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학대
Child Abuse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6, 2009년, pp.349 - 360  

김춘경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주옥 (포항대학 유아교육과) ,  송영주 (계명문화대학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last ten years, a number of the substantiated child abuse cases, studies, and newspaper articles in relation to child abuse have increased rapidly. Newspaper reports on physical abuse cases decreased, while articles on those of the sexual abuse and negligence increased after the year of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는 1990년 1월 1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 19년 6개월 동안 일간신문인 C일보에 나타난 아동학대 관련 기사 총 184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서는 연도별로 아동학대를 다루고 있는 기사 수의 양적 변화와 관련 기사에서 다루고 있는 학대 유형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대 유형 중 매년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연도별 학대 유형을 살펴보면 매년 방임과 중복학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신체학대와 유기는 점차 비중이 줄고, 방임과 정서학대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아동학대가 제 3자에 의해 확인되고, 아동학대의 당사자인 아동 자신이나 법적 신고의무자는 덜 보고하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는? 가장 최근에 보고된 결과(보건복지가족부, 2008) 에 준하여 2008년도 아동학대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2008년도에 아동보호 전문기관을 통해 접수된 9,570건의 아동학대 신고건수중에서 신고의무자의 신고가 33.1%, 비신고의무자가 66.9%, 아동 본인 1.0%로 나타났다. 이는 여전히 아동학대가 제 3자에 의해 확인되거나 신고 되며, 아동학대의 당사자인 아동 자신이나 법적 신고의무자는 덜 보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도별 학대아동의 가족유형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연도별 학대아동의 가족유형에서는 대부분의 학대행위자가 부모(80%)인 것으로 나타났고, 부자가정과 일반가정이 다른 가족 유형에 비해 높은 아동학대 발생률을 보여주었다. 특히 모자가 정보다 부자가정에서 아동학대가 더 많이 나타나서 아버지에 대한 특별 교육과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종세(2008). 아동인권과 아동학대-아동인권 수준 제고방안. 법학연구, 31, 47-76. 

  2. 김혜경.석말숙(2003). 아동기 학대적 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6, 71-97. 

  3. 박명숙(2002). 아동학대서비스에서 관련 기관들 간의 연계성에 관한논의. 한국아동복지학, 13, 27-52. 

  4. 보건복지부(2001). 전국 아동학대 현황 보고서. 중앙아동학대예방센터. 

  5. 보건복지가족부(2008). 아동청소년 백서. 

  6. 보건복지가족부(2008). 전국 아동학대 현황 보고서.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7. 윤혜미(2003). 우리나라 아동학대예방센터 활동분석과 아동보호서비스 개선을 위한 논의. 한국아동복지학, 12, 7-38. 

  8. 이숙진.신혜령.이은주(2006). 아동학대 실태조사 : 방임아동을 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국가인권위원회 용역 보고서). 

  9. 정미경(2008). 아동보호전문기관상담원의 신변안전보장을 위한 정책 과제.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10. 정윤수.이정희(2003). 아동학대예방 및 보호 네트워크 분석. 힌국정책학회보, 12(3), 227-263. 

  11. 조선일보(1990. 1. 1.-2009. 6. 30) 아동학대 관련 기사. 

  12.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riss4u.ne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