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주변 탄산염퇴적물의 분포와 성인: 예비조사 결과
Distribution and Origin of Carbonate Sediments near Dok Island: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4 no.3, 2009년, pp.171 - 180  

우경식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지효선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김련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전진아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박재석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박흥식 (한국해양연구원) ,  김동선 (한국해양연구원) ,  박찬홍 (한국해양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독도 주변 퇴적물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퇴적물의 기원과 퇴적상을 조사하였다. 퇴적물은 독도를 이루는 화산기원의 암편과 천해에서 서식하고 있는 여러 생물에 의해 생성된 탄산염퇴적물로 구성된다. 대부분 탄산염입자와 화산암편으로 이루어진 퇴적물 중에서 탄산염입자는 연체동물(이매패류와 복족류), 덮개상과 가지상 태선동물, 덮개상과 마디상 홍조류, 유공충, 해면동물, 환형동물, 극피류(성게류), 절지동물(따개비류), 규조류 등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퇴적물 내 구성요소의 상대적 함량의 차이는 주로 수심에 의해 구분되지만 비슷한 수심구간 내에서도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독도 주변의 퇴적물은 전형적인 냉수성 탄산염퇴적물(cool water carbonates)의 성분을 보여주며, 수심별로 뚜렷한 퇴적상의 변화를 보인다. 독도 주변 퇴적물은 수심에 따른 구성요소 함량의 차이와 입자의 크기에 의해 크게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해안퇴적상(20 m 이내의 천해퇴적물), 천해퇴적상($20{\sim}100m$ 구간의 천해퇴적물), 상부 전이퇴적상($100{\sim}200m$의 퇴적물), 하부 전이퇴적상($200{\sim}700m$의 퇴적물), 그리고 반원양퇴적상(700 m 이상의 반원양성 퇴적물)이다. 수심 2,000 m 이상의 퇴적물 내에도 약 $10{\sim}20%$의 탄산염 퇴적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독도 주변 해역의 탄산염보상심도가 이보다 더 깊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constituent analysis of sediments near Dok Island, the origin and sedimentary facies were Investigated. The sediments are mainly from originated from volcanic and volcaniclastic rock fragments derived from Dok Island and carbonate sediments formed by a variety of shallow-dwelling organi...

주제어

참고문헌 (24)

  1. 박찬홍, 이종익, 허식, 천종화, 김창환, 2005. 독도 주변 해저지형 및 지질 특성 . 2005 한국물리탐사학회 대한지구물리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pp. 1-3 

  2. 송용선, 박맹언, 박계헌, 2006. 울릉도와 독도 화산암의 생성연대 및 전화사. 암석학회지, 15: 72-80 

  3. 우경식, 김진경, 2005 제주도 협재 지역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의 구성성분과 형성시기: 홀로세 후기의 해수면 변화에 대한 고찰. 지질학회지, 41: 499-510 

  4. 우경식, 전진아, 2008. 서부 태평양 지역의 위도변화에 따른 현생탄산염입자의 구성성분변화 .2008 대한지잘학회 추계학술발표회초록집, pp. 92 

  5. 유강민, 우경석, 2007. 퇴적암의 이해. 한국학술정보. 563 pp 

  6. 이종익, 허순도, 이미정, 유찬민, 박병권, 김예동, 권문상, Keisuke Nagao, 2002. 독도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특성과 지구화학. Ocean Polar Res., 24: 465-482 

  7. 지옥미, 우경식, 1995. 제주도 해빈퇴적물의 구성성분. 한국해양학회지, 30: 480-492 

  8. 지효선, 우경식, 김련, 최돈원, 양동윤, 박병권, 2008. 제주도 구좌읍 김녕 일대에 분포하는 해안사구 퇴적물의 기원과 형성시기. 지질학회지, 44: 615-628 

  9. 한국해양연구소, 2000. 독도 생태계 등 기초조사 연구. 해양수산부, BSPM99045-00-1282-6, 545-587pp 

  10. 허 식, 박찬홍, 유해수, 한상준, 2005. 독도 주변해역의 지구조와 퇴적환경 2005 한국물리탐사학회 -대한지구물리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pp. 145-150 

  11. 황상구, 전영권, 2003 독도 화산의 분출융회와 화산형태. 자원환경지질, 35: 527-536 

  12. Bathurst, R.G.C., 1976. Carbonate Sediments and Their Diagenesis. Elsevier, New York, 658 pp 

  13. Chough, S.K., G.H. Lee, B.K. Park and S.W. Kim, 1984. Fine structures of turbidite and associated mud in the Ulleung (Tsushima) Basin, East Sea (Sea of Japan). J. Sed. Petrol., 54: 1212-1220 

  14. Dix, GR., C.S. Nelson, 2006. Diagenetic potential for lithification of cool-water carbonate shelf mud. Sed. Geol., 185: 41-58 

  15. Halfar, J., L. Godinez-Orta, M. Mutti, J.E. Valdez-Holguin and J.M. Borges, 2004. Nutrient and temperature controls on modem carbonate production: An example from the Gulf of Califomia, Mexico. Geology, 32: 213-216 

  16. James, N.P., 1997, The cool-water carbonate depositional realm. In: Cool Water Carbonates, edited by James, N.P. and J.A.D. Clarke, SEPM Spec. Publ. No. 56, pp. 1-20 

  17. James, N.P., Y. Bone, C.C. von der Borch and Y.A. Gostin, 1992, Modem carbonate and terrigenous clastic sediments on a coolwater, high energy, mid-latitude shelf: Lacepede, southem Australia. Sedimentology, 39: 877-903 

  18. James, N.P., Y. Bone, S.J. Hageman, D.A. Feary and Y.A. Gostin, 1997, Cool-water carbonate sedimentation during the terrninal Quatemary sea-leveI cycle: Lincoln Shelf, Southem Australia. In: Cool Water Carbonates, edited by James, N.P. and J.A.D. Clarke, SEPM Spec. Publ. No. 56, pp. 53-75 

  19. James, N.P., Y. Bone, L.B., Collins and T.K. Kyster, 2001, Surficial sediments of the Great Australian Bight: facies dynamics and oceanography on a vast cool-water carbonate shelf. J. Sed. Res., 71: 549-567 

  20. Lees, A., A.T. Buller, 1972. Modem temperate water and warm water shelf carbonate sediments contrasted. Mar. Geol., 13: 1767-1773 

  21. Mutti, M., P. Hallock, 2003. Carbonate systems along nutrient and temperature gradients: some sedimentological and geochemical constraints. Inter. J. Earth Sci., 92: 465-475 

  22. Pedley, M., M. Grasso, 2002, Lithofacies modelling and sequence stratigraphy in microtidal cool-water carbonates: a case study from the Pleistocne of Sicily, ltaly. Sedimentology, 49: 533-553 

  23. Rivers, J.M., N.P. James, T.K. Kyser and Y. Bone, 2007, Genesis of palimpsest cool-water carbonate sediment on the continental margin of Southem Australia, J. Sed. Res., 77: 480-494 

  24. Sohn, Y.K., K.H. Park, 1994. Geology and Evolution of Tok Island, Korea. Joum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0: 242-2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