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화시간에 따른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기계적 물성 거동
Mechanical Property Behaviors of Polyethylene Pipe due to Thermal-Degradatio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3 no.5, 2009년, pp.446 - 451  

원종일 (한국화학연구원 신뢰성평가센터) ,  최길영 (한국화학연구원 신뢰성평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뢰성 평가 시험법인 RS M 0042에 따라, 열화시간 경과에 따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신뢰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열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250일 열화시점까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경도는 비교적 미소한 증가를 보였으며, 연신율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열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른, 결정화도의 증가와 열산화에 의한 가교밀도의 증가, 사슬 전단 및 사슬 운동성의 감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정수압시험 결과는 초기의 연성파괴에서 차후 취성파괴로 전환되는 시점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산화유도시간 측정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파이프의 열산화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측정 결과는 250일 이후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파이프에 첨가된 산화방지제가 거의 고갈되었음을 보여준다. $100^{\circ}C$ 열화 조건에서 산화방지제의 잔존량을 계산할 수 있는 실험식을 열화시간의 함수로 표현하여 제안하였다. 적외선분광분석 결과는 열화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파이프 표면상에 카르보닐 및 하드록실 관능기가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표면의 탄화수소 그룹의 산화가 국부적으로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liability evaluations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pipe with respect of thermal exposure time have been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RS M 0042, which is a reliability standard for polymer pipe. As the thermal exposure time is prolonged, a progressive increase, until 250 days,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LLDPE) 플라스틱 파이프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장기 열화(degradation) 에 따른 물리적, 기계적 물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앞에서 관찰된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적외선분광분석 (FTTR), 열중량분석 (TGA), 시차주사열량분석 (DSC) 과 더불어 산하유발시간(oxidation induction time, OIT)을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이러한 가교 반응은 사슬 절단(chain scission)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에 부정적인 효과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22) 그 결과 고분자 소재는 취성화 (brittle) 되게 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열 열화가 진행되면서 분자 사슬이 끊어져 사슬 단락(segment) 의 감소를 유발하게 된다.
  • 이는 사슬의 얽힘 밀도(density of entanglement)를 감소시킬뿐 아니라 소재의 탄성력을 크게 감소시키게 된다. 더불어 사슬 운동성이 감소하여 노치 민감도를 더욱 높일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관찰된 열화 시간에 따른 연신율 감소의 원인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 Raynaud, 'A view of the European plastic pipes market in a global scenario', Proc. Plast. Pipes XII, Milan, Italy (2004) 

  2. R. H. Boyd, Polymer, 26, 323 (1985) 

  3. R. K. Krishnaswamy, Polym. Eng. Sci., 47, 516 (2007) 

  4. E. M. Hoang and D. Lowe, Polym. Degrad. Stabil., 93, 1496 (2008) 

  5. U. Andersson, Proc. Plast. Pipes XI, 311 (2001) 

  6. M. Ifwarson and K. Aoyama, Proc. Plast. Pipes X, 691 (1998) 

  7. T. S. Gill, R. J. Knapp, S. W. Bradley, and W. L. Bradley, Plast. Rubber Compos., 28, 309 (1999) 

  8. J. P. Dear and N. S. Mason, Polym. Polym. Compos., 9, 1 (2001) 

  9. J. Hassinen, M. Lundback, M. Ifwarson, and U. W. Gedde, Polym. Degrad. Stabil., 84, 261 (2004) 

  10. J. P. Dear and N. S. Mason, Proceedings of IMechE 220 Part L: J. Materials: Design and Applications, 97 (2006) 

  11. X. Colin, L. Audouin, J. Verfu, M. Rozental-Eveque, F. Martin, and F. Bourgine, Proc. Plast. Pipes XIII, 1 (2006) 

  12. E. Kramer, A. G. Oertli, and G Markus, Patent WO 03/064511 A2 (2003) 

  13. T. H. Ho, P.-M. Cham, D. Shramm, and K. Sehanobish, Patent WO 2005/056657 A2 (2005) 

  14. J.-I. Weon, Y.-K. Chung, S.-M. Shin, and K.-Y. Choi, Polymer(Korea), 28, 309 (1999) 

  15. 'Tubing for Water Purifier', RS M 0042 (2008) 

  16. R. G. Budynas, Advanced Strength and Applied Stress Analysis, 2nd edition, McGRAW-HILL, 1999 

  17. W. Qiu, J. Sworen, M. Pyda, E. Nowak-Pyda, A. Habenschuss, K. B. Wagener, and B. Wunderlich, Macromolecules, 39, 204 (2005) 

  18. L. Ragnarsson and A.-C. Albertsson, Biomacromolecules, 4, 900 (2003) 

  19. W. D. Callister,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94 

  20. L. H. Sperling, Introduction to Physical Polymer Science,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2001 

  21. N. G. McCrum, C. P. Buckley, and C. B. Bucknall, Principles of Polymer Engineering, 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 York, 1999 

  22. H. R. Allcock, F. W. Lampe, and J. E. Mark, Contemporary Polymer Chemistry, 3rd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2004 

  23. S. Watanabe, N. Sano, I. Noda, and Y. Ozaki, J. Phys. Chem. B, 113, 338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