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주석빙고의 정량적 훼손도 평가와 미기후환경 분석
Quantitative Deterioration Assessment and Microclimatic Analysis of the Gyeongju Seokbinggo (Ice-storing Stone Warehouse),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no.1, 2009년, pp.25 - 38  

김지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주석빙고(보물 제66호)는 조선시대 얼음 저장고로서 주구성암석은 유백색 색조를 띠고 정동이 발달한 중립질의 알칼리화강암이다. 훼손도 평가 결과, 균열(12.5%), 이격(6.7%), 탈락(25.1%), 박락(20.9%), 백화현상(6.5%), 갈색 변색(9.8%), 암흑색 변색(2.0%) 및 생물에 의한 변색(26.5%) 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물리적 훼손율은 43.7%로 홍예틀 1번과 2번에서, 변색에 의한 훼손율은 68.7%로 북벽에서 가장 높아 석빙고의 훼손 상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석빙고 내부는 겨울철을 제외하고 연중 90% 이상의 높은 상대습도를 유지하였으며, 내부 미기후는 외부 기후 변화에 의존하나 외부보다 변동이 현저히 적은 일정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었다. 상대습도는 봄과 여름에 98~100%에 최빈값을 보였다. 훼손의 근본적인 요인은 강수와 지하수의 유입 및 결로수에 의한 높은 상대습도와 장기적인 수분 유지시간이다. 이 수분은 생물에 의한 변색, 부재의 재질약화, 구조체의 거동, 백화현상 등을 야기하였다. 한편 입구 전면의 사질토양으로 인한 분진과 부유 입자가 내부의 갈색 및 암흑색 변색을 가중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yeongju Seokbinggo (Treasure No. 66) is an ice-storing stone warehouse, consisting mainly of alkaligranite which shows milky white color and medium-grained textures with drusy cavities. As results of deterioration assessment, the deterioration rates were determined as crack (12.5%), disjoining ...

Keyword

참고문헌 (24)

  1. 문화재관리국, "한국의 석빙고". 문화재관리국, p3-45, (1994). 

  2. 공성훈, 조국환, "경주 석빙고의 여름철 실내환경 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과학기술학회지, 4, p49-58, (1998). 

  3. 배연경, "열유체 수치해석에 의한 환경 에너지 시스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석사학위논문, p69-79, (1999). 

  4. 진홍섭, "현풍 석빙고" 미술사학연구, 9, p98-99, (1961). 

  5. 진홍섭, "경주 석빙고의 축조연대". 이대사원, 5, p1-13, (1964). 

  6. 신동수, "석빙고의 전열해석". 산업기술연구소논문보고집, 2, p9-15, (1980). 

  7. 김수진, 이민성, 김원사, 이수재, "서울지역의 자연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남산화강암의 풍화에 관한 환경 광물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30, p284-296, (1994). 

  8. 김영화, 홍순호, "풍화현상에 수반되는 화강암의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23, p221-232, (1990). 

  9. Chesworth, W., "The major elament geochemistry and the mineralogical evolution of granitic rocks during weathering". In Ahrens, L.H.(ed.), Origin and distribution of elements, Pergamon Press, Oxford, p9305-313, (1971). 

  10. Lee, C.H., Lee, M.S,, Suh, M. and Choi, S.W, "Weathering and deterioration of rock properties of the Dabotap pagoda (World Cultural Heritage),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al Geology, 47, p547-557, (2005). 

  11. 최석원, 이찬희, 남광우,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보존: 선각왕사비의 암석학적 및 물리화학적 특성과 변화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p43-77, (2001). 

  12. Kim, J., LEE, C.H., Lee, M.S. and Jo, Y.H., "Quantitative deterioration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system of the Gyeongju Seakbinggo (ice-storing stone warehouse), Korea". Proceeding paper of presented at the 2006 annual meeting of the Korea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p.511-514, (2006). 

  13. 도진영, "경주 석빙고 구성석재에 형성된 표면오염물의 특징과 그 제거방안" 제21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71-88, (2005). 

  14. 윤윤경, "경주 석빙고 내부의 생물 분포에 관한 연구". 제21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62-70, (2005). 

  15. Ishihara, S., "Granitoid ser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Circum-Pacific Phanerozoic granitic belts". Resource Geology, 48, p219-224, (1998). 

  16. 이준동, 황병훈, "경주 남산-토함산 일원의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p80-95, (1999). 

  17. 윤성효, 황인호, "경주 남산일대의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구화학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1, p51-61, (1990). 

  18. Cardell. C., Delalieux, F., Roumpopoulos, K., Moropoulou, A., Auger, F., Van Grieken, R.. "Salt-induced decay in calcareous stone monuments and buildings in a marine Environment in SW Franc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7, p164-179, (2003). 

  19. Benavente, D., Garcia del Cura, M.A., Garcia-Guinea, J., Sanchez-Moral, S., Ordonez, S., "Role of pore structure in salt crystallisation in unsaturated porous stone". Journal of Crystal Growth, 260, p532-544, (2004). 

  20. Theoulaski, P., Moropoulou, A.,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arameters determining the susceptibility of porous building stones to salt deca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1, p65-71, (1997). 

  21. Camuffo. D., ''Microclimate for cultural heritage". Elsevier, Amsterdam, p1-415, (1998). 

  22. Warscheid. T. and Braams, J., "Biodeterioration of stone: a review".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46, p343-368, (2000). 

  23. 김진만, 곽은구, 서만철, 조헌영, "전통 건축물 석회 다침층 보수 시공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15회 힌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21-31, (2002). 

  24. 최준오, 임병훈, "건축재료학". 도서출판 서우, 서울, p3 36,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