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순조(純祖)의 질병(疾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ease of King Seonjo of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2 no.2, 2009년, pp.107 - 126  

김훈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예방의학교실) ,  이해웅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ng Seonjo, the second son of King Jeongjo, is the twenty-third King of the Joseon Dynasty. He suffered mainly from spleen-stomach weakness syndrome[脾胃虛弱], neurasthenic neurosis and abscess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He experienced chicken pox at the age of twelve, meas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유사옥(辛酉邪獄)은 어떤 사건인가? 순조가 11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게 되자 영조(英祖)의 계비 정순왕후(貞純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한다. 당시 벽파(僻派)와 시파(時派)로 나뉘어져 있던 조정에서 벽파계열인 정순왕후는 실학사상가들이 많았고 비교적 천주교쪽과 가깝던 시파계열을 숙청하기 위해 천주교에 대한 대규모 탄압사건인 신유사옥(辛酉邪獄)을 일으킨다.
순조(純祖)는 누구인가? 순조(純祖)는 정조(正祖)의 제2왕자로 1790년(정조 14년) 6월 수빈박씨(綬嬪朴氏)에게서 태어났다. 이름은 공(玜), 자(字)는 공보(公寶), 호(號)는 순재 (純齋)이다. 순조는 정조의 장자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자 1800년(정조 24년) 정월 왕세자에 책봉되었고, 그 해 부왕인 정조가 갑자기 승하함으로써 조선조 23대 왕위에 오르게 된다1).
순조의 질병은 무엇이었는가? 순조의 질병 가운데 순조가 지속적으로 고통 받았던 가장 중요한 병증으로는 비위허약증(脾胃虛弱證), 신경쇠약성 신경증(Neurasthenic Neurosis), 그리고 종기(腫氣) 등을 들 수 있다. 즉, 순조는 체질 적으로 병약하여 비위허약으로 인한 허로증(虛勞證)을 지속적으로 앓았으며, 즉위 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과 안동김씨의 세도정치로 인해 예민한 성품의 순조는 정신적 압박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고 신경쇠약 증세까지 드러냈던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金勳. 朝鮮前期 君王의 疾病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p.12, 16. 

  2. 金勳. 朝鮮中期 鍼醫의 활동과 李馨益의 燔鍼術. 韓國醫史學會誌. 2005. 18권 2호. p.97. 

  3. 洪性鳳. 朝鮮朝 歷代王의 壽命과 그 死因. 韓國人口學會誌. 1991. 14권 1호. p.43. 

  4. 實錄廳撰. 朝鮮王朝實錄 CD-ROM. 서울. 서울시스템.(주). 1995. 

  5. 許浚. 東醫寶鑑. 서울. 南山堂. 1987. p.405, 411, 521, 526, 659. 

  6. 許浚. 신대역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2007. p.277, 281, 285, 296, 297, 369, 410, 429, 528, 530, 542, 553, 662, 750, 800, 1026, 1035, 1100, 1204, 1205, 1213, 1216, 1232, 1245, 1274, 1285, 1306, 1316, 1322, 1383, 1408, 1438, 1450, 1483, 1489, 1523, 1562, 1609, 1610, 1650, 1679, 1692, 1693, 1771. pp.277-278, 281-282, 286-287, 370-371, 1136-1137,1150-1151, 1248-1249, 1250-1251, 1488-1489, 1499-1500, 1774-1775. 

  7.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재편집 동의학사전. 서울. 까치. 1997. p.1, 3, 8, 31, 128, 436, 597, 680, 711, 759, 837, 1012, 1035, 1092. 

  8. 傳統醫學硏究所. 東洋醫學大辭典. 서울. 成輔社. 2000. p.28, 30, 81, 128, 230, 673, 1128, 1840, 2325, 2408, 2709. 

  9. 南京中醫學院. 中醫方劑大辭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4. 卷6. pp.622-923. 卷8. p.660. 

  10. 張浩良. 中國方劑精華辭典. 天津. 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96. p.104, 566. 

  11. 法制處. 古法典用語集. 서울. 법제처. 1979. p.71, 590, 633, 767. 

  12. 신동원.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서울. 역사비평사. 2004. p.22. 

  13. 신동원. 조선사람의 생로병사. 서울. 한겨례신문사. 1999. p.54. 

  14. 서울시스템(주). 국역 조선왕조실록 해설집. 서울. 서울시스템. 1995. pp.229-2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