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 3기 포항분지의 학전층과 두호층에서 산출된 거미불가사리 화석
Cenozoic Brittle Stars (Ophiuroidea) from the Hagjeon Formation and th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2 no.4, 2009년, pp.367 - 376  

성미나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공달용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봉진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이성주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생대 제3기 포항분지의 두호층과 학전층으로부터 총 40점의 거미불가사리 화석을 채집하였다. 학전층에서 총 32개체, 두호층 8개체로 학전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보존 상태는 오히려 두호층에서 더 완전한 보존 상태를 보이며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불량하여 종 수준까지의 감정은 불가능하다. 즉, 대부분의 표본들은 분절된 형태로 발견되었고, 분류학상으로 중요한 중심판(disk)과 판(plate)등의 세부적인 구조는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발견된 거미불가사리 화석은 중심판과 팔의 형태나 완절의 구조 등에 따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그룹 1은 학전층에서 산출된 거미불가사리 화석들로 대부분 분절된 팔만이 보존되어 있고, 완판은 팔로부터 분리되어 완절이 드러나 있으며, 완극은 길고 곧게 뻗어 있으며, 촉수공(tentacle pores)이 보존된 특징을 갖는다. 그룹 2는 두 호층에서 산출된 표본들로(4 개체) 짧고 원뿔 형태의 완극을 가지며 완판이 잘 보존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 화석들은 측완판(lateral arm plates)이 복완판(ventral arm plates)이나 배완판(dorsal arm plates)에 비해 크기가 작다. 그룹 3은 외형은 희미하나 원형의 중심판이 뚜렷하게 보존되어 있는 것들로 두호층에서만 4개체가 발견되었다. 포항분지에서 발견된 거미불가사리 화석의 보존 특징과 각 지층의 이미 알려진 퇴적학적 조건 및 암상관계를 비교 검토해 본 결과 이들이 상호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학전층에서 발견된 거미불가사리 화석들(그룹 1)은 상대적으로 보존상태가 불량한데, 이는 사암 또는 사질 이암이 우세한 역질 사암이 퇴적되었던 상대적으로 좀 더 고 에너지의 퇴적환경의 영향 때문으로 해석된다. 반면 두호층의 표본(그룹 2, 3)들은 개체 수는 적지만 상대적으로 완전한 보존 상태를 보이는데, 이는 세립질의 이암이 퇴적되는 상대적으로 저에너지 환경에서 재퇴적 및 이동 없이 퇴적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학전층에서 거미불가사리 화석의 산출량이 더 높은 이유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에 많이 모여 살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ty specimens of fossil ophiuroids were collected from two formations of the Cenozoic marine deposits, Duho Formation and Hagjeon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A few specimens were three-dimensionally preserved: most of them were remained flattened and articulated. Although a gross morphology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분지의 두 지층(두호층, 학전층)에서 발견된 40여 점의 거미불가사리 화석을 최초로 보고한다. 대부분의 거미불가사리 화석들의 팔들은 중심판과 떨어지고 팔에 붙어있던 가시(arm spine)들은 팔과 분리되어 산출되며, 완판이 뜯겨져 나가 완절의 형태가 드러난 표본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en, Z.Q. and McNamara, K.J. (2006) End-Permian extinction and subsequent recovery of the Ophiuroidea (Echinodermata). Palaeogeography, palaeclimatology, Palaeecology, p. 321-344 

  2. Chun, H.Y. (1982) Plant fossils from the Tertiary Pohang sedimentary basin, Korea. KIGAM Report on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v. 14, p. 7-24 

  3. Chung, C.H. and Choi, D.K. (1993) Paleoclimatic implication of palynoflora from the Yeonil Group (Miocene), Pohang Area,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 9, p. 143-154 

  4. Chung, C.H. and Koh, Y.K. (2005) Palynostratigraphic and palaeoclimatic investigations on the Miocene deposits in Pohang area, South Korea.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v. 135, p. 1-11 

  5. Cisternas, P., Selvakumaraswamy, P. and Byrne, M. (2004) Evolution of development and the Ophiuroidea-revisited. Heinzeller T. and Nebelsick, J.H. editors. Taylor and Francis Group, London, UK, p. 521-526 

  6. Huzioka, K. (1972) The Tertiary floras of Korea. Journal of the Mining College, Akita University, Series A, v. 3, p. 1-105 

  7. Kim, B.K. (1965) The stratigraphic and paleontologic studies on the Tertiary (Miocene) of the Pohang area, Korea. Seoul University Journal Science and Technology Series, v. 15, p. 32-121 

  8. Kim, B.K., Cheong, C.H., Koh, I.S., Paik, K.H. and Koh, Y.K. (1982) Micropaleont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studies of the Neogene Tertiary i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18, p. 19-36 

  9. Kim, K.H., Doh, S.J., Hwang, C.S. and Lim, D.S. (1993) Paleomagnetic study of the Yeonil Group in Pohang bas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 26, p. 507-518 

  10. Koh, Y.K. (1986) Silicoflagellates, Ebridians and Nannofossils from the Pohang (Neogene) and the Ulleung (late Quarternary) Basin, Korea.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20p 

  11. Lee, Y.G. (1986) Micropaleontological study of Neogene strata of southeastern Korea and adjacent sea floor.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 2, p. 83-113 

  12. Lee, Y.G. (1988) Neogene paleotemperature oscillations in the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 9, p. 203-216 

  13. Lee, Y.G. and Yoon. S. (2004)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special, Special Publication. No. 7, p. 217-224 

  14. Lee, Y.G. (1992) Paleontological study of the Tertiary molluscan fauna in Korea. Science Reports of Institution of Geoscience, University of Tsukuba, Section B, v. 13, p. 15-125 

  15. Linne, C. (1758)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Editio decima, reformata, 827p 

  16. Matsumoto, H. (1915) A new classification of the Ophiuroidea. With description of new genura and species.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v. 67, p.43-92 

  17. Matsumoto, H. (1915) A new classification of the Ophiuroidea. With description of new genura and species.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v. 67, p.43-92 

  18. Muller, J. and Troschel, F.H. (1840) ber die Gattungen der Ophiuren. Archiv f $\ddot{u}$ r Naturgeschichte, v. 6, p. 326-330 

  19. Shin, H.C. (1989) Distribution of Ophiurids on the Continental Shelf and Slope of the East Sea, Kore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59p 

  20. Shin, S. and No, B.J. (199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ura of Korea, v. 36, Echinodermata. Ministry of Education, 780p 

  21. Smith, A.B., paterson, G.L.J. and Lafay, B. (1995) Ophiuroid phylogeny and higher taxonomy - morphological, molecular and paleontological perspectives. Zoological Jaurnal of the Linnean Society, v. 114, p. 213-243 

  22. Spencer, W.K. and Wright, C. W. (1956) Asterozoans, Treatise on Invertebrate Paleontology: Part U Echinodermata 3, 695p 

  23. Tateiwa, I. (1924) Geological atlas of Chosen no. 2. Ennichi, Kyuryuho and Choyo sheets. Geological Survey of Government, General of Chosen, 6p 

  24. Twitchett, R.J., Feinberg, J.M., O'Connor, D.D., Alvarez, W. and McCollum, L. (2005) Early Triassic ophiuroids: their paleoecology, taphonomy and distribution. Palaios, v. 20, p. 213-223 

  25. Um, S. H., Lee, D. W., and Bak, B. S. (1964)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Pohang sheet (scale. 1:50000): Seoul, South Korea, Geological Survey of. Korea, 38p 

  26. Yoon, S. (1975)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1. Geology.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11, p. 187-214 

  27. Yun, H.S. (1986) Emended stratigraphy of the Miocene formations in the Pohang Basin, part I.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 2, p. 54-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