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자료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강우 유출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Rainfall Runoff Model with Rainfall Uncertainty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2 no.10, 2009년, pp.773 - 783  

이효상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전민우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 ,  발린 다니엘라 (스위스 로잔 대학교 지리학과) ,  로드 미하엘 (독일 헬름홀쯔 환경연구소-UFZ)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우유출모형의 입력 자료로 사용되는 강우 관측 자료의 불확실성이 유량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형변수 검정의 불확실성 연구에서 사용하는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방법을 입력 자료 부분으로 확장하여 적용 하였다. 독일의 Weida 유역의 강우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적 및 비구조적인 불확실성 부분을 각각 구조적인 오차 수정 과정과 DUE (Data Uncertainty Engine)을 통하여 강우자료를 구성하였다. 이를 유역의 수문학적 작용을 고려하기 위해 선정한 집중형 강우유출모형, PDM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에 MC (Monte Carlo)와 GLUE 방법을 활용하여 적용하였다. MC검정변수들의 검정 후 반응 표면(Posterior response surface)을 검토하고 GLUE 의 반응검정 모형변수(Behavioural model parameter set)를 선택, 간략한 GLUE 유량곡선들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GLUE 유량곡선들을 모두 합하여 앙상블 유량을 산정하고, 이 유량의 90 분위를 강우량자료 및 모형변수 검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신뢰구간으로 제시하였다. PDM 모형의 결과는 유량곡선의 전구간에서 안정적인 모의 능력을 보여주고 있으나, 첨두유량 부분이 적게 산정되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강우 시나리오 및 반응검정 모형변수의 적용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GLUE 방법을 강우관측자료의 불확실성 부분으로 확장하여 강우자료 및 변수 검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모의된 유량예측의 신뢰구간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rainfall input uncertainty on predictions of stream flow are studied based extended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approach. The uncertainty in the rainfall data is implemented by systematic/non-systematic rainfall measurement analysis in Weida catchment, German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우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이 유량 예측에 대한 영향을 개념적 강우 유출 모형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모형 및 변수 검정의 불확실성에 바탕을 둔 기존의 GLUE방법을 강우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부분으로 확장하여 입력자료, 모형의 불확실성을 모두 고려한 유량 예측 방법의 가능성(유량 예측의 신뢰 구간)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모형구조 및 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유량예측 방법에 대표적인 입력 자료인 강우량 자료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유량예측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독일의 Weida 유역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강우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을 구조적 및 비구조적인 오차로 고려하고, 이를 간략화한 GLUE 방법으로 적용, 앙상블 유량모의 기법으로 유량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GLUE 의 개념을 강우 입력자료의 불확실성 부분으로 확장하여, 강우관측자료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유역의 강우특성을 잘 반영하는 “충족시키는(acceptable)” 강우 관측 자료가 하나 이상 또는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 - 유량예측의 불확실성에 관한 기존의 모형 및 매개 변수 추정에 관한 GLUE 방법을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 부분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을 모형 및 변수의 불확실성과 같이 고려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간단한 신뢰구간 적용사례를 통하여 제시 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다양한 불확실성 요소를 모두 고려한 유량산정 방법으로 확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가설 설정

  • 강우 관측자료의 무작위로 발생하는 비구조적인 불확실성 부분은 확률적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 하였다. 이러한 강우 관측의 비구조적 불확실성부분은 DUE으로 검토되었다.
  • 강우자료의 불확실성을 대표한다고 가정한 확률 분포형에서 임의의 값을 추출하여 이를 강우입력자료에 더하여 불확실성을 고려한 입력자료를 만드는 방법이다. 다양한 확률분포형이 각 자료의 특성에 맞는 불확실성을 선정할 수 있도록 고려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강우 자료의 불확실성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어,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오차가 분포하는 정규 분포형을 따른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는 먼저 구조적인 불확실성 부분을 Table 2에서와 같이 손실량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고려하였으며, 비구조적인 불확실성부분은 정규분포형을 따르고, 적정 표준편차 범위 안에서 불확실성이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이 범위 안에서 임의의 값을 산정하여 이를 비 구조적인 불확실성으로 고려하였다. 불확실성을 고려한“충족시키는” 강우 시나리오는 관측 자료에 구조적인 불확실성과 비구조적인 불확실성을 각각 더하여 10개의 강우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 , 2004). 유효우량-유출모형에서는 일반적인 선형적 저류지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근거는 강우-유출의 비선형적인 관계가 토양수분저장 모형에서 충분히 고려되었다고 가정하였으며, Eq. (9)에서 선형성을 나타내는 변수, n=1이 사용되었다(Jakeman and Hornberger, 199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강우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이 유량 예측에 대한 영향을 개념적 강우 유출 모형을 통하여 검토하기 위해 모형 및 변수 검정의 불확실성에 바탕을 둔 기존의 GLUE방법을 강우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부분으로 확장하여 입력자료, 모형의 불확실성을 모두 고려한 유량 예측 방법의 가능성(유량 예측의 신뢰 구간)을 제시한 결과로 얻어낸 결론은 무엇인가? - 유량예측의 불확실성에 관한 기존의 모형 및 매개 변수 추정에 관한 GLUE 방법을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 부분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을 모형 및 변수의 불확실성과 같이 고려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간단한 신뢰구간 적용사례를 통하여 제시 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다양한 불확실성 요소를 모두 고려한 유량산정 방법으로 확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이 매개변수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MC 검정의 사후 매개변수의 반응분포를 통해 검토한 결과, 입력 자료의 비구조적인 불확실성이 매개변수 검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매개변수 검정의 불확실성의 영향이 크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유량예측의 신뢰구간의 산정 방법의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신뢰구간이 약 30 %의 관측 유량만을 포함한 결과는 입력 자료에서 도입한바 구조적인 불확실성의 보수적인 적용 및 강우유출 모형의 구조적인 한계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향후 연구는 자료의 특성을 반영한 불확실성 모형의 산정 및 강우유출모형 성능 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강우를 포함한 다양한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 및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포함한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한다면 유량예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BTEA은 무엇을 통해 모형 검정부분을 개선하고 유출량 예측의 신뢰도를 높였는가? (2002)은 강우 입력 자료, 강우유출모형 및 변수 검정의 불확실성을 확률적인 베이지언(Bayesian)방식을 적용하여 유출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들이 개발한 BTEA (Bayesian Total Error Analysis method)은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 부분과 유량예측의 불확실성 부분을 베이지언 방법으로 연결하여 모형 검정부분을 개선, 유출량 예측의 신뢰도를 높였다. Ajami et al.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 및 유량예측의 결과 등을 베이지언 방식으로 연결한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또한 이러한 유량예측결과가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에 다시 영향을 주는 순환적인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입력 자료에 따른 모형 유량예측결과의 취사선택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강우유출모형의 변수검정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을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 부분으로 확장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극복할 수 있다. Beven (2006)의 강우입력자료로 확장한 GLUE방법은 Kavets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손경호, 김정곤 (2008). "SWAT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수문학적 영향평가를 위한 Proxy-basin Differential Split-Sampling 및 Blind-Validation 테스트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 10호, pp. 969-982. 

  2. 성영두, 정구열, 신철균, 박진혁 (2008). "저류함수를 이용한 일단위 장기유출모의 모형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7호, pp. 737-746. 

  3. 정일원, 이병주, 전태현, 배덕효 (2008). "유출모형이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9호, pp. 907-917. 

  4. Ajami, N.K., Duan, Q., and Sorooshian, S. (2007). "An integrated hydrologic Bayesian multimodel combination framework: Confronting input, parameter, and model structural uncertainty in hydrologic prediction." Water Resource Research, Vol. 43: W01403, pp. 1-19. 

  5. Andreassion, V., Perrin, C., and Michel, I. (2001). "Impact of imperfect rainfall knowledge on the efficiency and the parameters of watershed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250, pp. 206-223. 

  6. Beven, K. (2001). Rainfall-runoff modelling-The primer. John Wiley and Sons. 

  7. Beven, K. (2007). "Equifinality and disaggregating sources of error in uncertainty estimation: an extended GLUE methodology", http://www.es.lancs.ac.uk/hfdg/uncertainty_workshop/PDF/Keith_Beven_p.pdf Accessed January 2009. 

  8. Beven, K., and Kirkby, M.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acl Science Bulletin, Vol. 24, No. 1, pp. 43-69. 

  9. Brown, J., and Heuvelink, G. (2007). "The Data Uncertainty Engine (DUE): A software tool for assessing and simulating uncertain environmental variables." Computers & Geosciences, Vol. 33, 172-190. 

  10. Carr, Helen (1999). "Flood Estimation Handbook Vol. 4 Restatement and application of the Flood Studies Report rainfall runoff method" Institute of Hydrology, UK. 

  11. Harmonirib. (2007). http://www.harmonirib.com/ download. htm. Accessed January 2008. 

  12. Jakeman, A., Littlewood, I., and Whitehead, P. (1990). "Computation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and identifiable component flows with application to two small upland catchments." Journal of Hydrology, Vol. 117, pp. 275-300. 

  13. Jakeman, A. and Hornberger, G. (1993). "How Much Complexity is warranted in a Rainfall-runoff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9, No. 8, pp. 2637-2649. 

  14. Kavetski, D., Franks, S., and Kuczera, G. (2002). "Confronting input uncertainty in environmental modelling." Calibration of Watershed Models. AGU WSA Series, pp. 49-68. 

  15. Kavetski, D., Kuczera, G., and Franks, S. (2006). "Bayesian analysis of input uncertainty in hydrological modeling: 1. Theor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2, W03407. 

  16. Kjeldsen, T. (2007). "Flood Estimation Handbook Supplementary report No. 1: The revitalised FSR/FEH rainfall-runoff method." Centre for Ecology and Hydrology. 

  17. Moore, R. (1985). "The probability-distributed principle and runoff prediction at point and basin scales." Hydrological Sciences Bulletin, Vol. 30, No. 2, pp. 273-297. 

  18. Nash, J., and Sutcliffe, J.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pp. 282-290. 

  19. Rode, M., and Wenk, G. (2006). "Weisse Elster River Basin Data Report.", HarmoniRiB-EVK1-CT-2002- 00109. EU. 

  20. Schulla, J., and Jasper, K. (2001). "Model description WaSiM-ETH, Internal report." IAC, ETH Zurich, pp. 166. 

  21. Wagener, T., Wheater, H., and Gupta, H. (2004). Rainfall-runoff modelling in gaged and ungaged catchments. Imperial College Press, London, U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