실제. 김해: 인제대학교 출판부 

  32. 최수찬, 우종민, 윤영미, 김상아, 박웅섭(2006). 남녀근로자의 직장-가정 간 갈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족친화적 기업복지제도의 도입을 위한 논의. 한국가족복지학, 17, 144-146 

  33. 하미옥, 김정남(2008). 역할관련 직무스트레스 원이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과정에서 SOC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2), 359-372 

  34. 하오령, 권정혜(2006).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 건강과 역할 만족도-역할 갈등, 완벽주의 및 가족 지지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3), 675-696 

  35. Allen, T. D., Herst, D. E. L., Bruck, C. S., Sutton, M.(2000).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to-family confl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2), 278-308 

  36.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7. Boyar, S. L., Maertz, C. P. Jr., Pearson, A. W., & Keough, S.(2003). Work-family conflict: A model of linkages between work and family domain variables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15(2), 175-190 

  38. Carlson, D. S., & Frone, M. R.(2003). Relation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involvement to a new four-factor conceptualization of work-family interference.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7(4), 515-535 

  39. Carlson, D. S., Williams, L. J., & Kacmar, K. M.(2000).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6(2), 249-276 

  40. Frone, M. R.(2000). Work-family conflict and employee psychiatric disorders: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Journal of Appled Psychology, 85(6), 888-895 

  41. Frone, M. R., Russell, M., & Barnes, G. M.(1996). Work-family conflict, gender, and health-related outcomes: A study of employed parents in two community sampl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1), 57-69 

  42. Frone, M., Russell, M., & Cooper, M. L.(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1), 65-78 

  43.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1997). Relation of work-family conflict to health outcomes: A four-year longitudinal study of employed parent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0, 325-335 

  44. Grant-Vallone, E. J., & Donaldson, S. I.(2001). Consequences of work-family conflict on employee well-being over time. Work & Stress, 15(3), 214-226 

  45. Greenhaus, J. H., & Beutell, N. J.(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46. Griffin, J. M., Fuhrer, R., Stansfeld, S. A., & Marmot, M.(2002). The importance of low control at work and home on depression and anxiety: do these effects vary by gender and social class?. Social Science & Medicine, 54, 783-798 

  47. Gutek, B. A., Searle, S., & Klepa, L.(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4), 560-568 

  48. Hammer, L. B., Cullen, J. C., Neal, M. B., Sinclair, R. R., & Shafiro, M. V.(2005). The longitudinal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positive spillover on depression symptoms among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2), 138-154 

  49. Hammer, T. H., Saksvik, P. O., Nytro, K., & Bayazit, H. T. M.(2004). Expanding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Workplace noems and work-family conflict as correlates of stress and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9(1), 83-97 

  50. Iacovides, A., Fountoulakis, K. N., Kaprinis, St., & Kaprinis, G.(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clinical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5, 209-221 

  51. Jones, A. P., & Butler, M. C.(1980). A role transition approach to the stresses of organizationally induced family role disrup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2(2), 367-376 

  52. Karasek, R. A.(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 285-308 

  53. Kessler, R. C.(1997).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depression. Annu. Rev. Psychol, 48, 191-214 

  54. Kessler, R. C., Berglund, P., Demler, O., Jin, R., Koretz, D., Merikangas, K. et al. (2003). The epidemiolog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NCSR). JAMA, 289(23), 3095-3105 

  55. Kinnunen, U., Vermulst, A., Gerris, J., & Makikangas, A.(2003). Work-family conflict and its relations to well-being: The role of personality as a moderating fact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 1669-1683 

  56. Kossek, E. E., & Ozeki, C.(1998).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organizational behaviour-human resources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 139-149 

  57. Mackie, K. S., Holahan, C. K., & Gottlieb, N. H.(2001). Employee involvement management practices, work stress, and depression in employees of a human services residential care facility. Human Relation, 54, 1065 

  58. Mayes, B. T. (1986).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xperience of stress at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1), 102-110 

  59. Netemeyer, R. G., Boles, J. S., & McMurrian, R.(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Scal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4), 400-410 

  60. Newman, J. E., & Beehr, T. A.(1979). Person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handing job stress: A review of research and opinion.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Personnel Psychology, 32(1), 1-43 

  61. Pikhart, H., Bobak, M., Pajak, A., Malyutina, S., Kubinova, R., Topor, R. et al. (2004).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depression in three countries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Social Science & Medicine, 58, 1475-1482 

  62. Randolff, L. S.(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63. Russell, M., Cooper, M. L., Frone, M. R., & Peirce, R. S.(1999). A Longitudinal study of stress, alcohol, and blood pressure in community-based samples of blacks and non-Blacks. Alcohol Research & Health, 23(4), 299-307 

  64. Sher, M. L., & Brown, G.(1989). What to do with Jenny. Personal Administrator, 34, 31-41 

  65. Vinokur, A. D., Pierce, P. F., & Buck, C. L.(1999). Work-family conflict of women in the Air Force: their influence on mental health and function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 865-878 

  66. Wallace, J. E.(2005). Job stress, depression and work-to-family conflict: A test of the strain and buffer hypothes bufRI/IR, 60(3), 510-5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