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증폭기의 이득과 이득 평탄화를 동시에 자동 제어하는 완전 광학적 방법
Automatic Gain Flattening Control and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an All Optical Method in an Optical Amplifier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20 no.5, 2009년, pp.261 - 265  

최보훈 (동아대학교 신소재물리학과) ,  이상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광인터넷연구부)

초록

직렬 연결된 두 개의 광학적인 회전루프와 고정형 이득 평탄화 필터가 적용된 이단 증폭기 구조가 제안되고 구현되었다. 이 증폭기에 입력신호 채널수를 한 개에서 40개 사이를 역동적으로 변화시키므로 입력신호 세기가 최고 -1 dBm 까지의 변동할 때, 제안된 증폭기는 완전히 광학적인 방법으로 이득과 이득평탄 정도를 1530 nm$\sim$1560 nm 파장대역에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이 특성을 잡음지수의 큰 희생 없이 고 이득을 유지하는 가운데 이루어 졌다. 각 입력채널에서 이득 특성의 시간에 따른 순간적인 변화와 이 변화의 파장 의존성도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구조의 증폭기가 전송선에 적용될 때, 통신양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광증폭기로 입력되는 광신호의 세기가 급격히 변화하더라도 광증폭기의 증폭 특성은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ur amplifier using an all optical method and a fixed GFF achieved automatic gain flatness throughput the C-band without any NF degradation, and simultaneously achieved a constant 25 dB gain, while input signals were varied between one channel and forty WDM channels. When thirty nine channels we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낮은 입력 세기 영역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직렬연결된 두 개의 광학적인 회전루프와 고정형 이득 평탄화 필터(gain flattening filter; GFF)가 적용된 이단 증폭기 구조가 제안되고 구현되었다. 153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득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어떤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가? [1,2] 통신망에서 핵심 부품인 에르븀 첨가 광증폭기(Erbium-doped fiber amplifier; EDFA)는 입력 신호의 급격한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증폭기의 이득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이득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출력세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광증폭기의 펌프 세기가 변하도록 피드백 시켜주는 전자적인 방식[3,4]이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최근 광학적인 방법을 채택한 시도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해 완전 광학적인 이득 조정(all-optical gain control; AOGC)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브래그 격자 공진기[5-7] 나 피드백 루프등[8]-[10]을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파장분할다중화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WDM) 광전송 기술을 이용한 통신에서, 장거리 전송망과 달리 도시망(Metropolitan networks)에서는 통신양의 변화로 광신호 채널 수의 변화가 수시로 발생하는 이유는? 파장분할다중화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WDM) 광전송 기술을 이용한 통신에서, 장거리 전송망과 달리 도시망(Metropolitan networks)에서는 통신양의 변화로 광신호 채널 수의 변화가 수시로 발생한다. 이것은 WDM신호들의 삽입과 탈락, 광신호 경로 재설정, 장비의 증설이나 회선보호 스위칭과 같은 망 운영(network management) 요인들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1,2] 통신망에서 핵심 부품인 에르븀 첨가 광증폭기(Erbium-doped fiber amplifier; EDFA)는 입력 신호의 급격한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증폭기의 이득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AOGC 방식을 사용할 때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은? 이 방식에서, 파장 홀번잉(spectral hole burning) 효과에 의한 순간적인 이득 변화가 단점으로 작용하는데[9,10],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중 병렬 공진기 구조나[11], 단일 공진기에 이중 레이징 신호 발생 구조[12], 이득 포화기 사용[13] 등의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AOGC 방식을 사용할 때 피할수 없는 본질적인 문제점 중의 하나는 이득을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징 광이 신호 증폭을 위해 여기된 Er3+이온을 너무 많이 사용하여 조정 가능한 입력 신호의 세기 영역을 낮게 제한시킨다는 점이다. 이는 AOGC 증폭기의 입력 신호 세기의 다이나믹 영역을 좁히는 결과는 낳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H. Richards, J. L. Jackel, and M. A. Ali, “Multichannel EDFA chain control: a comparison of two all-optical approaches,” IEEE Photon. Technol. Lett. 10, 156-158 (1998). 

  2. M. Karasek, A. Bononi, L. A. Rusch, and M. Menif, “Effectiveness of gain control in EDFAs against traffic with different levels of bursty behaviour,” IEE Proc. Optoelectron. 147, 355-362 (2000). 

  3. J. H. Jang, J. H. Jung, W. J. Lee, W. W. Yun, and K. K. Lee, “Implementation of automatic gain controlled bidirectional EDFA in WDM networks,” in Proc. CLEO/Pacific Rim (Seoul, Korea, Aug. 1999), vol. 3, pp. 650-651. 

  4. K. Motoshima, N. Suzuki, K. Shimizu, K. Kasahara, T. Kitayama, and T. Yasui, “A channel-number insensitive erbium-doped fiber amplifier with automatic gain and power regulation function,” J. Lightwave Technol. 19, 1759-1767 (2001). 

  5. J. Massicott, C. Lebre, R. Wyatt, R. Kashyap, D. Williams, and A. Yu, “Low noise, all-optical gain controlled $Er3^+$ doped fibre amplifier using asymmetric control laser cavity design,” Electron. Lett. 32, 816-817 (1996). 

  6. A. V. Tran, C.-J. Chae, and R. S. Tucker, “A bidirectional optical add-drop multiplexer with gain using multiport circulators, fiber Bragg gratings, and a single unidirectional optical amplifier,” IEEE Photon. Technol. Lett. 15, 975-977 (2003). 

  7. K. Ennser, G. D. Valle, M. Ibsen, J. Shmulovich, and S. Taccheo, “Erbium-doped waveguide amplifier for reconfigurable WDM metro networks,” IEEE Photon. Technol. Lett. 17, 1468-1470 (2005). 

  8. A. Bononi and L. Barbieri “Design of gain-clamped doped-fiber amplifiers for optimal dynamic performance,” J. Lightwave Technol. 17, 1229-1240 (1999). 

  9. G. Luo, J. L. Zyskind, J. A. Nagel, and M. A. Ali,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nalysis of relaxation-oscillations and spectral hole burning effects in all-optical gainclamped EDFA's for WDM networks,” J. Lightwave Technol. 16, 527-533 (1998). 

  10. A. R. Bahrampour and M. Mahjoei, “Theoretical analysis of spectral hole burning and relaxation oscillation in all-optical gain stabilized multichannel erbium-doped fiber amplifier (EDFA),” J. Lightwave Technol. 19, 1130-1139 (2001). 

  11. Y. Liu and M. F. Krol, “Transient gain control in EDFA's by dual-cavity optical automatic gain control,” IEEE Photon. Technol. Lett. 11, 1381-1383 (1999). 

  12. C.-L. Zhao, H.-Y. Tam, B.-O. Guan, X. Dong, P. K. A. Wai, and X. Dong, “Optical automatic gain control of EDFA using two oscillating lasers in a single feedback loop,” Opt. Comm. 225, 157-162 (2003). 

  13. C. Wang and G. J. Cowle, “Optical gain control of erbium-doped fiber amplifiers with a saturable absorber,” IEEE Photon. Technol. Lett. 12, 483-485 (2000). 

  14. B.-H. Choi, K.-J. Hong, C.-B. Kim, and Y.-H. Won, “An all-optical gain-controlled amplifier for the bidirectional transmission,” ETRI Journal 28, 1-8 (2006). 

  15. J. T. Ahn and K. H. Kim, “All-optical gain-clampe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with improved noise figure and freedom from relaxation oscillation,” IEEE Photon. Technol. Lett. 16, 84-8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