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주관식 문제 자동 채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Marking System for a Subjectivity Problem of the Program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2 no.5, 2009년, pp.767 - 776  

정은미 (안동대학교 컴퓨터공학전공) ,  최미순 (안동대학교 컴퓨터공학전공) ,  심재창 (안동대학교 컴퓨터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 처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키워드와 불리언 연산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자동 채점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실험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정확한 문법 체제와 키워드가 존재한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본 논문은 키워드와 불리언 연산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자동 채점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실험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정답 유형별로 7가지로 나누고 키워드 입력 시 접속사를 특수문자를 이용해 입력하게 하여 논리식을 바로 만들어 내어 쉽게 연산이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자동 채점시스템의 주관식 채점이 객관적으로 잘 처리됨을 보이기 위해 컴퓨터공학 전공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같은 시험을 시험지와 웹에 동일하게 응시하게 한 후, 3명의 담당 교수에게 채점을 의뢰하고 개발한 시스템으로 채점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주관식 채점에서 활용되는 방대한 자연어 처리를 배제할 수 있도록 키워드와 불리언 연산을 이용한 방식을 제안하므로 구현의 효율성을 높이고 채점을 웹으로 이관함으로써 채점자의 주관적 개입을 배제하고 결과를 빠르게 피드백 해주어 객관성과 신속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implement and test the automatic marking system for programming languages using key-words and boolean operations to solve the processing problems of natural languages. There are accurate grammar systems and key-words in programming languages. Using these ch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 처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키워드와 불리언 연산을 이용하여 객관식은 물론 주관식 문제의 자동 채점이 가능하도록 하여 채점 결과를 빠르게 피드백해 주고 출제자의 채점 노고를 줄이고 객관성과 신속성을 높인다.
  •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 처리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 언어 교과목을 정답 유형별로 분류하고 키워드와 불리언 연산을 이용해 자동 채점을 하여 출제자의 주관적 개입을 배제하고 학생들에게 빠르게 채점 결과를 피드백하여 객관성과 신속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 많은 채점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교과목의 시험유형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자동 채점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동 채점에 대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거나 논문으로 발표된 시스템을 분석하고 대학 시험에 바로 적용되었을 때의 문제점과 개선해야 될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언어의 시험유형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프로그래밍언어 평가에 적합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실험하였다.
  •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시험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프로그래밍 언어에 적합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어문학의 경우 자연어 문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자연어 처리를 배제할 수 없다.
  • 제안된 자동 채점시스템의 주관식 채점이 객관적으로 잘 처리됨을 보이기 위해서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컴퓨터공학전공 2, 3학년생 10명을 대상으로 24 문항의 동일한 시험을 웹과 시험지에 똑같이 답을 입력하고 3명의 강의 담당 교수가 채점한 결과와 제안된 자동 시스템 채점 결과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장정일, “스마트 클라이언트를 적용한 프로그래밍 과제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처리학회, 제14권, 제1호, PP. 1380-1382, 2007. 

  2. 박희정, “주관식출제.채점모델 설계 및 구현,” 안동대학교 컴퓨터교육학 석사논문, 2003. 

  3. 권오영, “웹 기반 주관식 평가문항 채점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한서대학교 교육학과 전자계산교육전공 석사논문, 2004. 

  4. 정현우, “경시대회 참가 규칙 및 진행방식,” 한국정보과학회지, 제25권, 제7호, PP.71-74, 2007 

  5. 김재훈, 조신행, “세계대회를 향한 첫 걸음: ACM-ICPC 서울 지역대회 인터넷 예선,” 한국정보과학회지, 제25권, 제7호, PP. 67-70, 2007. 

  6. 임형석, “ACM-ICPC 문제의 출제 및 채점 과정,” 한국정보과학회지, 제25권, 제7호, PP.52-55, 2007. 

  7. ACM-ICPC, http://acm.kaist.ac.kr/ 

  8. NeoTest, http://neotest.com/ 

  9. 오정석 외 3인, “자동화된 프로그래밍 주관식 문제 채점 보조 시스템,”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0권, 제2호, PP. 253-256, 2003. 

  10. 방훈 외 4명, “웹 기반 주관식 답분류 채점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 28, No. 2, PP. 589-591, 2001. 

  11. 방훈 외 4명, "WAF 환경에서의 주관식 채점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 29, No. 1, PP. 712-714, 2002. 

  12. 방훈 외 4명, “WAF 환경에서의 주관식 채점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 29, No. 1, PP. 712-714, 2002. 

  13. 오정석 외 3명, “일반화된 벡터 공간 모델을 적용한 주관식 문제 채점 보조 시스템,” 한국정보처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1권, 제1호,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