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장치 시스템의 고찰 - 수운의상대, 자격루, 옥루, 송이영 혼천시계 등을 중심으로 -
Automatic Clock and Time Signal System of the Astronomical Agency in East Asia Area 원문보기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v.26 no.3, 2009년, pp.355 - 374  

이용삼 (충북대학고 천문우주학과) ,  김상혁 (한국천문연구원) ,  정장해 (충북대학고 천문우주학과)

초록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시스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조선의 서운관에서는 1434년(세종 16)부터 국가 표준시계로 자격루를 운영하였고, 1438년에는 옥루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자동 시보시스템은 당시 시각제도에 따라 시보장치와 타종장치로 운영되었다. 이보다 앞서 제작한 중국의 수운의상대(1092)에서도 당시의 시각제도에 따른 시보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은 12시 100각법에 따른 동일한 시각제도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세부적인 시보시스템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시보장치와 타종장치의 제작기술은 중국의 전통을 기반으로 자격루와 옥루라는 독창적인 시보시스템을 나타내는 종합적인 시계 기술로 이어졌다. 시보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당시 시각제도에 대한 사례와 새롭게 복원할 천문유물의 시보와 타종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sed the old automatic clock and time signal system that was used by the national astronomical agency in East Asian Area. Jagyeongnu is a kind of water clock that was operated by the flowing water in Joseon Dynasty. Seowoongwan managed the water clock so as to keep the standard time system in...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구만옥 2005, 한국사상사학, 25, 173 

  2. 김상혁 2007,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3. 김상혁 2009, 충북사학, 22, 25 

  4. 남경태 2002, 시간의 발견 (서울: 휴머니스트) 

  5. 남문현 1998, 한국사연구, 101, 75 

  6. 남문현 2002, 장영실과 자격루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7. 사이토 쿠니하루 1995, 日本.中國.朝鮮-古代の時刻制度 (東京: 雄山閣出版), p.283 

  8. 이용삼, 김상혁 2007, 한국우주과학회지, 24, 167 

  9. 전상운 1963, 古文化, 2, 2 

  10. 전상운 1994, 시간과 시계 그리고 역사 (서울: 월간시계사) 

  11. 조선기술발전사편찬위원회 1997, 조선기술발전사, 권4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2. 한영호, 남문현, 이수웅 2001, 한국사연구, 113, 69 

  13. 橋本万平 2002, 日本の時刻制度 (동경: 간선서) 

  14. 山田慶兒, 土屋榮夫 1997, 復元水運儀象臺: 十一世紀中國の天文觀測時計塔 (東京 : 新?社) 

  15. 細川半藏賴直 1796, 土州 (東都書林) 

  16. 千田靖子 2005, 圖說, からくり人形の世界 (東京: 法政大學出版局) 

  17. 諏訪湖時の科學館 儀象臺 1998, 儀象臺展示解設 (長野縣: 諏訪湖時の科學館) 

  18. Barnett, J. E. 1999, Time's Pendulum: From Sundials to Atomic Clocks, the Fascinating History of Timekeeping and How Our Discoveries Changed the World (New York: Plenum Press) 

  19. Denison, E. B. 1850, A Rudimentary Treatise on Clock & Watch Making: With a chapter on church clocks (London) 

  20. Hill, D. R. 1989, The book of Konwledge of ingenious mechanical devices (Islamabad: Pakistan Hijra Council) 

  21. Needham, J., Lu, G.-D., Combridge, J. H., & Major, J. S. 1986, The Hall of Heavenly Records: Korean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clocks 1380-1780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Rufus, W. C. 1936,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26, 1 

  23. Whitrow, G. J. 1989, Time in history: View of time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da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