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성율 개념에 기초한 화재모델의 신뢰성에 대한 연구
On the Reliability of the Computational Fire Model Based on the Yield Rate Concept of Combustion Gase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3 no.4, 2009년, pp.130 - 136  

김성찬 (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고권현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  이성혁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성율 개념에 기초하여 화재유동장의 연소가스를 해석하는 필드모델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환기조건에 따른 화재실 내부의 일산화탄소와 연기밀도를 해석하기 위하여 총괄당량비(GER)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FDS 모델에 의해 예측된 일산화탄소와 연기밀도는 ISO-9705 표준화재실의 축소실험결과와 직접 비교하였다. 환기부족화재에 대해 수치해석결과는 일산화탄소와 연기밀도를 하향 예측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괄당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수치해석결과와 실험결과의 오차는 증가하였다. 생성율 모델을 이용하여 화재발생으로 인한 연소생성물의 농도장을 해석하고자 하는 경우 공간내부의 환기 조건에 따라 해석결과의 신뢰성 검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타당한 물리적 모델개발과 함께 다양한 화재조건에 대한 모델의 검증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fire field model (FDS version 5.2) with yield rate concept of combustion products. The CO and smoke density predicted by FDS model was directly compared with measurement in a reduced scale ISO-9705 room. The GER (global equiv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FDS 모델에 적용된 생성율 개념에 기초한 연소해석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위하여 표준화재실의 축소모형 공간에서 환기조건에 따른 일산화탄소와 연기밀도를 비교분석하여 FDS 모델의 적용 범위와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성능평가를 위해 필요한 물리적 모델과 모델의 검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화재해석에 대한 신뢰성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FDS 모델에 적용된 생성율에 기초한 연소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총괄당량비에 따른 일산화탄소농도와 연기밀도를 비교분석하여 FDS 모델의 적용범위와 한계에 고찰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본 연구에서는 FDS 모델에 적용된 생성율 개념에 기초한 연소해석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위하여 표준화재실의 축소모형 공간에서 환기조건에 따른 일산화탄소와 연기밀도를 비교분석하여 FDS 모델의 적용 범위와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성능평가를 위해 필요한 물리적 모델과 모델의 검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화재해석에 대한 신뢰성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0001 정도의 soot 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버너는 화원의 크기가 크고 공기공급이제한적이기 때문에 이 값보다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natural gas의 경우 SFPE handbook에서 제공하는 soot 생성율 자료중의 최소값인 0.
  • 12)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버너는 화원의 크기가 크고 공기공급이제한적이기 때문에 이 값보다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natural gas의 경우 SFPE handbook에서 제공하는 soot 생성율 자료중의 최소값인 0.001 정도를 가정하여 수치계산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ield model에 기초한 화재해석 모델은 무엇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가? 화재현상을 수치적으로 모사하기 위한 전산화재해석 기법은 1990년대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초기단계의 화재 발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에서부터 건축물의 방화설계 및 화재안전성 평가와 같은 실제 응용분야로의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 field model에 기초한 화재해석 모델은 전산유체역학적(CFD) 해석 기법 및 물리적 해석 모델의 발전과 함께 컴퓨터 성능의 급속한 발달에 힘입어 화재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1,2)
화재해석을 통한 성능평가에 적용되는 인명안전기준은 무엇에 의해 평가되는가? 화재해석을 통한 성능평가에 적용되는 인명안전기준은 크게 열에 의한 기준, 연기밀도에 기초한 가시거리 기준, 그리고 연소생성물의 독성기준등에 의해 평가된다.8) 성능평가가 신뢰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화재모델에 의해 예측된 열, 연기밀도, 그리고 독성가스 농도등의 결과에 대한 검증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화재 해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물리적 모델 개발을 위한 노력과 함께 다양한 실험결과와의 상호 비교분석을 통하여 적용된 해석모델과 조건 및 화재 물성 등의 타당성을 검증해 나가는 것이 필수적인 이유는? 화재해석 모델이 실제 응용분야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물리적 모델과 화재 물성 그리고 결과의 독립성을 가지는 해석 조건등 다양한 해석 요소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며 이러한 검증과정을 통하여 화재해석모델의 신뢰성과 한계를 파악한 이후에 실제 응용분야에 적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많은 화재시뮬레이션의 경우, 제한적으로 검증된 물리적 모델과 화재 물성을 물리적으로 복잡한 화재현상에 보편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많은 오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해석결과의 치밀한 검증 및 고찰이 없는 무조건적인 신뢰로 인해 화재해석 모델이 오히려 잘못된 방화설계를 이끌 수 있는 위험요소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화재 해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물리적 모델 개발을 위한 노력과 함께 다양한 실험결과와의 상호 비교분석을 통하여 적용된 해석모델과 조건 및 화재 물성 등의 타당성을 검증해 나가는 것이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Ewer, E.R. Galea, M.K. Patel, S. Talyer, B. Knight and M. Petridis, 'SMARTFIRE: An Intelligent CFD Based Fire Model', J.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Vol.10, No.1, pp.13-27(1999) 

  2. S.C. Kim and S.H. Lee, 'Numerical Prediction of Smoke Concentration in a Compartment Fire by using the Modified Volumetric Heat Source Model',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Vol.18, No.4, pp.344-350(2006) 

  3. K.B. Mcgrattan, K. Bryan, S. Hostikka and J. Floyd, '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5) User’s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019-5, NIST, Gaithersburg, MD(2008) 

  4. R.G. Gann, A. Hamins, K.B. McGrattan, G.W. Mulholland, H.E. Nelson, T.J. Ohlemiller, W.M. Pitts and K.R. Prasad, 'Reconstruction of the Fires in the World Trade Center Towers. Federal Building and Fire Safety Investigation of the World Trade Center Disaster,' NIST NCSTAR 1-5(2005) 

  5. K.B. McGrattan and A. Hamins, 'Numerical Simulation of the Howard Street Tunnel Fire', Fire Technology, Vol.42, No.4, pp.273-281(2006) 

  6. M.H. Salley, J. Dreisbach, K. Hill, R. Kassawara, B. Najafi, F. Joglar, A. Hamins, K.B. McGrattan, R.D. Peacock and B. Gautier, 'Verification and Validation:How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Fire Models', Fire Protection Engineering, No.34, pp.34-44(2007) 

  7. N.P. Bryner, D. Madrzykowski and W.L. Grosshandler, 'Reconstructing the Station Nightclub Fire: Computer Modeling of the Fire Growth and Spread', 11th Proceeding of Interflame 2007, Vol.2, pp.1191-1192(2007) 

  8. NFPA 101: LIFE SAFETY CODE, 2003 ed 

  9. ASTM E2058, Standard Methods of Test for Measurement of Synthetic Polymer Material Flammaility Using a Fire Propagation Apparatus, ASTM, Philadelphia 

  10. M. Bundy, A. Hamins, E.L. Johnsson, S.C. Kim, G.H. Ko and D.B. Lenhert, 'Measurements of Heat and Combustion Products in Reduced-Scale Ventilation-Limited Compartment Fires', NIST Technical Note 1483(2007) 

  11. 김성찬, Anthony Hamins, '환기조건에 따른 화재거동 연구',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B권, 제32권, 5호, pp.367-373(2008) 

  12. A. Tewarson, 'Generation Heat and Chemical Compounds in Fires', Section 3,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2002) 

  13. G. Cox, 'Combustion Fundamentals of Fire', Academic Press, New York(1995) 

  14. W.M. Pitts, 'The Global Equivalence Ratio Concept and the Formation Mechanism of Carbon-Monoxide in Enclosure Fire',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Vol.21, No.3, pp.197-237(1995) 

  15. D. Drysdale, 'An Introduction to Fire Dynamics', 2nd Edition, Willey, UK(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