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정선군 백운산 High 1 스키장 슬로프 개발 지역의 주목 생육현황 조사
A Study on the Growing State of Taxus cuspidata in Baekwoonsan the High 1 Ski Slope Construction Area in Jeungsun-gun, Gangwon-do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4, 2009년, pp.302 - 308  

김갑태 (산림대학교 산림과학과) ,  엄태원 (산림대학교 산림과학과) ,  김회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합리적 주목 관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강원도 정선군 하이원 스키장 건설지역에 분포하는 주목 323개체(이식된 57 체 포함)에 대하여 수고, 근원경, 흉고직경, 줄기상태, 동공의 크기, 초두부 상태, 가지고사율, 엽생육상태, 신초생장, 2년생엽 탈락율, 뿌리상태 및 수형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들을 생육상태가 나쁠수록 높은 점수가 되도록 등급화하였다. 조사대상지에 생육 중인 주목은 주로 해발고가 높은 능선부나 북사면에서 자라고 있었다. 백운산 주목의 생육상태는 국내 다른 아고산지대의 주목과 구상나무의 생육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피해주목들은 이식작업에서 뿌리제거, 잔존 목으로 슬로프 공사 시 복토, 터파기로 인한 뿌리 손상 등이 대부분이었다. 주목보존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roper tree management of Taxus cuspidata, distributed in the High 1 Ski Slope construction area in Baekwoonsan, Jeungsun-gun, Kangwon-do, the growing states of 323 trees(including transplanted 57trees) are investigated. Tree height, rootcollar diameter, D.B.H., stem condition, apical sho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원랜드에서 2005년 환경친화적 스키장 건설을 위하여 강원랜드 High 1 스키장의 건설초기부터 환경친화적 인 스키장 개발과 4계절 활용을 위한 여러가지 방안이 강구되고 추진되었다. 발왕산과 덕유산의 산정부 개발사례와 같은 주목의 훼손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목 이식을 최소화하고 이식한 주목도 철저한 관리를 통하여 최대한 살리면서 스키장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에 이 조사는 백운산 스키장 개발지역에 분포하는 주목의 생육현황을 정밀 조사하여 향후 주목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inns, W. O. and D. B. Redfern (1983) Acid rain and forest decline in W. Germany. Forestry Commission Res. Dev. Paper 131, 13pp 

  2. Cook, E. R., Johnson, A. R. and T. J. BIassing (1987) Forest decline: modeling the effect of climate in tree rings. Tree Physiology 3: 27-40 

  3. Cowling, E. B. and L. S. Dochinger (1980) Effects of acidic precipitation on health and the productivity of forests. USDA For. Ser. Gen. Tech. Rep. PSW- 43:165-173 

  4. Fuhrer, E (1990) Forest decline in central Europe: additional aspects of its caus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7(4): 249-257 

  5. Kim, G. T., Kim, J. S. and G. C. Choo (1991).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Banyabong area -Abies koreana forest-. J. Kor. Appl. Ecol. 5(1): 25-31 

  6. Kim, G. T., Kim, J. S., Choo, G. C. and W. H. Jin (1994).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Paekryunsa-Hyangchokbong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J. Kor. Appl. Ecol. 7(2): 155-163 

  7. Kim, G. T. and G. C. Choo (1999)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Togyusan -Abies koreana forest-. Kor. J. Env. Eco. 13(1):70-77 

  8. Kim, G. T. and G. J. Baek (1998) Studies on the stand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forest at Janggunbong area in Taebaeksan-Abies koreana forest-. Kor. J. Env. Eco. 12(1): 1-8 

  9. Kim, G. T., Choo, G. C. and G. J. Baek (199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Mt. Halla -Abies koreana forest-. Jour. Korean For. Soc. 87(3): 366-371 

  10. Kim, G. T., Choo, G. C. and T. W. Um (1997)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CheonwangbongDyukpyeongbong area in Jirisan -Abies koreana forest-. Jour. Korean For. Soc. 86(2): 146-157 

  11. Kim, G. T., Choo, G. C. and T. W. Um (1996)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Abies neproiepis and Taxus cuspidata forest-. Kor. J. Env. Eco. 10(1): 160-168 

  12. Lee, C. H., Lee, S. W., Kim, Y. K. and J. H. Cho (2003). Atmospheric quality, soil acidification and tree decline in three Korean red pine forests. Korean J. Ecol. 26(2): 87-89 

  13. McLaughlin, S. E. Blasing, T. J., Mann, L. K. and D. N. Duvick (1983) Effects of acid rain and gaseous pollutants on forest productivity: A regional scale approach. J.A.P.C.A. 33:1042-1049 

  14. Paul Schmid-Haas (1990) European Forest Decline: Problems in Assessing and Monitoring Health. DIANE Publishing, 24pp 

  15. Pitelka, L. F. and D. J. Raynal (1989) Forest decline and acidic deposition. Ecology 70(1):2-10 

  16. Yim, K. B., Kim, G. T., Lee, K. J. and J. S. Kim (1993).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Birobong area in Sobaeksan -Taxus cuspidata forest-. J. Kor. Appl. Ecol. 6(2): 154-1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