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8년부터 1년간의 연구 끝에 작성이 되었으며 천식 예방, 환경적인 방아인자 회피, 적절한 천식 조절과 환자의 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중의 주요 포인트는 환자에 대한 교육, 환경조절, 개인에 맞는 약물치료, 그리고 규칙적이고 정기적인 추적검사이다27.
  • 36개의 기관에서 천식에 관심이 있는 관계자들이 모여서 1991년에 천식이 심각한 만성질환임을 환자, 공공, 그리고 건강전문가들에게 각성시키고 천식의 증상들을 환자나 가족에게 교육하고 정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게 하고 치료와 교육으로 효과적인 천식 조절을 목적으로 했다. 1997년에는 천식증상 예방, 정상적인 폐기능 유지, 악화 예방, 응급실 방문의 최소화와 적절한 약물치료를 주 내용으로 하고 인터넷으로 확산시켰다.
  • 1980년대에 이 나라들에서 천식으로 인한 사망환자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심각성이 대두 되어 만들게 되었다. 그 목적은 천식으로 인한 사망자수를 감소시키고 유병률을 감소시키는 데 있었다. 천식의 평가 및 치료에 대하여 6단계로 되어 있고 자주 주치의가 환자의 천식 중증도를 평가하고 가장 좋은 폐기능을 유지하자는 내용이다2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raig 연구에 따르면 천식환자에서 알레르기 피부 반응에 한 가지라도 양성인 환자는 몇 %인가? 이런 증거들로서 FeNO와 EBC는 천식에 관련된 표지자로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Craig 등16은 천식환자에서 알레르기 피부 반응에 한 가지라도 양성인 환자가 95%이며, 이는 고 IgE와 FeNO가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를 한 바 있다. 반면에 천식환자의 IgE, 증상, 성별과 상기도 감염 등은 FeNO나 EBC 등과는 연관성이 떨어진다는 보고도 있다17.
Malondialdehyde가 천식에 있어서 하나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반면에 천식환자의 IgE, 증상, 성별과 상기도 감염 등은 FeNO나 EBC 등과는 연관성이 떨어진다는 보고도 있다17. Malondialdehyde는 원래 직업성 폐질환에서 지표로 이용이 되었던 것인데 멕시코에서 교통에 의한 오염이 심한 환경에서의 아동 천식에서 기도 염증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이는 오존이나 미세먼지 등에 의한 천식의 악화 등에서 천식에 있어서 하나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겠다18.
천식과 비만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런 이유에는 몇 가지 가설이 있다. 첫 번째, 비만인 사람들의 식이생활이 요인이 될 수 있고, 두 번째, 비만에 의한 가슴이나 복부의 기계적인 효과로 폐기능의 저하와 특히 운동 시 호흡의 불편으로 인한 일회 호흡량의 감소와 호흡수의 증가, 세 번째 원인으로는 비만 자체가 기도과민성에 기여한다는 보고도 있다7. 최근의 다른 보고들에서는 천식을 가지고 있는 비만 환자들에서 기도 유발 검사 시 기도 경련이 정상 몸무게를 가진 환자에 비하여 많이 발생함을 보고 하였다8. 또 다른 면에서는 지방세포가 염증반응이나 면역조절 기능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도 있다. 지방 세포에서 adipokinese 등이 분비되어 proinflammatory cytokine과 같은 작용을 하여 만성 systemic inflammation을 유발한다. 그 예로서 비만한 사람들에게서 plasma C-reactive protein (CRP)9, IL-610, 그리고 tumor necrosis factor (TNF)-α 등이 증가되어 있다11. 동물 실험에서도 leptin이 비만의 경우 기도 과민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12. 비만에서 많이 증가되어 나타나는 leptin, TNF-α, IL-6 등의 proiflammatory molecule들은 심혈관계 합병증, 인슐린 저항과 동맥경화 등의 증가를 가져오고 천식에서의 glucocorticoid에 대한 저항을 유발한다13. 특히 leptin은 기도의 smooth muscle의 증식을 억제하고 IL-13 induced eotaxin의 분비를 증가시켜 비만과 천식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고한 바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Third Expert Panel on the Management of Asthma. Expert panel report 3: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Bethesda: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7 

  2. Wilson DH, Adams RJ, Tucker G, Appleton S, Taylor AW, Ruffin RE. Trends in asthma prevalence and population changes in South Australia, 1990-2003. Med J Aust 2006;184:226-9 

  3. Pearce N, Ait-Khaled N, Beasley R, Mallol J, Keil U, Mitchell E, et al. Worldwide trends in the prevalence of asthma symptoms: phase III of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Thorax 2007;62:758-66 

  4. Masoli M, Fabian D, Holt S, Beasley R. The global burden of asthma report (Internet). (place unknown):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INA); c2004. Available from: http://www.ginasthma.org 

  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2007. Available from: http://www.kosis.kr/ 

  6. Beuther DA, Sutherland ER. Overweight, obesity, and incident asthma: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epidemiologic studie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175:661-6 

  7. Litonjua AA, Sparrow D, Celedon JC, DeMolles D, Weiss ST.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the development of methacholine airway hyperresponsiveness in men: the Normative Aging Study. Thorax 2002;57:581-5 

  8. Sutherland TJ, Cowan JO, Taylor DR. Dynamic hyperinflation with bronchoconstriction: differences between obese and nonobese women with asthm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8;177:970-5 

  9. Festa A, D'Agostino R Jr, Williams K, Karter AJ, Mayer-Davis EJ, Tracy RP, et al. The relation of body fat mass and distribution to markers of chronic inflammatio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1;25:1407-15 

  10. Hoene M, Weigert C. The role of interleukin-6 in insulin resistance, body fat distribution and energy balance. Obes Rev 2008;9:20-9 

  11. Xu H, Uysal KT, Becherer JD, Arner P, Hotamisligil GS. Alter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processing in adipocytes and increased expression of transmembrane TNF-alpha in obesity. Diabetes 2002;51:1876-83 

  12. Shore SA. Obesity and asthma: lessons from animal models. J Appl Physiol 2007;102:516-28 

  13. Webster JC, Oakley RH, Jewell CM, Cidlowski JA. Proinflammatory cytokines regulate human glucocorticoid receptor gene expression and lead to the accumulation of the dominant negative $\beta$ isoform: a mechanism for the generation of glucocorticoid resistance. Proc Natl Acad Sci U S A 2001;98:6865-70 

  14. Nair P, Radford K, Fanat A, Janssen LJ, Peters-Golden M, Cox PG. The effects of leptin on airway smooth muscle responses. Am J Respir Cell Mol Biol 2008;39:475-81 

  15. Pedersen S, O'Byrne PM. Exhaled nitric oxide in guideline-based asthma management. Lancet 2008;372:1015-7 

  16. Craig TJ, King TS, Lemanske RF Jr, Wechsler ME, Icitovic N, Zimmerman RR Jr, et al. Aeroallergen sensitization correlates with PC (20) and exhaled nitric oxide in subjects with mild-to-moderate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1:671-7 

  17. Levesque MC, Hauswirth DW, Mervin-Blake S, Fernandez CA, Patch KB, Alexander KM, et al. Determinants of exhaled nitric oxide levels in healthy, nonsmoking African American adults.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1:396-402.e3 

  18. Romieu I, Barraza-Villarreal A, Escamilla-Nunez C, Almstrand AC, Diaz-Sanchez D, Sly PD, et al. Exhaled breath malondialdehyde as a marker of effect of exposure to air pollution in children with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1:903-9.e6 

  19. Van Eerdewegh P, Little RD, Dupuis J, Del Mastro RG, Falls K, Simon J, et al. Association of the ADAM33 gene with asthma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Nature 2002;418:426-30 

  20. Tantisira KG, Silverman ES, Mariani TJ, Xu J, Richter BG, Klanderman BJ, et al. FCER2: a pharmacogenetic basis for severe exacerbations in children with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7;120:1285-91 

  21. Tantisira KG, Lazarus R, Litonjua AA, Klanderman B, Weiss ST. Chromosome 17: association of a large inversion polymorphism with corticosteroid response in asthma. Pharmacogenet Genomics 2008;18:733-7 

  22. Litonjua AA, Lasky-Su J, Schneiter K, Tantisira KG, Lazarus R, Klanderman B, et al. ARG1 is a novel bronchodilator response gene: screening and replication in four asthma cohort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8;178:688-94 

  23. Rayens MK, Burkhart PV, Zhang M, Lee S, Moser DK, Mannino D, et al. Reduction in asthma-relate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fter implementation of a smoke-free law.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2:537-41.e3 

  24. Salo PM, Arbes SJ Jr, Crockett PW, Thorne PS, Cohn RD, Zeldin DC. Exposure to multiple indoor allergens in US homes and its relationship to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1:678-684.e2 

  25. Hunninghake GM, Soto-Quiros ME, Lasky-Su J, Avila L, Ly NP, Liang C, et al. Dust mite exposure modifies the effect of functional IL10 polymorphisms on allergy and asthma exacerbations.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2:93-8, 98.e1-5 

  26. Woolcock A, Rubinfeld AR, Seale JP, Landau LL, Antic R, Mitchell C, et al. Thoracic society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Asthma management plan, 1989. Med J Aust 1989;151:650-3 

  27. Boulet LP, Becker A, Berube D, Beveridge R, Ernst P. Canadian asthma consensus report, 1999. CMAJ 1999;161:S1-61 

  28.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asthma in adults: II--Acute severe asthma. Statement by the British Thoracic Society, Research Unit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London, King's Fund Centre, National Asthma Campaign. BMJ 1990;301:797-800 

  29. Holbrook JT, Harik-Khan R. Montelukast and emotional well-being as a marker for depression: results from 3 randomized, double-masked clinical trials.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2:828-9 

  30. Milgrom H, Fick RB Jr, Su JQ, Reimann JD, Bush RK, Watrous ML, et al. Treatment of allergic asthma with monoclonal anti-IgE antibody. rhuMAb-E25 Study Group. N Engl J Med 1999;341:1966-73 

  31. Berry MA, Hargadon B, Shelley M, Parker D, Shaw DE, Green RH, et al. Evidence of a role for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 refractory asthma. N Engl J Med 2006;354:697-708 

  32. Erin EM, Leaker BR, Nicholson GC, Tan AJ, Green LM, Neighbour H, et al. The effects of a monoclonal antibody directed against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asthm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6;174:753-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