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The Effects of Family Climate of Fathers' Family of Origin,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and Parenting on father-Son Intimac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4 = no.100, 2009년, pp.177 - 188  

이유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climate of fathers' family of origin, fa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life, and parenting on father-son intimacy. A total of 297 adolescents(M=15 yrs. SD=1.4) and their fa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st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자청소년 297명(평균연령: 15세)과 그 아버지 (평균연령: 46세)를 대상으로 부자간 친밀감 형성에 아버지가 자라난 원가족의 분위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원가족 분위기가 부-자간 친밀감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 행동 변인이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부-자간 친밀감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이론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실증적 연구가 부족했던 부자간 친밀감을 예측하는 선행변인들에 초점을 두었으며,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를 주된 예측 변인으로 선정하고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그리고 양육 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아버지의 원 가족 분위기가 아버지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양육행동 및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어떠한가? 이며, 아버지의 원 가족 분위기(지지/온정성)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 양육행동(지지적 행동 및 심리적 통제행동)을 매개로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이론적 모형을 설정하였다(<그림 1> 참조).
  • 이러한 시도는 부자관계의 질을 높이고 청소년 자녀의 적응을 돕기 위한 지도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실증적 연구가 부족했던 부자간 친밀감을 예측하는 선행변인들에 초점을 두었으며,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를 주된 예측 변인으로 선정하고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그리고 양육 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아버지의 원 가족 분위기가 아버지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양육행동 및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어떠한가? 이며, 아버지의 원 가족 분위기(지지/온정성)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 양육행동(지지적 행동 및 심리적 통제행동)을 매개로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이론적 모형을 설정하였다(<그림 1> 참조).

가설 설정

  • 반면에 부모가 자녀의 심리적 경험 및 표현을 무시하거나 조정하는 등의 행동으로 표현되는 심리적 통제는 인지, 사회, 환경적인 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는 아동후기나 청소년기의 부-자 관계에 갈등적 요인이 된다(Barber et al,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지지행동과 심리적 통제행동을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양육행동으로 가정하고, 아버지의 지지적 행동은 부-자 간 친밀감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며 심리적인 통제 행동은 부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다.
  • 즉, 아버지 의지 지적이고 애정적인 원가족 분위기는 아버지의 현재 결혼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아버지의 지지적인 양육행동으로 이어져 부자간 친밀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원 가족 분위기는 같은 경로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심리적 통제행동은 부자간 친밀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외에도 원가족 분위기는 양육 행동을 매개로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결혼 만족도나 삶의 만족도는 직접적으로도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 또한 아버지의 원 가족 분위기는 같은 경로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심리적 통제행동은 부자간 친밀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외에도 원가족 분위기는 양육 행동을 매개로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결혼 만족도나 삶의 만족도는 직접적으로도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론적 경로모형의 검증을 위해서는 AMOS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강완숙(2000). 지각된 부와 모의 가치, 부/모 자녀간 정서적 친밀도 및 부모의 과잉통제와 대학생 소외감 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성애(199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문제 행동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 국길숙 이미숙(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 통과 청소년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생활과학 연구논집, 23(1), 89-107 

  4. 김수진(200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비행에 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순기(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영희(1999). 결혼생활의 질과 안정성: 이론적 모델의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37(6), 1-19 

  7. 김영희 신희정 채영문(2007).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 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 의 양육참 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2), 67-87 

  8. 김영희 최명선(2001). 의미 분석법에 의한 아동 및 청소년의 부모이미지 연구. 한국놀이치료연구, 4(2), 3-14 

  9. 김태희(1996).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관계 만족도: 청소년 발달, 중년의 변화, 대학입시와 관련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희주(1996). 아버지 자녀양육 참여도 및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남순현 한성열(2003). 가족분화수준, 가족관계의 질 및 친밀 감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8(2), 33-49 

  12. 남정홍(2001).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 자아존 중감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문화일보(2008). '가족끼리도 이웃끼리도', 2008. 6. 11. http://www.munhwa.com/news/view 

  14. 박서영(2007). 어머니의 삶의 만족감 및 양육행동과 남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5. 박성연(2002).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남아의 공격성간의 관계 및 세대간 전이. 아동학회지, 23(5), 35-50 

  16. 박성연 전춘애(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 가정학회지, 32(4), 117-123 

  17. 박성연 전현진(1999).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 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153-169 

  18. 박영신 김의철(2004).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1), 81-114 

  19. 박옥임(1997). 청소년기 자녀와 부모와의 갈등에 관한 연구. 순천대과학과교육, 5(12), 101-113 

  20. 변명숙(2005). 부모의 성역할 유형과 양육방식이 아동의 성역할 특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송신영(2007).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및 양육행동, 아동의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양진선(2004). 부부친밀감과 자아존중감 및 원가족 건강성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오미경(1997). 감각추구성향과 사회화 요인이 남녀 청소년의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4. 유은희 박성연(1991). 기혼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발달유형과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29(1), 139-158 

  25. 이사라 박성연(2001). 부모의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적 연구. 아동 학회지, 22(4), 17-32 

  26. 이영숙 김정옥(2002).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 가족관계학회지, 7(2), 133-159 

  27. 이학식 임지훈(2008).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서울: 법문사 

  28. 임점숙 (2000). 아버지와 자녀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자녀의 우울 성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9. 조미숙 오선주(1999).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관계 변인 과 청소년의 가족가치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67-89 

  30. 지지영(2001). 초등학생의 부모-자녀간 정서적 친밀도와 소외 감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1. 지효숙(2007).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와의 친밀도 관계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20(1), 153-170 

  32. 최규련 (1998). 가족체계유형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복지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 학회지, 3(1), 120-142 

  33. 최진숙(2006). 부부갈등과 원가족과의 상관관계 연구. 상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현미(1997). 원가족 척도 연구: 결혼 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Abidin, R.(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3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423 

  37. Barber, B. K., & Stolz H. E., & Olsen, J. A.(2005).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Assessing relevance across time, culture, and method. Child Development. 70(4), 1-137 

  38. Barnes, H., & Olson, D.(1982). Adolescent-parent communication scale. In D. Olson et al.,(Eds.). Family inventories: Inventories used in a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cross the family life cycle(pp.38-48), St. Pau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39.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40. Belsky, J. & Isabella, R. A.(1985).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family of origin and marital change following the birth of a baby: A Retrospective AnalysisChild Development, 56(2), 342-349 

  41. Belsky, J. Jaffe, S. Hsieh, K, & Silva, P.(2001). Child-rearing antecedents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in young adulthood: A prospective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37, 6, 801-813 

  42. Belsky, J., & Pensky, E.(1990). Developmental history, personality, and family relationships: Toward an emergent family system. In Hinde R. A. & Steven-Hinde, J.(Ed.). Relationships within families(pp.193-217). Oxford, England: Clarendon Press 

  43. Bornstein, M. H.(2002). Parenting infants.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2nd ed., Vol. 1, pp.3-44). Mahwah, NJ: Erlbaum 

  44. Bowlby, J.(1973). Attachment and loss, vol. 2,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N.Y.: Basic Books 

  45. Brody, G. H., Pellegrini, A. D., & Sigel, I. E. (1986). Marital quality and mother-child and father-child interactions with school-aged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2, 291-296 

  46. Cabrera, N. J., Tamis-Lemonda, S., Bradley, R. H., Hofferth, S., & Lamb, M.(2000). Fatherhood in the twenty-first century. Child Development, 71, 127-136 

  47. Canfield, B. S.(1983).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and selected demographic factors predicator of current family functi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ast Texas State University 

  48. Collins, W., Maccoby, E., Steinberg, L., Hetherington, E., & Bornstein, M.(2000). Contemporary research on parenting. American Psychologist, 55, 2, 218-232 

  49. Couillard, M.(1990). Differences in marital adjustment among couples with similar and dissimilar levels of emotional health in their family of origi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rovo, Utah: Brigham Young University 

  50. Glenn, N., & Kramer, K.(1987). The marriages and divorces of the children of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 811-825 

  51. Hovestadt, A. J., Anderson, W. T., Piercy, F. A., Cochran, S. W., & Fine, M.(1985). A family-of-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1(3), 287-297 

  52. Lewis, R. A., & Spanier, G. B.(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Burr, W., Hill. R., Nye, L., & Reiss, I. (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l 1, N.Y.: Free Press 

  53. Little, T. D., & Cunningham, W. A., & Shahar, G.,& Widaman, K. F(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54. McHale, J. P.(1997). Overt and covert coparenting processes in the family. Family Process, 36, 183-201 

  55. Parke, R. D.(1996). Fatherhoo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6. Parke, R. D.(2002). Fathers and families. In M.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2nd ed., Vol. 3, pp 27-73). Mahwah, NJ: Erlbaum 

  57. Pavot, R., & Dinner, E.(1993). A Review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5, 164-172 

  58. Roach, A. J., Frazier, L. P., & Bowden, S. R.(1980).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 537-546 

  59. Shaw, B. A., Krause, N., & Chatters, L. M.(2004). Emotional support from parents early in life, aging, and health. Psychology and Aging, 19(1), 4-12 

  60. Sroufe, L. A., Jacobvitz, D., Mangelsdorf, S., DeAngelo, E., & Ward, M. J.(1985). Generational boundary dissolu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A relationship systems approach. Child Development, 56, 316-325 

  61. Walker, A. J. & Thompson, L.(1983). Intimacy and intergenerational aid and contact among mothers and daughte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83(45), 841-9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