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배 발생과정에서 benzophenone의 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oxicity of Benzophenone in the Developing Chick Embryo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9 = no.113, 2009년, pp.1309 - 1313  

유민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수원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내분비교란물질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발견되는 화학물질이다. Bisphenol A, DDT, benzophenone, phenylphenol 등과 같은 화학물질들은 플라스틱 식품용기나 살충제 등을 통해서 체내에 흡수된다. 내분비교란물질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우며, 매우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내분비교란물질은 심혈관계, 생식계, 신경계뿐만 아니라 인체의 여러 기관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enzophenone과 같은 내분비교란물질이 계배의 발생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계배의 기형을 유도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Benzophenone $1{\mu}g$/egg에서 $500{\mu}g$/egg까지를 투여한 후 부화기에서 발생을 유도한 후 각각 6. 9. 12. 15. 18. 21일째마다 확인하였다. 체장의 경우에는 중용량($40{\mu}g$/egg $\sim$ $60{\mu}g$/egg)에서 감소가 시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용량의 실험군($80{\mu}g$/egg $\sim$ $500{\mu}g$/egg)에서는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며, 부리 이상이나 안구 기형과 같은 기형의 징후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benzophenone은 계배의 기형을 유도하며, 발생단계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docrine disruptors are chemicals which can be found in our normal daily lives. Chemicals such as bisphenol A, DDT, benzophenone and phenylphenol can be easily ingested through plastic food containers and pesticides. Endocrine disruptors can be very harmful and toxic because they disrupt the norm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내분비교란물질은 심혈관계, 생식계, 신경계뿐만 아니라 인체의 여러 기관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enzophenone과 같은 내분비교란물질이 계배의 발생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계배의 기형을 유도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Benzophenone 1 μg/egg에서 500 μg/egg까지를 투여한 후 부화기에서 발생을 유도한 후 각각 6.
  •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에 대한 작용기작이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교란물질 자체가 매우 미세한 양으로 자연계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 독성이 체내에서 발현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음 세대로 전해질 때까지 과정을 잘 모르는 등 연구에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 교란물질 중에서 생 활용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benzophenone이 발생과정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닭의 배아를 이용하여 발생과정에 대한 benzophenone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특히 심혈관계를 포함한 외부 형태학적 변화에 관심을 기울였 다.
  • 있다[3, 7, 10, 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 교란물질 중에서도 benzophenone이 발생과정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닭의 배아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먼저 시료의 투여시기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발생 4일째에 혈관 형성이 왕성한 것으로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계배의 기관형성 이 가장 활발한 입란 4일 전후에 투여되는 경우가 많다는 이전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었다[이.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ldwin, W. S., D. L. Milam, and G. A. LeBlanc. 1995. Physological and biochemical perturbations in Daphnia magna following exposure to the model environmental estrogen diethylstilbestrol. Environ. Toxicol. Chern. 14, 945-952 

  2. Bergman, A., G. L. Larsen, and L. E. Bakke. 1982. Biliary secretion, retension and excretion of five 14C-Iabelled polychlorinated bisphenyls in the rat. Chemosphere 11, 249-253 

  3. Birnbaum, L. S. 1994. The mechanism of dioxin toxicity: relationship to risk assessment. Environ. Health Perspect. 102, 157-167 

  4. Choi, J. J., Y. S. Lee, and H. Y. Ahn. 1989. Studies on the Teratogenicity of Food Additives in the Developing Chick Embryo. Kor. J. Food Hygiens. 4, 185-190 

  5. Colborn, T., D. Dumanoski, and M. J. Peterson. 1997. Our Stolen Future. pp. 38-51, @nd eds, New York Penguin, New York 

  6. Da Silva, J. P., I. F. Machado, J. P. Lourenco, and L. F. V. Ferreir. 2006. Photochmistry of benzophenone on Ti-MCM-41 surfaces. Microporous and Mesoporous Materials 89, 143-149 

  7. Gold, B., T. Leuschen, G. Brunk, and R. Gingell. 1981. Metabolism of a DDT metabolite via a chloroepoxide.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 35, 159-176 

  8. Lee, Y. S. 1987. Tetratogenicity test of food additives using chick embryo. Kor. J. Food Hygiens. 2, 41-49 

  9. Lim, Y. k., J. J. Choi, M. W. Lee, and Y. S. Lee. 1990. Teratogenicity of Food Residual Organophosphate in the Developing Chick Embryo. Kor. J. Food Hygiens. 5, 171-178 

  10. Muramatsu, M. and S. Inoue. 2000. Estrogen receptor: How to they control reproductive and nonreproductive function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70, 1-10 

  11. Ryu, J. C. 2002. Overall review on endocrine disruptors. Kor. J. Pesti. Sci. 6, 135-156 

  12. Sakaue, M., S. Ohsako, R. Ishimura, S. Kurosawa, M. Kurohmaru, Y. Hayashi, Y. Aoki J. Yonemoto, and C. Tohyama. 2001. Bisphenol A affects spermatogenesis in the adult rat even at a low dose. J. Occup. Health 43, 185-190 

  13. Swan, S. H., E. P. Elin, and L. Fenster. 1997. Have a sperm dendities declined a reanalysis of global trend data. Environ. Health Perspect. 105, 1228-12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