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의 천문학적 시상 패턴
Patterns of Astronomical Seeing at KSA SEM Observatory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0 no.4, 2009년, pp.485 - 494  

강임석 (한국과학영재학교) ,  이경훈 (한국과학영재학교 물리지구과학부)

초록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의 천문학적 시상 패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측지의 시상 상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관측지에서 시상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부산 지역에서 시상에 관한 체계적인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천문대에서는 2008년 5월부터 SBIG사의 시상 모니터를 도입, 매일 시간별 시상을 꾸준히 측정하고 있다. 시상 측정은 CCD로 직접 천체 이미지를 촬영하여 FWHM지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지난 8개월 동안 시상 모니터를 운영하면서 얻어진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에서의 시상 자료를 바탕으로 KSA SEMO에서의 시상 패턴을 'Sunset/sunrise Effect', 'Extreme Fluctuation', 'Sudden Increment', 'Daily Variation', 'Stable Condition' 등으로 분류하였다. 시상은 전반적으로 오전 1시에서 3시까지가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름의 시상이 겨울보다 좋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port patterns of astronomical seeing at KSA SEMO (Korea Science Academy Space Earth and Man Observatory). Though the data of the seeing measured at the local observatory is essential in identifying the seeing of the observatory, systematic measurement of seeing has not been made in Pusan yet. F...

주제어

참고문헌 (22)

  1. Babcock, H.W., 1953, The possibility of compensating astronomical seeing.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65, 229-236 

  2. Barletti, R., Ceppatelli, G, Paterno, L., Righini, A., and Speroni, N., 1977, Astronomical site testing with balloon borne radiosond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4, 649-659 

  3. Birney, D.S., 1998, Observational Ast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00 p 

  4. Coulman, C.E., 1985, Fundamental and applied aspects of astronomical seeing.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23, 19-57 

  5. Hardy, J.W., 1998, Adaptive optics for astronomical telescopes. Oxford University Press, NY, USA, 10p 

  6. Keller, G, 1953, Astronomical 'seeing' and its relation to atmospheric turbulence Part 1. The Astronomical Journal, 58, 113-125 

  7. Khetselius, v.G and Tertitskii, M.l., 1976, Short-term forecasting of astronomical seeing conditions. Pis'ma v Astronomicheskii Zhurnal, 2, 315-216 

  8. Lawrence, IS., Ashley, C.B.A., Tokovinin, A., and Travouillon, T., 2004, Exceptional Astronomical Seeing Conditions Above Dome C in Antarctica. Nature, 431, 278-281 

  9. Lee, SJ. and Hyung, S., 2008, Photoionization Models for Planetary Nebulae: Comparison of Predictions by NEBULA and CLOUD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419-427 

  10. Loewenstein, R.F., Bero, C., Lloyd, IP., Mrozek, F., Bally, I, and Theil, D., 1998, Astronomical Seeing at the South Pole. ASP Conference Series, 141,296-302 

  11. Murtagh, F. and Sarazin, M., 1993, Nowcasting astronomical seeing: A study of ESO La Silla and Paranal.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05, 932-939 

  12. Neimeier, D., Teare, S.w., Klinglesmith, D., Loos, G, Euart, N., Truesdell, L., and Romeo, v., 2003, Astronomical seeing at the Magdalena Ridge Observatory. The Observatory, 123, 25-31 

  13. Peach, D., 2006, Predicting astronomical seeing in the UK.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y Association, 116, 11-14 

  14. Shcheglov, P.Y. and Guryanov, A.E., 1991, Astronomical seeing at several sites in the USSR. Soviet Astronomy, 35, 632-638 

  15. Vemin, J. and Munoz-Tunon, C., 1984, Optical seeing at La Palma Observato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1. General guidelines and preliminary results at the Nordic Optical Telescope, 284, 311-318 

  16. Walker, M.F., 1971, Polar Star-Trail Observations of Astronomical Seeing in Arizona. Baja California, Chile, and Australia.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83, 401-422 

  17. Wilson, R.W., O'Mahony, N., Packham, c., and Azzaro, M., 1999, The seeing at the William Herschel Telescope. 309, Monthly Not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79-387 

  18. Yoo, K.H., Kim, K.M., Lee, B.C., Yoon, T.S., Lee, l.A., and Kang, Y.H., 2005, Spectral line Variations of the Symbiotic Variable CH Cygni.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160-165 

  19. Yuk, I.S., Kyeong, J.M., Chun, M.Y., and Kwon, S.G, 2003, Measurement of seeing using a small telescope system.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18, 37-41 

  20.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http://klttest.kasi.re.kr/htrnI/GMT/gmUite.htm (Date: 2009.8.10) 

  2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ather Information: http://www.kma.go.kr/(Date: 2009.8.8) 

  22. SBIG Seeing Monitor Online Catalogue: http://www.sbig.com/sbwhtrnls/online.htm (Date: 2009.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