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사체학의 연구 동향, 응용 및 국내 연구 활성화 방안
Research trends, applications, and domestic research promotion stratigies of metabolomic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4 no.2, 2009년, pp.113 - 121  

김소현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양승옥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김경헌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석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광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윤영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의학교실) ,  이동호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이충환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  황금숙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정면우 (국립독성과학원 대사약리팀) ,  최기환 (국립독성과학원 대사약리팀) ,  최형균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사체학은 동 식물, 미생물뿐만 아니라 식품, 농업,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최근 미래를 선도할 학문으로서 주목 받고 있는 분야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사체학 연구는 아직 기초적 단계이며, 대사체학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사체 연구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였고, 국내 외 대사체학 연구현황, 대사체 연구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대사체 연구 수행 활성화를 위한 전략들을 소개하였다. 대사체학은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은 것이 특징인데, 예를 들어 functional genomics, 생물의 계통 분류, 생물의 대사경로 규명, 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 신약 및 신소재 개발, biomarker의 개발, 식품 및 천연물 제제의 품질관리, 그리고 환경 및 독성 모니터링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대사체학 연구는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므로 국내 대사체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 주체간의 협력, 해외 선진 기술 습득, 연구 개발 투자, 대사체 분석 전문가 육성, metabolome database 구축 등이 필요하다. 대사체학 연구에 대한 이러한 지원이 이뤄진다면, 대사체학 분야에 있어서 국내수준과 세계수준의 격차는 줄어들 것이다. 또한 결과적으로 대사체학 연구의 발전은 한국 생명공학 분야 (BT)의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ne of the new areas of 'omics' technolog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metabolomics, which involves the analysis of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in cells, tissues, and biofluids, and considers interactions within various organisms and reactions of external chemicals with those organisms.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사체학 연구는 아직 기초적 단계이며, 대사체학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사체 연구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였고, 국내·외 대사체학 연구현황, 대사체 연구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대사체 연구 수행 활성화를 위한 전략들을 소개하였다. 대사체학은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은 것이 특징인데, 예를 들어 functional genomics, 생물의 계통분류, 생물의 대사경로 규명, 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 신약 및 신소재 개발, biomarker의 개발, 식품 및 천연물 제제의 품질관리, 그리고 환경 및 독성 모니터링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사체학 연구는 아직 기초적 단계이며, 대사체학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사체학 연구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고, 국내, 외 대사체학 연구현황, 대사체 연구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대사체 연구 수행 활성화를 위한 전략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소는 metabolic engineering 측면에서 대사 경로조절에 의한 유전자, 단백질 발현으로부터 얻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연구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NMR, GC-MS 등을 이용해서, 13C 표지 실험을 통한 metabolic flux 분석에 관한 연구와 isotope가 세포 내로 유입되는 것을 측정하는 실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소에서는 1) 고효율의 화학분석법 개발, 2) 대사과정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생물정보학, 3) 의약 산업 및 농업을 위한 대사체 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45).
  • 본 연구소에서는 식물체 내의 핵, 색소체,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자의 구조, 기능, 조절과 전사체, 단백질, 대사체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 연구를 통하여, 식물체 내의 유전체, 전사체 및 단백체 및 대사체들이 서로 다른 환경 조건에서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38).
  • 본 연구팀에서 중점을 두는 연구 주제는 생물 시스템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규명을 위한 대사체학 및 단백질 학적기술들의 개발로써, 미생물, 곰팡이, 인체와 동물의 체액들, 식물유래 물질들의 총체적인 fingerprinting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미생물의 계통발생하적분석을 위한 분자 수준에서의 연구 방법들도 개발하고 있다(4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hung, B. C. (2006), Metabolomics technologies for the study of disease.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 18, 17-27 

  2. Ba1es, J. R., D. P. Higham, I. Howe, J. K. Nicho1son, and P. J. Sadler (1984), Use of high resoution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for rapid multicomponent analysis of urine. Clin. Chem. 30, 426-432 

  3. Beckonert, 0., H. C. Keun, T. M D. Ebbels, J. Bundy, E. Holmes, J. C. Lindon, and J. K. Nicholson (2007), Metabolic profiling, metabo;omic and metabonomic 

  4. Bundy, J. G., D. J. Spurgeon, C‘ Svendsen, P. K. Hankard, J. M. Weeks, D. Osborn, J. C. Lindon, and J. K. Nicholson (2004), Ecotoxicology 13, 797-806 

  5. Cheng, L. L., M. A. Burns, J. L. Taylor, W. He, E. F. Halpem, W. S. McDougal, and C. L. Wu (2005), Metabolic characterization of human prostate cancer with tissue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Cancer Res. 65, 3030-3034 

  6. Cunnick, W. R , J. B. Cromie, R Cortell, B. Wright, E. Beach, F. Seltzer, and S. Miller (1972), Value of biochemical profiling in a periodic health examination program: analysis of 1,000 cases. Bull. N Y Acad. Med. 18, 5-22 

  7. Devaux, P. G., M. G. Homing, and E. C. Homing (1971), Benyzl-oxime derivative of steroids; a new metabolic profile procedure for human urinary steroids. Anal. Lett. 4, 151 

  8. Duran, A. L., J. Yang, L. Wang, and L. W. Sumner (2003), Metabolomics spectral formatting, alignment and conversion tools (MSFACTs). Bioinformatics 19, 2283-2293 

  9. Ebbels, T. M. D., E. Holmes, J. C. Lindon, and J. K. Nicholson (2004), Evaluation of metabolic variation in normal rat strains from a statistical analysis of 'H NMR spectra of urine. J. Pharm. Biomed. Anal. 36, 823-833 

  10. Fiehn, O. (2003), Metabolic networks of Cucurbita maxima phloem. Phytochemistry 62, 875-886 

  11. Fiehn, O., J. Kopka, P. Dormann, T. Altmann, R. N. Trethewey, and L. Willmitzer (2000), Metabolite profiling for plant functional genomics. Nat. Biotechnol. 18, 1157-1161 

  12. Griffin, J. L. and R. A. Kauppinen (2007), Tumour metabolomics in animal models of human cancer. J. Proteome Res. 6, 498-505 

  13. Homing, E. C. and M. G. Horning (1971a), Human metabolic profiles obtained by GC and GC/MS. J. Chromatogr. Sci. 9, 129-140 

  14. Homing, E. C. and M. G. Homing (1971b), Metabolic profiles: gas-phase methods for analysis of metabolites. Clin. Chem. 17, 802-809 

  15. Huhman D. V. and L. W. Sumner (2002), Metabolic profiling of saponins in Medicago sativa and Medicago truncatula using HPLC coupled to an electrospray ion-trap mass spectrometer. Phytochemistry 59, 347-360 

  16. Jason, P. et al. 2007. 10. Emerging technologies 2007. Technology review. March/April, http://www.technologyreview.com/Infotech/l8333/ 

  17. Johansen H. N., V. Glitso, and K. E. B. Knudsen (1996), Influence of extraction solvent and temperature on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oligosaccharides 

  18. Jordan K. W. and L. L. Cheng (2007), NMR-based metabolomics approach to ta rget biomarkers for human prostate cancer. Expert Rev. Proteomics 4, 389-400 

  19. Lange B. M., R E. B. Ketchum, and R B. Croteau (2001), Isoprenoid biosynthesis. Metabolite profiling of peppermint oil gland secretory cells and application to herbicide target analysis. Plant Physiol. 127, 305-314 

  20. Le Gall, G., M. S. DuPont, F. A. Mellon, A. L. Davis, G. J. Collins, M. E. Verhoeyen, and I. J. Colquhoun (2003), Characterization and content of flavonoid glycosides in genetically modified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Fruits. J. Agrric. Food Chem. 51, 2438-2446 

  21. Marshall, A. G. (2000), Milestones in fourier transform ion cyclotron resonance mass spectrometry technique development. Int J Mass Spectrom. 200, 331-356 

  22. Mroczek, W. J. (1972), Biochemical profiling and the natural history of hypertensive diseases. Circulation. 45, 1332-1333 

  23. Nicholson, J. K., M. O'Flynn, P. J. Sadler, A. Macleod, S. M. Juul, and P. H. Sonksen (1984), Proton NMR studies of serum, plasma and urine from fasting normal, and diabetic subjects. Biochemical J. 217, 265-275 

  24. Robert L. L., A. D. Jones, and Y. Shachar-Hill (2007),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 important tool in metabolomics research. Nat. Rev. Mol. Cell Biol. 8, 167-174 

  25. Rosenblum, E. S., M. R. Viant, B. M. Braid, J. D. Moore, C. S. Friedman, and R S. Tjeerdema (2005), Metabolomics 1, 199-209 

  26. Sauter, H., M. Lauer, and H. Fritsch (1991), Metabolic profiling of plants a new diagnostic technique, pp288-99. In D. R., Baker, J. G. Fenyes, and W. K. Moberg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Symposium Series, No. 443.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27. Scheible, W. R., A. Gonzalez-Fontes, R Morcuende, M. Lauerer, M. Geiger, J. Glaab, A. Goon, E. D. Schuize, and M. Stitt (1997), Tobacco mutants with a decreased number of functional nia genes compensate by modifying the diurnal regulation of transcription, post-translation modification and turnover of nitrate 

  28. Scheible W. R., A. Krapp, and M. Stitt (2000), Reciprocal diumal changes of phosphoenolpyruvate carboxylase expression and cytosolic pyruvate kinase, 

  29. Stentiford, G. D., M. R. Viant, D. G. Ward, P. J. Johnson, A. Martin, W. Wenbin, H. J. Cooper, B. P. Lyons, and S. W. Feist (2005), OMICS 9, 281-299 

  30. Stitt, M. (1999), Nitrate regulation of metabolism and growth. Curr Opin Plant Biol. 2, 178-186 

  31. Stitt, M. and U. Sonnewald (1995), Regulation of matabolism intransgenic plants. Annu. Rev. Plant Physiol. 46, 341-368 

  32. Sumner, L. W., P. Mendes, and R. A. Dixon (2003), Plant metabolomics: large-scale phytochemistry in the functional genomics era. Phytochemistry 62, 817-836 

  33. Taylor J., R. D. King, T. Altmann, and O. Fiehn (2002), Application of metabolornicsto plant genotype discrimination using statistics and machine leaming. Bioinformatics 18, 241-248 

  34. Tolstikov V. V., A. Lommen, K. Nakanishi, N. Tanaka, and O. Fiehn (2003), Monolithic silica-based capillary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35. Viant, M. R., C. A. Pincetich, and R. S. Tjeerdema (2006), Aquat. Toxicol. 77, 359-371 

  36. Viant, M. R., E. S. Rosenblum, and R. S. Tjeerdema (2003), Environ. Sci. Technol. 37, 4982-4989 

  37. Yang C., A. D. Richardson, J. W. Smith, and A. Osterman (2007), Comparative metabolomics of breast cancer. Pac. Symp. Biocomput. 12, 181-192 

  38. http://www-en.mpimp-golm.mpg.de. assessed March 12. 2008 

  39. http://biology.leidenuniv.nl, assessed March 10. 2008 

  40. http://www.metabolomics.bbsrc.ac.uk/. assessed March 13. 2008 

  41. http://www1.imperial.ac.uk/medicine/about/divisions/soralbiomol_med/, assessed March 15. 2008 

  42. http://www.chemistry.manchester.ac.uk/, assessed March 12. 2008 

  43. http://www.noble.org/PlantBio/MS/index.html, assessed March 10. 2008 

  44. http://fiehnlab.ucdavis.edu/, assessed March 14. 2008 

  45. http://www.iab.keio.ac.jp/en/. assessed March 1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