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0 no.8, 2009년, pp.2021 - 2025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phytohydr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aemangeum Reservoir from May to November 2006 directly after dike construction. As the cluster analyses, phytohydrographic regions were devided into fresh river water 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은 무엇인가? |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은 전북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에 인접한 하구역40,100ha를 개발하는 사업이다[1]. 총 연장 33km에 달하는 새만금 방조제는 전북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서 시작하여 가력도, 신시도, 야미도를 연결하고 군산시 비응도까지 연결하는 4개의 방조제로 구성되어 있다. | |
새만금 방조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은 전북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에 인접한 하구역40,100ha를 개발하는 사업이다[1]. 총 연장 33km에 달하는 새만금 방조제는 전북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서 시작하여 가력도, 신시도, 야미도를 연결하고 군산시 비응도까지 연결하는 4개의 방조제로 구성되어 있다. 1991년 공사가 시작되어 2006년 4월 물막이 공사가 마무리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신시배수갑문과 가력배수갑문을 통해서만 새만금호 안팎으로 해수가 유통되고 있다[2]. | |
새만금 방조제 안팎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에 의한 식물수문적 수역특성을 연구한 결과는? |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공사 마무리 직후인 2006년 5월부터 11월까지 4회의 조사를 통해 방조제 안팎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에 의한 식물수문적 수역특성을 연구하였다. 집괴분석 결과 육수역과 해수역으로 크게 양분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조사시기별로 조사정점간의 유사도는 다소간의 변동이 지속되었다. 특히 여름철에는 같은 해수역임에도 불구하고 방조제를 경계로 내부수역 및 외부수역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식물수문적 수역 분리를 보여주었다. 물막이 공사 후 새만금호는 염분이 감소하고 수질환경이 변화되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에 의한 식물수문특성이 시기별로 변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
한국농촌공사,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사업단환경영향평가보고서, 2006.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은 전북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에 인접한 하구역40,100ha를 개발하는 사업이다[1].
이태원, 황학빈, 황선완,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완공 후인 2006-2007년 새만금호 어류 종조성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제 12권, 3호, pp.191-199, 2007.
I. Yamaji, Illusatrations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Hoikusha Publ. Co. Ltd., 1984.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채집시료를 광학현미경으로 최고 1000배까지 확대 검경 하였으며 종의 동정에는 Yamaji[8], 정[9], 심[10], 수자원연구소 조류 사진집[11] 등을 참고하였다.
정준,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1993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채집시료를 광학현미경으로 최고 1000배까지 확대 검경 하였으며 종의 동정에는 Yamaji[8], 정[9], 심[10], 수자원연구소 조류 사진집[11] 등을 참고하였다.
심재형, 한국동식물도감 제 34권 식물편(해양식물플랑크톤), 교육부, 1994.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채집시료를 광학현미경으로 최고 1000배까지 확대 검경 하였으며 종의 동정에는 Yamaji[8], 정[9], 심[10], 수자원연구소 조류 사진집[11] 등을 참고하였다.
수자원연구소, 댐저수지의 조류 사진집, 2000.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채집시료를 광학현미경으로 최고 1000배까지 확대 검경 하였으며 종의 동정에는 Yamaji[8], 정[9], 심[10], 수자원연구소 조류 사진집[11] 등을 참고하였다.
J. Throndsen, Preservation and storage in "Phytoplankton manual" ed., A. Sournia, UNESCO, pp.69-74, 1978.
실험실에서는 시료를 48시간 이상 침전시켜 농축된 시료를 Sedgwick-Rafter Counting Chamber에 녛고 현미경하에서 세포수를 계수한 후 원래 해수중 현존량(cells/ml)으로 환산하였다[12].
J. C. Davis,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in ge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1973.
Xij는 j번째에 해당하는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현존량이며 유사도(similarity)는 상관계수를 사용하였고 Davis[13]의 WPGA(weighted pair-group average)방법으로 집괴하여 수지도(dendrogram)를 작성하였다.
한국농촌공사,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사업단 환경영향평가보고서, 2005.
7월에도 담수역 정점들에서 규모가큰 대발생이 지속되고 있었으며 특히 최대 현존량을 보인 정점3(언독대교)의 현존량 규모는 2005년 8월과 매우 흡사한 양상이며[14] 남조류의 대발생에 기인한 것이다.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