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종합병원 입원 암 환자와 암 환자 가족원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및 태도
Pain Management Knowledge and Attitude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9 no.2, 2009년, pp.104 - 113  

김묘연 (강북삼성병원 종양혈액내과)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박달이 (강북삼성병원 간호부) ,  황연자 (강북삼성병원 간호팀) ,  장희경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in management knowledge and attitude in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52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and 52 their family caregivers in a hematooncologic unit in one general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 환자와 암 환자 가족원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비교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일개 종합병원 혈액종양 내과병동에 입원한 52명의 암 환자와 그 가족원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자가 보고와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 후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본 연구는 암 환자와 암 환자 가족원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비교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일개 종합병원 혈액종양 내과병동에 입원한 52명의 암 환자와 그 가족원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자가 보고와 면담을 통해 자료수집 후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분석하였다. 암 환자와 암 환자 가족원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암 환자 가족원의 지식이 암 환자의 지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 본 연구는 암 환자와 암 환자 가족원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확인, 비교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 환자와 암 환자 가족원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비교, 확인하여 효율적인 암성통증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환자에게 통증관리가 잘 이뤄지지 못하면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가? 2,3) 통증은 암이 진행 됨에 따라 심해져 진행성 암 환자의 약 80%가 진통제 투여가 필요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4,5) 또한 통증관리가 효과적이지 못하면 식사와 수면 활동 등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며,6,7) 심각할 경우 불안과 죽음에 대한 공포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7) 그러나 적절한 통증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암 환자의 70-90%에서는 암성통증이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암성통증관리의 대표적 장애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2,3,10,11) 암성통증은 약물을 적절히 사용하면 경감될 수 있지만 암 환자나 가족원들의 통증관리에 대한 잘못된 지식과 부정적인 태도가 치료의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3,13) 마약중독과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결과에 대한 두려움, 법적∙행정적 규제에 대한 부정적 태도, 마약성진통제와 보조진통제의 약리작용에 대한 지식부족 등이 암성통증관리의 대표적 장애요인이다.2) 환자의 경우 암의 진행에 대한 공포, 의사의 주의를 분산시켜 암 치료에 집중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는 걱정, 좋은 환자로 보이고 싶은 욕망 등으로 통증보고를 주저하게 된다.
암성통증과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과 부작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암 환자와 암 환자 가족원 모두 암성통증관리 교육을 받은 경험이 거의 없었지만, 환자의 92.3%, 암 환자 가족원의 88.5%가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향후 입원한 암 환자와 암 환자 가족원들 대상으로 암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진통제의 선택 및 적절한 복용 등을 주요 내용으로 구성하는 암성통증관리 교육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수행된 선행연구에서 암성통증에 대한 교육은 주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간호사의 67.8%,18) 65.5%17)이 암성통증관리 교육을 받았던 것과 비교하면 암 환자나 암 환자 가족원 대상의 암성통증관리 교육이 매우 부족하였음을 알 수 있다. 통증은 주관적 경험으로 대상자인 암 환자가 통증관리의 주체가 되어야 하고,9,25) 최근에는 가정에서의 통증관리가 많아지면서 암 환자 가족원의 통증관리가 중요해진 것3,10,11)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이는 의료인들이 암성통증관리의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암 환자의 통증에 대해 즉각적인 대처만 하고 있을 뿐 가정에서의 통증 관리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못하기16) 때문이다. 따라서, 암성통증과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과 부작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vailable from: URL:http://www.nso.go.kr. 

  2. Yun YH, Heo DS, Lee IG, Jeong HS, Kim HJ, Kim SY, et al. Melticenter study of pain and its manage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in Korea. J Pain Symptom Manage 2003;25:430-7. 

  3. Vallerand AH, Collins-Bohler D, Templin T, Hasenau SM. Knowledge of and barriers to pain management in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homecare. Cancer Nurs 2007;30:31-7. 

  4. Herdon CM. Pharmacologic management of cancer pain. J Neurosci Nurs 2003;35:321-6. 

  5. Porter LS, Keefe FJ, McBride CM, Pollack K, Fish L, Garst J. Perceptions of patients' self-efficacy for managing pain and lung cancer symptoms: correspondence between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Pain 2002;98:169-78. 

  6. Ferrel B, Schnoider C. Experience and management of cancer pain at home. Cancer Nurs 1998;11:84-90. 

  7. Lobchuk MM, Degner LF. Symptom experiences: perceptual accuracy between advanced-stage cancer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in the home care setting. J Clin Oncol 2002;20:3498-507. 

  8. Allard P, Maunsell E, Labbe J, Dorval M.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cancer pain control: a systematic review. J Palliat Med 2001;4:191-203. 

  9. Taylor EJ, Ferrell BR, Grant M, Cheyney L. Managing cancer pain at home: the decisions and ethical conflicts of patients, family caregivers, and homecare nurses. Oncol Nurs Forum 1993;20:919-26. 

  10. Lin CC, Wang P, Lai YL, Lin CL, Tsai SL, Chen TT. Identifying attitudinal barriers to family management of cancer pain in palliative care in Taiwan. Palliat Med 2000;14:463-70. 

  11. Yeager KA, Miaskowski C, Dibble SL, Wallhagen M. Differences in pai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the pain experience between out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Oncol Nur Forum 1995;22:1235-41. 

  12. Gallagher R, Hawley P, Yeomans W. Pain Res Manag 2004;9:188-94. 

  13. Kwak KS. Analysis of insight to hospice and narcotic analgesics in terminal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 [dissertation]. Daegu:Youngnam Univ.;2006. 

  14. Ward SE, Goldberg N, Miller-McCauley V, Mueller C, Nolan A, Pawlik-Plank D, et al. Patient-related barriers to management of cancer pain. Pain 1993;52:319-24. 

  15. Arathuzik D. Preliminary assessment: the pain inventory and the pain coping tool. Am J Hosp Palliat Care 1994;11(5):25-9. 

  16. Jung SH.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management of cancer pain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Busan:Kosin Univ.;2007. 

  17. Ahn SH.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of cancer patients' pain management [dissertation]. Seoul:Kyung Hee Univ.;2004. 

  18. Nam MS. A survey about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f cancer pain management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2003. 

  19. Watt-Watson JH, Donovan MI, McGuire DB. Pain management: Nursing perspective. St. Louis:Mosby Year Book;1992. 

  20. Hyun J. Clincal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n pain management [dissertation]. Seoul:Chung Ang Univ.;1999. 

  21. Yoon YR. A study on the pattern and management of pai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Based on patients at hospice facilities) [dissertation]. Busan:Inje Univ.;2002. 

  22. Jung JM. A study on the aspects in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Jeonju:Chonbuk Nat'l Univ.;2000. 

  23. Shin SB. The effect of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on the concerns and hesitancy of pain management in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Busan:Kosin Univ.;2002. 

  24. Oliver DP, Wittenberg-Lyles E, Demiris G, Washington K, Porock D, Day M. Barriers to pain management: caregiver perceptions and pain talk by hospice interdisciplinary teams. J Pain Symptom Manage 2008;36:374-82. 

  25. Aranda SK, Hayman-White K. Home caregivers of the person with advanced cancer: an Australian perspective. Cancer Nurs 2001;24:300-7. 

  26. Kim H, Yu S, Kwon S, Park Y. Differences in patients'and family caregivers'ratings of cancer pain. Korean J Hosp Palloat Care 2008;11:42-50. 

  27. Yi JE, Park M. The effects of patient and family education guideline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cancer pain control. J Korean Clin Nurs Res 2009;15:123-32. 

  28. Berry PE, Ward SE. Barriers to pain management in hospice: a study of family caregivers. Hosp J 1995;10:19-33. 

  29. Ward SE, Berry PE, Misiewicz H. Concerns about analgesics among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in a hospice setting. Res Nurs Health 1996;19:205-11. 

  30. Son SM. Impact of pain and management on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Gyeongju:Dongguk Univ.;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