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활나물 잎 추출물의 분획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Effects of Crotalaria sessiliflora L. Leaf Extracts Fractionated from Each Solvent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2, 2009년, pp.180 - 186  

김태수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상범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안전성 평가본부) ,  박춘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성하정 (호서대학교 융합기술연구소) ,  강명화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활나물 잎을 에탄올과 메틸렌 클로라이드 혼합용매(3:1)로 추출하였다. 이중 가장 활성이 높은 유효성분을 추출 및 분리하기 위해서 당과 지방 성분을 제거하고, water와 n-butanol 용매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분획 추출하였다. n-butanol층 은 감압 농축 후, Sephadex LH-20이 충진된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10개(Fr1, Fr2, Fr3, Fr4, Fr5, Fr6, Fr7, Fr8, Fr9, Fr10)의 소 분획물을 얻었다. 분획물의 각종 항산화 활성 결과 Fr1, Fr4, Fr6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분획물중 활성이 강한 F1, F4 및 F6에서 미지의 물질을 발견하였으므로 각종 기기분석을 통해 그물질을 동정 중에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rotalaria sessiliflora L., leaf was extracted with a solvent mixture of $CH_2Cl_2$ and $CH_2OH$ (3:1). In order to draw or separate effective components from the leaf extract with high activity, a 1:1 solvent mixture of water and butanol was used after remova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부위별 활나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활나물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추출수율이 높았던 잎에서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Kang et al 2002, Woo et al 2005). 따라서 본 연구는 자생하고 있는 식물자원의 하나인 활나물을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토대로 활성이 가장 강한 잎 부위를 분획 추출하여 활나물의 분획별 항산화 활성 효과를 규명하고 추출물중 활성이 강한 butanol fraction에 존재하는 미지의 물질을 구조․동정하여 천연물의 항산화 활성과 천연 첨가물로서의 사용 가능성, 기능성 식품 신소재로서 개발의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나물는 무엇에 이용되고 있는가? 일년생 초본으로 높이 20~70 cm이고, 표면을 제외한 전체에 긴 갈색 털이 나 있고 황무지의 잡초 밭에서 자생하며, 우리나라 전국에 널리 분포한다(Shin et al 1999). 활나물은 pyrrolizidine alkaloids(PAS)계인 monocrotaline을 생합성하며(Anon R 1975), PAS는 마우스육종 180, 백혈병 L615, Walker 암 256 등의 치료에 외용, 내복 및 주사제로 이용되며, 중국에서는 민간약으로써 피부암, 자궁경부암, 음경암, 유선암, 위암, 간암, 식도암, 폐암, 만성기관지염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Atal & Sawhney 1973, Scbaeffer et al 1989). 활나물에는 monocrotaline이라는 특정 성분이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monocrotaline 성분의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Lee & Lin 1988).
활나물에서 무슨 성분이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가? 활나물은 pyrrolizidine alkaloids(PAS)계인 monocrotaline을 생합성하며(Anon R 1975), PAS는 마우스육종 180, 백혈병 L615, Walker 암 256 등의 치료에 외용, 내복 및 주사제로 이용되며, 중국에서는 민간약으로써 피부암, 자궁경부암, 음경암, 유선암, 위암, 간암, 식도암, 폐암, 만성기관지염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Atal & Sawhney 1973, Scbaeffer et al 1989). 활나물에는 monocrotaline이라는 특정 성분이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monocrotaline 성분의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Lee & Lin 1988). 활나물에는 monocrotaline이 전초에 0.
활나물(Crotalaria sessiliflora L.)은 두과식물인데 이는 종자 발아율이 매우 부진하고 타 작물의 발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자원화하기 어려웠는데 무슨 방법으로 해결되었는가? 4%가 함유되어 있고, 또 다른 alkaloid 계통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 성분들에 의해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Kang et al 2001). 그러나 활나물은 종자발아율이 매우 부진하고 타 작물의 발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자원화 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으나, 최근 활나물 종자의 휴면 타파를 위해 저온 처리 방법, 저온 대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gibberellin(GA3)이 종자의 수분 상태를 조절하는 KNO3와 경실종자의 종실 연화 처리가 휴면을 타파하여 발아율을 높이는 방법이 개발되어 활나물의 대량 증식이 가능하게 되었다(Kang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MS, Cho HS (1999) Antioxidative effect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perilla flour on soybean oil. Korean J Food Cookery Sci 15: 55-61. 

  2. Anon R (1975) Group Shan Dong province. Res Chin Mat Med 6: 95. 

  3. Atal CK, Sawhney RS (1973) The pyrrolizidine alkaloids from Indian Crotalarias. Indian J Pharm 35: 1-12. 

  4. Blois MS (1954)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5. Choi CS, Song ES, Kim JS, Kang MH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6-1220. 

  6. Choi YH, Kim MJ, Lee HS, Yun BS, Hu C, Kwak SS (2001) Antioxidative compounds in aerial parts of Potentilla fragariodes. Korean J Pharmacogn 29: 79-85. 

  7. Chung SK (1997) Hydroxy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spe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iosci Biotech Biochem 61: 118-123. 

  8. Halliwell B, Gutteridge JNC (1999a) Hydrogen peroxide. In: Halliwell B, Gutteridge J.N.C.(Eds.),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 82-83. 

  9. Halliwell B, Gutteridge JNC (1999b) Mechanism of damage of cellular targets by oxidative stress: lipid peroxidation. In: Halliwell B, Gutteridge J.N.C.(Eds.),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 284-313. 

  10. Jang JK, Han JY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11. Kang JH, Kim YJ, Jeon BS (2001) Effect of presown cold stratification, G.A3, KNO3 and acetone treatment on germination of Crotalaria sessiliflor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9: 124-129. 

  12. Kang MH, Choi CS, Kim JS, Chung HK, Min KS, Park CK, Park HW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leaves, seed, branch and aerial part of Crotalaria sessilifl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98-1102. 

  13. Kang MH, Park CG, Cha MS, Seong NS, Chung HK, Lee JB (2001)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each extract prepared by different extract methods from by-products of Glycyrrhizia uralen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8-142. 

  14. Kang MJ, Shin SR, Kim KS (2002) Antiox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 9: 253-259. 

  15. Kang OJ, Jang JH, Choi HS, Cheong HS (2007) A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according to leaching conditions in distilled wat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65-172. 

  16. Kim YC, Chung SK (2002) Relative oxygen radical species scavenging effects of Korean medicinal plant leaves. Food Sci Biotechnol 11: 407-411. 

  17. Lee H, Lin JY (1988)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from anticancer drugs in Chinese medicine. Mutation Res 204: 229-234. 

  18. Lee SO,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19. Leibovitz BE, Siegel B (1980) V. Aspects of free radical reactions in biological systems. Aging J Gerontology 35: 45-56. 

  20.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1. Monach C, Morand C, Crespy V, Demigne C, Taxier O, Regerat F, Remesy C (1998) Quercetin is recovered in human plasma as conjugated derivative which retain antioxidnat properties. FEBS Lett 426: 331-336. 

  22. Muller HE (1985)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s on an ABTS peroxidase medium. ZBl Bakt Hyg 259: 151-155. 

  23. Ra KS, Suh HJ, Chung SH,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 chnol 29: 595-600. 

  24. Rice E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 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 and phenolic acid.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25. SAS (2000) User's guide. SAS Institute, Cary, NC, USA. 

  26. Scbaeffer ST, Zalkow LH, Teja AS (1989) Extraction of monocrotaline from Crotalaria spectabili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carbon dioxide-ethanol mixtures. Biotechnol. Bioeng 34: 1357-1365. 

  27. Shin MK, Song HJ, Kang YS, Ryu, HS, Han DS, Kang KU, Baek SH (1999) Development of anticancer agents from 46 Korean medicinal plants. Part 13. Studies on the cytotoxicity and antitumir activity of Herba Crotalaria sessiliflora L. Korean J Pharmacogn 30: 130-136. 

  28. Woo NRY, Kim TS, Park CG, Seong HJ, Ko SB, Jung JW, Kang MH (2005)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rotalaria sessiliflor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97-1301. 

  29. Yoo MA, Chung HK, Kang MH (2004) Optimal extract methods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coat of grape dreg.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34-1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