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소 테잎 적용 후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 내 불소농도
A CHANGE OF THE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AFTER FLUORIDE-CONTAINING TAPE APPLICATION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36 no.3, 2009년, pp.377 - 384  

박승효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기저재에 불소를 분사하여 제작한 불소 테잎을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APF gel(60seconds $taste^{(R)}$, 1.23% APF gel, Group I), Fluoride varnish($CavityShield^{TM}$, 5% NaF, Group II), Fluoride tape(SCMC-T-5, 5% NaF, Trial product, Group III)을 군별로 9명씩 건강한 20대 남녀성인의 구강에 도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7시간, 1일, 2일, 3일 후 비자극성 전타액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 2, 3일 후와 비교하여 모든 그룹에서 7시간 까지 초기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다. 도포 후 1, 2, 3일에는 초기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도포 후 1, 3, 5, 7시간에 타액 내 불소농도는 모든 시간에서 2군, 3군, 1군 순으로 높았다. 3. 도포 후 1시간과 3시간 후에 2군의 불소농도는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1군과 3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idual fluoride concentration of fluoride tape in oral cavity which made by spraying NaF on carboxymethylcellulose base. After 1, 3, 5, 7 hours and 1, 2, 3 days of applicating APF gel(60seconds $taste^{(R)}$, 1.23% APF gel, Group I), Flu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불소테잎 부착 후 비자극성 전 타액 내 불소농도를 측정하고자 시행하였으며 타액의 원심분리 후, 불소이온전극(Istek, Korea)을 이용하여 불소농도를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 연구는 methylcellulose 기저재에 NaF를 분사하여 제작한 불소테잎(SCMC-T-5, Trial product, Korea)의 불소 유리 능력을 간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피실험자의 구강에 APF gel(1군), 불소바니쉬(2군), 불소테잎(3군)을 도포하여 1시간, 3시간, 5시간, 7시간, 1일, 2일, 3일 후 타액 내 불소농도를 원심분리 방법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저자는 새로운 불소 전달계의 일환으로 인체 안정성이 입증된 고분자 제제인 carboxymethyl cellulose를 이용하여 얇은 박막을 제조하고 5% NaF 불소제제를 전기방사하여 치아접 착용 불소테잎인 SCMC-T-5(Trial product, Korea)를 개발, 제조하여 이의 불소유리 능력을 시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실험에서는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불소테잎 부착 후 시간 변화에 따른 비자극성 전 타액 내 불소농도를 측정하고, 현재 전문가 불소도포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국소불소제제인 불소젤과 불소바니쉬의 적용 후 비자극성 전 타액 내 불소농도와 비교, 평가하여 이의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를 간접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는 새로운 불소 전달계의 일환으로 인체 안정성이 입증된 고분자 제제인 carboxymethyl cellulose를 이용하여 얇은 박막을 제조하고 5% NaF 불소제제를 전기방사하여 치아접 착용 불소테잎인 SCMC-T-5(Trial product, Korea)를 개발, 제조하여 이의 불소유리 능력을 시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실험에서는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불소테잎 부착 후 시간 변화에 따른 비자극성 전 타액 내 불소농도를 측정하고, 현재 전문가 불소도포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국소불소제제인 불소젤과 불소바니쉬의 적용 후 비자극성 전 타액 내 불소농도와 비교, 평가하여 이의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를 간접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소의 우식예방기전은 어떠한가? 최근 몇 십년간 치아우식이 감소한 이유 중 하나는 불소의 사용이다1). 불소의 우식예방기전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치아표면에 침착된 불소가 법랑질의 산에 대한 용해도를 낮추어 치면세균막에서 형성된 산에 의한 탈회를 억제하고, 법랑질 초기 우식병소의 재광화를 촉진시키며,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2). 또한 여러 in vitro 연구들에서, 불소의 항우식효과는 구강환경에서 낮은 농도의 불소가 지속적으로 존재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3-5).
전문가 불소도포용 APF gel의 사용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APF gel은 NaF용액을인산으로 산성화한 제제로 중성 NaF 보다 높은 법랑질 내 불소 흡수효과와 임상적인 우식억제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9,10). 하지만 APF gel은 상대적으로 긴 도포시간이 필요하며 도포과정 동안 과도하게 삼킬 우려가 있고 수용성으로 치아접촉시간이 짧다. 또한 산성으로 인해 심미수복재의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킨다는 보고들이 있어 점차 그 사용이 감소되고 있다11,12).
불소의 국소적 공급방법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불소의 국소적 공급방법은 자가 불소도포법과 전문가 불소도포법으로 나뉜다. 자가 도포법은 환자 스스로 가정에서 불소를 치아에 도포하는 방법이며 불소치약사용과 불소용액양치법이 있다. 전문가 불소도포는 치과진료실에서 비교적 고농도의 불소제제를 치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제제로는 불소젤, 불소폼, 불소바니쉬를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ameron AC, Widmer RP : Handbook of Pediatric 

  2. Pinkham JR, Casamassimo PS, Fields HW : Pediatric dentistry Infancy through adolescence(4th ed). Elsevier Saunders, St. Louis, 220-233, 2005. 

  3. Fejerskov O, Thylstrup A, Larsen MJ : Rational use 

  4. Ten Cate JM, Duijsters PP : Influence of fluoride in 

  5. Ten Cate JM, Duijsters PP : Influence of fluoride in 

  6. Mellberg JR : Evaluation of topical fluoride preparations. 

  7. Zero DT, Raubertas RF, Fu J, et al. : Fluoride concentrations 

  8. Oliveby A, Ekstrand J, Lagerl¨of F : Effect of salivary 

  9. Joyston-Bechal S, Duckworth R, Braden M : The 

  10. Cobb HB, Rozier RG, Bawden JW : A clinical study 

  11. Yaffe, Zalkind M : The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of 

  12. 최원혁, 김은정, 김현정 등 : APF gel이 심미수복재료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3:281-289, 2006. 

  13. Beltran-Aguilar ED, Goldstein JW, Lockwood SA : 

  14. Saravana KR, Vijayalakshmi R : Nanotechnology in 

  15. Sun L, Chow LC :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16. Dawes C, Weatherell JA : Kinetics of fluoride in the oral fluids. J Dent Res, 69:638-644, 1990. 

  17. Page DJ : A study of effect of fluoride delivered from 

  18. Gibbs CD, Atherton SE, Huntington E, et al. : 

  19. Leverett DH, Proskin HM, Featherstone JD, et al. : 

  20. Leverett DH, Featherstone JD, Proskin HM, et al. : 

  21. Jenkins GN, Edgar WM : Distribution and forms of 

  22. Yao K, Gron P : Fluoride concentration in duct saliva 

  23. Duckworth RM, Morgan SN, Murray AM : Fluoride 

  24. Ten Bosch JJ, Booij M : A quantitive comparison of 

  25. 권호근, 김백일, 이영희 등 : 불소치약 사용 후 시간변화에 따른 구강 내 타액의 불소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555-567, 1996. 

  26. Aasenden R, Brudevold F, Richardson B : Clearance 

  27. Brunn C, Lambrou D, Larsen MJ, et al. : Fluoride 

  28. Eakle WS, Featherstone JD, Weintraub JA, et al. : 

  29. Twetman S, Skold-Larsson K, Modeer T : Fluoride 

  30. Zhang XF, Chen X, Pan L : Fluoride concentration 

  31. 박수진, 김형두, 김종철 : 각종 불소처치 이후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 내 불소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6:262-274, 1999. 

  32. Toumba KJ, Curzon ME : A clinical trial of a slowreleasing 

  33. Bottenberg P, Cleymaet R, de Muynck C, et al. : 

  34. Stenberg D, Friedman M : Development of sustained-release devices for modulation of dental 

  35. Zero DT, Raubertas RF, Pedersen AM, et al. :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