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7-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 of dental implants in the controlled diabetic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position, diameter and length of fixture, bone quality, age, gender and the method of maxillary sinus elevation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치주과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한 혈당조절이 잘되는 104명의 당뇨환자, 342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7년간의 누적 생존율을 분석, 평가해 보았다. 누적 생존율은 96.
  •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환자에게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의 전체 누적 생존율을 분석하고, 임플란트의 식립위치, 직경, 길이, 식립부위의 골질, 환자의 나이와 성별, 상악동 점막거상 술식의 유무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 평가하여 당뇨병이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의 진단 기준은 무엇인가? 미국당뇨병학회의 전문위원회가 2000년에 제안한 당뇨병진단 기준은 적어도 8시간 이상 금식한 후 측정한 공복 정맥 혈장 포도당 값이 126mg/dL 이상이거나, 식사와 관계없이 임의로 측정한 혈장 포도당 값이 200mg/dL 이상이고, 다뇨, 갈증, 체중 감소 등 전형적인 당뇨병 증세가 있는 경우나, 75 g 경구당부하 검사상 2시간 후 혈장 포도당 값이 200mg/dL 이상인 경우이며 측정치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다른 날 다시 검사하도록 추천하고 있다. 정상은 공복 혈장 포도당 농도가 100mg/dL 미만, 75 g 경구당부하 검사상 2시간 후 혈장 포도당 값이 140mg/dL 미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2).
당뇨병의 유병률이 증가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흔히 나타나는 주된 만성질환 중 하나이며, 당뇨환자의 발생은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당뇨병의 유병률은 국가와 인종, 생활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경제가 발전하고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생활양식이 서구화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당뇨병 환자는 당뇨가 아닌 환자에 비해서 치주질환으로 진행될 확률이 얼마나 높은가? 치주조직에서의 미세혈관 병변이 원활한 혈류 공급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구강내 창상치유를 지연시키고, 감염에 대한 감수성 또한 증가시키게 되고, 진행된 치주질환에 이환되기도 쉽게 한다3). 2형 당뇨환자에서 치주질환으로 진행이 되는 위험요소는 당뇨가 아닌 환자보다 2.9~3.4배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4). 이러한 위험요인들이 치과 임플란트의 골유착과 골형성 과정에도 또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Zimmet P, Alberti KG, Shaw J. Global and societal implications of the diabetes epidemic. Nature 2001;414:782787 

  2. Mealey BL, Ocampo GL. Diabetes mellitus and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ology 2000 2007;44:127-153 

  3. Mealey BL, Oates TW. Diabetes mellitus and periodontal diseases. J Periodontol 2006;77:1289-1303 

  4. Taylor GW. Bidirection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s: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Ann periodontol 2001;6:99-112 

  5. Olson JW, Shernoff AF, Tarlow JL et al. Dental endosseous implant assessments in a type 2 diabetic population:A prospective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811-818 

  6. Peled M, Ardekian L, Tagger-Green N, Gutmacher Z, Machtei EE. Dental implan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clinical study. Implant Dent 2003;12:116-122 

  7. Fiorellini JP, Chen PK, Nevins M, Nevins ML A retrospective study of dental implants in diabetic patient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0;20:366-373 

  8. Farzad P, Andersson L, Nyberg J. Dental implant treatment in diabetic patients. Implant Dent 2002;11:262-267 

  9. Blanchaert RH. Implants in the medically challenged patient. Dent Clin North Am 1998;42:35-45 

  10. Balshi TJ, Wolfinger GJ. Dental implants in the diabetic patient: a retrospective study. Implant Dent 1999;8:355-359 

  11. Morris HF, Ochi S, Winkler S. Implant surviva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placement to 36 months. Ann Periodontol 2000;5:157-165 

  12. Dent CD, Olson JW, Farish SE et al. The influence of preoperative antibiotics on success of endosseous implants up to and including stage II surgery: a study of 2,641 implants. J Oral Maxillofac Surg 1997;55:19-24 

  13. Sbordone L, Barone A, Ramaglia L, Ciaglia RN, Iacono VJ.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periodontopathic bacteria associated with failing implants. J Periodontol 1995;66:69-74 

  14. Lekholm U, Zarb GA, Branemark PI. Tissue integrated prostheses Osseointegration in clinical dentistry. Chicago. Quintenssence 1985;199-209 

  15. Buser D, Mericske-Stern R, Bernard JP et al. Long-term evaluation of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ith 2359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1997;8:161-172 

  16. Cochran DL, Buser D, ten Burugenakte C et al. The use of reduced healing times on ITI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etched (SLA) surface : early results from clinical trials on ITI SLA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2;13:144-153 

  17. Smith RA, Berger R, Dodson TB.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implants in healthy and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2;7:367-372 

  18. Friberg B, Grondahl K, Lekholm U, Branemark PI. Longterm follow-up of severly atrophic edentulous mandibles reconstructed with short Branemark implants. Clin Implant Dent Rel Res 2000;2:184-189 

  19. Lekholm U, Gunne J, Henry P et al. Survival of the Branemark implant in partially edentulous jaws: A 10-year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639-645 

  20. Bryant SR. The effects of age, jaw site, and bone condition on oral implant outcomes. Int J Prosthodont 1998;11:470-490 

  21. Jemt T.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 the edentulous maxilla. A five-year follow-up report. Clin Oral Implants Res 1994;5:142-147 

  22. Misch CE. Translation of 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2nd editon. Seoul: Narae Publishing Inc; 1999:205-215 

  23. Langer B, Langer L, Herrmann I, Jorneus L. The wide fixture: A solution for special bone situations and a rescue for the compromised implant. Part 1.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400-408 

  24. Ivanoff CJ, Sennerby L, Johansson C, Rangert B, Lekholm U. Influence of implant diameters on the integration of screw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Int. J Oral Maillofac Surg 1997;26:141-148 

  25. Ivanoff CJ, Grondahl K, Sennerby L, Bergstrom C, Lekholm U. Influence of variations in implant diameters: a 3- to 5-year retrospective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173-180 

  26. Eckert SE, Meraw SJ, Weaver AL, Lohse CM. Early experience with Wide-Platform Mk II implants. Part I: Implant survival. Part II: Evaluation of risk factors involving implant survival. Int Oral Maxillofac Implants 2001;16:208-216 

  27. Deporter D, Pilliar RM, Todescan R, Watson P, Pharoah M. Managing the posterior mandible of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ith short, porous-surfaced dental implants: Early data from a clinical trial.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1;16:653-658 

  28. Brocard D, Barthet P, Baysse E, et al. A multicenter report on 1,022 consecutively placed ITI implants: a 7-year longitudinal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691-700 

  29. Lazzara R, Siddiqui AA, Binon P et al. Retrospective multicenter analysis of 3i endosseous dental implants placed over a five-year period. Clin Oral Implants Res 1996;7:73-83 

  30. Jaffin RA, Berman CL. The excessive loss of Branemark fixtures in type IV bone: a 5-year analysis. J Periodontol 1991;62:2-4 

  31. Meijer HJ, Batenburg RH, Raghoebar GM. Influence of patient age on the success rate of dental implants supporting an overdenture in an edentulous mandible: a 3-year prospective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1;16:522-526 

  32. Bryant SR, Zarb GA. Osseointegration of oral implants in older and younger adul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492-499 

  33. Engfors I, Ortorp A, Jemt T.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 elderly patients: A 5-year retrospective study of 133 edentulous patients older than 79 years.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04;6:190-198 

  34. Wallace SS, Froum SJ. Effect of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on the survival of endosseous dental implants. A systemic review. Ann Periodontol. 2003;8:328-343 

  35. Yon JY, Chae GJ, Jung UW et al. Long-term evaluation of implant placed in sites grafed by lateral window approach on maxillary sinus; a 10-year retrospective study. J Korean Acad Periodontol 2007;37:691-704 

  36. Kim SH, Kim BO, Han KY. A clinical study on the periodontal status of the patient with diabetes mellitus. J Korean Acad Periodontol 1993;23:27-36 

  37. Kim MJ, Ryu SH, Park JW, Suh JY, Lee JM. The gingival tissue levels of bone resorptive mediators in human chronic periodontiti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Korean Acad Periodontol 2007;37:743-7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