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조문화재 디지털복원 및 구조안정성 평가를 위한 3차원 영상분석: 마곡사오층석탑
3D Image Analysis for Digital Resto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Evaluation of Stone Cultural Heritage: Five-storied Magoksa Temple Stone Pagod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no.2, 2009년, pp.115 - 130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공주 마곡사오층석탑을 대상으로 3차원 스캐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디지털 복원 및 구조안정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6방향에서 측정한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7단계의 데이터처리 프로그램 과정에 활용하여 석탑의 디지털복원을 완성했다. 디지털복원 결과, 전반적으로 층별 부재의 높이와 폭은 방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각 층별 옥개석의 폭은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냈다. 탑신의 층별 폭은 1층에서 5층으로 갈수록 줄어들지만 체감비율은 일정하지 않았다. 구조해석을 위한 3차원 영상분석 결과, 1층 탑신이 남동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2층 탑신부터 상륜부까지 모두 북서쪽으로 변위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3차원 영상분석이 석조문화재에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측정방법의 정량화가 필요하며, 훼손도 정량평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focused on digital resto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evaluation applying 3D scanning system of five-storied Magoksa temple stone pagoda in Gongju. For these, the digital restoration of the pagoda was completed using laser scan data which is measured 16 directions and data proces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 형상 역공학과 원소스멀티유즈의 일환으로 마곡사오층석탑에 3D 스캐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디지털 복원 및 구조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석탑의 디지털복원은 16방향에서 측정한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7단계의 데이터처리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완성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마곡사오층석탑의 수평변위 분석을 위해 Figure 9와 같이 입면도상의 탑신에 단면선을 작성하여 평면단면도를 획득했다. 그런 다음 각층의 평면단면도에 절대수평선을 작도하여 평면도상의 수평적인 변위 방향과 기울기 및 변위량을 산출하였다.
  • 특히 석조문화재에서는 3차원 디지털복원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훼손상태 및 구조적 변위량 등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마곡사오층석탑의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디지털복원과 정밀실측을 수행하였으며(Figure 4), 이를 통해 부재별 높이와 폭에 대한 정량적 수치결과를 획득하여 Table 1과 2에 제시하였다.
  • 이중 동측면 상대갑석은 중심침하가 발생했고, 서측면 상대중석은 부재의 뒤틀림이 심하였으며, 남측면 탑신받침은 전단균열에 의해 발생된 이격으로 인해 부재 바깥쪽이 솟아올라 있는 상태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조적 이상부재들에 대해서 개별변위를 분석하였다.
  • 등과 같은 원소스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를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형상 역공학과 원소스멀티유즈의 일환으로 공주에 있는 마곡사오층석탑을 대상으로 3D 스캐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디지털 복원을 수행하였다. 또한 획득한 데이터를 가지고 중심축 및 수평변위 등을 산출하는 3차원 영상분석을 실시하여 석탑의 전체적인 구조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석탑의 스캐닝에 의해 얻어진 점군 데이터는 원형과 동일한 형태로 축적된 점들의 집합체일 뿐, 면을 형성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하나의 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무수히 많은 점들 중 근접한 3개의 꼭지점을 삼각면으로 변환하는 폴리곤 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폴리곤 과정이 완료된 그림을 보면 일부지점에 폴리곤이 생성되지 않아 청색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Figure 3E).
  • 또한 앞에서 살펴본 동서방향과 남북방향의 변위분석 결과를 통해 중심축 변위의 종합적 거동특성을 알아보았다. 이 결과, 1층 탑신은 S13°E 방향으로 13.
  • 이 방법은 포인트 데이터(point-cloud)의 형상을 바탕으로 세 점 이상의 공통지점을 찾아서 좌표를 합성하는 방식이다. 또한 프로그램 상의 에러벡터 보정 기능을 이용하여 정확한 머징 작업을 실시하였다(Figure 3B).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형상 역공학과 원소스멀티유즈의 일환으로 공주에 있는 마곡사오층석탑을 대상으로 3D 스캐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디지털 복원을 수행하였다. 또한 획득한 데이터를 가지고 중심축 및 수평변위 등을 산출하는 3차원 영상분석을 실시하여 석탑의 전체적인 구조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 결과는 향후 석탑의 보존과 복원에 필요한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석탑의 변화과정 등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마곡사오층석탑의 구조적 불안정성을 가중시키고 있는 부재에 대한 개별변위를 분석하기 위해 기단부에서 1층 탑신받침까지 육안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 동측면 상대갑석, 서측면 상대중석, 남측면 탑신받침 부재에 구조적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적으로 레지스터링과 머징은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수행된다. 마곡사오층석탑의 레지스터링과 머징은 서로 겹쳐지는 영역이 있어야 하므로 현장 스캔 순서에 입각하여 남쪽-남서쪽-서쪽 등 시계방향으로 총 10회 수행하였다. 이때 타겟을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타겟머징이 아닌 형상머징 방법을 선택하였다(Figure 3A).
  • 마곡사오층석탑의 중심축 변위 분석은 동서방향을 대표하는 북측입면도와 남북방향을 대표하는 동측입면도에 대해서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지대석과 하대저석이 만나는 지점에 중심점을 설정하고, 여기에 절대수직선을 작도한 다음 이 절대수직선과 각 층 탑신의 중심점을 비교하여 변위각 및 변위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 변위분석은 프로그램상에서 각 부재에 대한 단면도를 작성한 다음 변위가 발생한 면에 대해 평행한 접선을 만들어 변위에 대한 기울기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실시했다. 부재별 기울기 산출 결과, 동측면 상대갑석은 3.
  • 마곡사오층석탑의 중심축 변위 분석은 동서방향을 대표하는 북측입면도와 남북방향을 대표하는 동측입면도에 대해서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지대석과 하대저석이 만나는 지점에 중심점을 설정하고, 여기에 절대수직선을 작도한 다음 이 절대수직선과 각 층 탑신의 중심점을 비교하여 변위각 및 변위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 따라서 위의 두 가지 방식을 상황에 맞게 조합해서 정밀도가 높은 데이터를 추출해야 한다. 이 석탑의 레이저 스캐닝에서는 최대한 많은 방향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어 후자의 방법을 선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마곡사오층석탑을 대상으로 3D 스캐닝 시스템을 활용하여 석탑의 디지털 복원과 구조적 변형에 대한 3D 영상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영상분석은 물체에 대한 3차원 형상 좌표(X, Y, Z)를 획득하여 대상체의 다양한 정보를 분석 및 해석하는 것으로 형상 역공학이라고도 한다.
  • 따라서 이를 보강하기 위해서 주변의 폴리곤 정보를 참조하면서 면 보강(fill holes)을 실시하여 Figure 3F와 같이 석탑의 디지털복원을 완료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석탑의 디지털복원 결과를 이용하여 원소스멀티유즈의 일환으로 석탑의 실측도면을 작성하고, 중심축 및 수평변위 등을 측정하여 구조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원소스멀티유즈의 일환으로 마곡사오층석탑의 3차원 디지털복원과 석탑의 중심축 이동 및 수평변위 등을 정밀 분석하여 구조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1층 탑신이 남동쪽으로 변위가 발생한 것을 제외하고는 2층 탑신부터 상륜부까지 모두 북서쪽으로 변위가 발생되었다.
  • 따라서 형상이 복잡한 곳은 스캔 밀도를 높게 하여 정밀도를 높여주고 형상이 단순한 곳은 밀도를 낮게 하여 데이터의 크기를 작게 한다. 이 연구의 레이저 스캐닝은 석탑의 디지털복원뿐만 아니라 구조안정성 평가를 위한 목적이므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전체적으로 가로 5㎜, 세로 7㎜의 밀도로 설정했다.
  • 한편 상대적으로 원형이 잘 유지되어 있는 탑신의 층별 실측결과를 통해 석탑의 체감비율을 살펴보았다. 이때 체감비율은 1층 탑신의 폭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방위별로 비교분석하였다(Table 3). 이 결과, 2층은 18〜19%(평균 19%), 3층은 22〜27%(평균 24%), 4층은 모든 방위에서 32%, 5층은 35〜37%(평균 36%)의 체감비율을 나타냈다.
  • 마곡사오층석탑의 레지스터링과 머징은 서로 겹쳐지는 영역이 있어야 하므로 현장 스캔 순서에 입각하여 남쪽-남서쪽-서쪽 등 시계방향으로 총 10회 수행하였다. 이때 타겟을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타겟머징이 아닌 형상머징 방법을 선택하였다(Figure 3A). 이 방법은 포인트 데이터(point-cloud)의 형상을 바탕으로 세 점 이상의 공통지점을 찾아서 좌표를 합성하는 방식이다.
  • 이때 하부 스캐닝은 석탑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철책 바깥쪽의 남측면을 시작으로 45°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총 8방향에 대해서 수행하였다.
  • 이를 손호웅과 이성민(2003), 전병규 외(2008)가 연구한 바 있는 첨성대와 대원사다층석탑의 수직변위량과 상대적인 비교를 실시해보았다.12,13 이때 중심축 변위량은 최상부 지점 전체변위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 이상 3차원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마곡사오층석탑의 디지털복원과 구조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석조문화재 분야에서 이 시스템의 적용은 아직까지 초기 단계로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 야외에서 스캐닝 작업으로 저장된 점군 데이터는 최종 모델링을 위해서 레지스터링(registering) - 머징(merging) - 필터링(filtering) - 유니파이(unify)를 거쳐 폴리곤(polygon) - 서피스 모델링(surface modeling) - 도면화 작업에 이용되었다. 일반적인 작업순서는 데이터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필터링이 가장 선행되나, 이 연구에서는 좀 더 정확한 머징을 위해서 작업 순서를 변경했다. 레지스터링이란 하나의 대상물에 대해 2회 이상의 스캐닝 작업을 수행했거나, 2개 이상의 스캐너를 사용했을 경우 수집된 점 군 데이터를 하나로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결합 위치를 선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 한편 상대적으로 원형이 잘 유지되어 있는 탑신의 층별 실측결과를 통해 석탑의 체감비율을 살펴보았다. 이때 체감비율은 1층 탑신의 폭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방위별로 비교분석하였다(Table 3).

대상 데이터

  • 또한 마곡사오층석탑과 같이 옥개석의 훼손이 심한 경우에는 그림상으로 표현되는 부분에만 한정되어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변위분석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마곡사오층석탑의 수평변위 분석을 위해 Figure 9와 같이 입면도상의 탑신에 단면선을 작성하여 평면단면도를 획득했다. 그런 다음 각층의 평면단면도에 절대수평선을 작도하여 평면도상의 수평적인 변위 방향과 기울기 및 변위량을 산출하였다.
  • 또한 낮과 밤 중 어느 때나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한 Class 3R(IEC 60825-1) 레이저가 사용된다. 이 레이저는 녹색으로 눈 등의 인체에 무해하며 주위 광원에 무관한 측정이 가능하다.
  • 여기에는 크게 하드웨어인 3D 스캐너와 소프트웨어인 데이터처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 사용된 3D 스캐너는 Leica사의 HDS-3000 Scanstation이다. 이 스캐너는 Tim-of-Flight(TOF) 방식의 비접촉식으로 1초에 약 4,000회의 레이저를 발사하여 짧은 시간 동안 물체 표면 전체에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고, 대상의 형상을 3차원 데이터로 얻어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이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처리 소프트웨어는 크게 작업 순서에 따라 Cyclone 5.6(Cyclone scan, Register, Model, CloudWorx Software), Geomagic Studio 8.0, AutoCAD 2007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프로그램이 사용된 것은 단일 프로그램만으로 완벽한 3차원 형상을 재현하기에는 미흡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곡사오층석탑은 어떤 것에 영향을 받아 언제 만들어 졌는가? 마곡사오층석탑은 보물 제799호로 고려시대 마곡사의 모습을 간직한 대표적인 유물이다. 이 석탑은 고려 말에 라마불교의 영향을 받아 건립되었으며, 정전인 대광보전 전면 중앙에 S10°W를 바라보며 위치하고 있다. 일명 다보탑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전체 높이는 8.
마곡사오층석탑의 높이는 얼마인가? 이 석탑은 고려 말에 라마불교의 영향을 받아 건립되었으며, 정전인 대광보전 전면 중앙에 S10°W를 바라보며 위치하고 있다. 일명 다보탑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전체 높이는 8.67m이다(Figure 1). 특히 2층 탑신부의 사방불과 상륜부를 장식하고 있는 청동제의 풍마동은 티벳 밀교인 라마교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이고 있어 역사적 및 미술사적으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마곡사오층석탑은 보물 몇호로 지정되어 있는가? 마곡사오층석탑은 보물 제799호로 고려시대 마곡사의 모습을 간직한 대표적인 유물이다. 이 석탑은 고려 말에 라마불교의 영향을 받아 건립되었으며, 정전인 대광보전 전면 중앙에 S10°W를 바라보며 위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ee, K., "Principles of CAD/CAM/CAE systems". Addison wesley, p445, (1999). 

  2. 김영원, 전병환, "3차원 형상정보 처리기술을 이용한 환두대두의 디지털 원형복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5, p133-140, (2005). 

  3. 양희제, 김사덕, 이찬희, 최석원,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해체과정과 구성부재의 훼손도 평가". 보존과학회지, 16, p77-88, (2004). 

  4.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의 풍화특성과 불연속면의 안정성 해석". 지질학회지, 41, p401-413, (2005). 

  5. Fontana, R., Greco, M., Materazzi, M., Pampaloni, E., Pezzati, L., Rocchini, C., and Scopigno, R., "Three- dimensional modeling of statues: the Minerva of Arezzo".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 p301-313, (2000). 

  6. Pieraccini, M., Guide, G. an Atzeni, C., "3D digitizing of cultural heritage".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2, p63-70, (2001). 

  7. Remondino, I., El-Hakim, S., Baltsavias, E., Picard, M., Graammatikopoulos, L., "Image-based 3D modeling of the erechteion, Acropolis of Athen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37, p1083-1092, (2008). 

  8. Salemi, G., Achilli, V., Boatto, G., "3D virtual modeling of a gothic stained-glass panel".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37, p297-302, (2008). 

  9. Tsingas, V., Liapakis, C., Xylia, V., Mavromati, D., Grammatikopoulos, L., Stentoumis, C., "3D modelling of the Acropolis of Athens using balloon images and terrestrial laser scanning".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37, p1101-1106, (2008). 

  10. Kersten, T.P., Lindstaedt, M., Vogt, B., "Preserve the past for the future terrestrial laser scanning for the documentation and deformation analysis of Easter Island's Moai".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37, p271-278, (2008). 

  11. Shaoxing, H., Feng G., Aiwu Z., Yulin C., Guangjie C., Wenguo D., Xiao Z., "3D digital investigation on diseases of Tibet mural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37, p1107-1112, (2008). 

  12. 손호웅, 이성민, "석조구조물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지질공학적 및 구조동역학적 특성연구". 지구물리, 6, p277-294, (2003). 

  13. 전병규, 이찬희, 서만철, "3차원 영상분석을 이용한 대원사다층석탑의 안정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22, p31-42, (2008). 

  14. Egglezos, D., Moullou, D., Mavromati, D., "Geostructural analysis of the Athenian Acropolis walk based on terrestrial laser scanning data".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37, p1093-1100, (2008). 

  15. 최석원, 윤용혁, 서만철, 김광훈, 이찬희, "충남지역 석조문화재의 현황과 보존대책". 충청남도, p74-80, (1999). 

  16. 최원호, "3차원 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문화재 구축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6, (2003). 

  17. 김재철, "계룡산 청량사지 오층 및 칠층석탑의 정밀진단과 훼손도 평가".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9-141, (2007). 

  18. 배대환, "3D스캐너를 이용한 문화재원형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8, (2006). 

  19. 김소현, "문화유산 디지털 복원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 (2003). 

  20. Chesworth, W., Ahrens, L.H., "Major element geochemistry and the mineralogical evolution of granitic rocks during weathering". Pergamon Press, Oxford, p305-313, (1971). 

  21. Fidler, J., "Stone building, construction and associated component system: their decay and treatment". English Heritage Research Transaction, 2, p1-104, (2002). 

  22. 채상정, 서만철, "비파괴 탐사를 이용한 무량사오층석탑의 지반안정해석". 보존과학회지, 20, p43-54, (2007). 

  23. Burland, J.B., Jamilkowski, M., Viggiani, C., "Stabilising the leaning tower of Pisa". Bull. Eng. Geol. Env., 57, p91-99, (1998). 

  24. Jo, Y.H., Lee, C.H., Jo, S.N. and Chun, Y.G., "Safety diagnosis and quantitative deterioration assessment by nondestructive techniques for the five-storied Magoksa temple stone pagoda, Kongju, Korea". UN이 정한 지구의 해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p18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