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의 실내공기 중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bial Pollution of Indoor Air at Elderly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0 no.9, 2009년, pp.2485 - 2491  

김상하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 ,  김영권 (건양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7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2개월 동안 1개 광역도 1개 도농복합도시 지역의 노인요양시설 5곳을 대상으로 실내 외의 공기 중 바이오에어로졸 조사하기 위해 관성충돌 채취법을 적용한 미생물 채취기인 air $IDEAL^{TM}$(Biomerieux)를 이용하여 면양혈액한천배지와 Sabouraud Dextrose Ager를 사용하여 채취하여 배양하였다. 배양하여 분리 동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설별 전체 미생물의 분리는 300 L 실내에서 S 요양원이 263 cfu/$m^3$로 가장 많았고, U 요양원이 123 cfu/$m^3$로 가장 낮은 수가 분리되었다. 2. 실내에서 300 L를 채취한 배지에서 분리된 세균의 수는 기타 동정되지 않거나 비병원성 그람양성구균이 321개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기타 그람양성구균의 대부분은 CNS(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이었다. 3. 실내에서 300 L를 채취한 배지에서 분리된 진균의 수는 Aspergillus spp. 가 66개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다음으로 Mucor spp. 62개, Penicillium spp. 53개, Alternaria spp. 50개, 기타 동정되지 않거나 비병원성 진균들이 42개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4. 실내 외의 오염비율은 실외보다는 실내에서 모두 평균 집락수가 많았으며, 300 L와 500 L의 공기량의 차이를 둔 조사에서는 공기량이 많을수록 양적으로는 많은 세균이 검출되었지만 균종으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lture was performed by using Sheep Blood Agar Plate (BAP, Asan Pharmaceutical) and Sabouraud Dextrose Ager (SDA, Asan Pharmaceutical) along with air $IDEAL^{TM}$ (Biomerieux), which is a microbe interceptor based on inertial impaction interception, in order to investigate bioaerosol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1개 광역도 1개 도농복합도시의 일부 노인요양시설 5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내 미생물 오염상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적절한 실내 환경유지를 위한 미생물 오염 방지 및 개선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노인요양시설의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 공기를 통해 미생물에 의한 질병의 전파는 공중보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내 생활환경의 미생물 분포에 대한 연구는 공기 중 미생물 오염에 대한 조사는 주로 세균을 대상으로 실내로 이루어져 왔으나, 본 조사에서는 도시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농촌지역의 면역력이 약한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실내 공기 중 미생물 오염도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리된 진균 중 Mucor spp.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분리된 진균 중 Mucor spp.는 야채나 과일에서 부패를 일으키기 때문에 부패한 과일이나 야채를 먹음으로써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매우 드믈게 모균증(zygomycosis)과 외이도 감염증과 알러지를 일으키기도 한다. Aspergillus spp.
공기의질에 관심이 커진 이유는? 현대인은 하루 시간 중 90% 이상의 많은 시간을 실내공간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실내환경의 공기의질(Indoor Air Quality, IAQ)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현대 건물의 실내공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공기오염물질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미세입자, 바이오에어로졸(microbiological indoor pollutants, bioaerosol)등이 있으며, 바이오에어로졸에 존재하는 주요 감염원으로는 꽃가루, 집 먼지, 진드기 등의 배설물, 각종독소(toxin) 등의 배양이 되지 않는 것(non-viable)과[2,3] 곰팡이, 결핵균, 레지오넬라균 등의 일반세균이 포함된 배양 가능한 것)으로 구분된다[4,5].
공기오염물질은 무엇이 있는가? 현대인은 하루 시간 중 90% 이상의 많은 시간을 실내공간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실내환경의 공기의질(Indoor Air Quality, IAQ)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현대 건물의 실내공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공기오염물질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미세입자, 바이오에어로졸(microbiological indoor pollutants, bioaerosol)등이 있으며, 바이오에어로졸에 존재하는 주요 감염원으로는 꽃가루, 집 먼지, 진드기 등의 배설물, 각종독소(toxin) 등의 배양이 되지 않는 것(non-viable)과[2,3] 곰팡이, 결핵균, 레지오넬라균 등의 일반세균이 포함된 배양 가능한 것)으로 구분된다[4,5].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환경에서의 생물학적 오염원인 세균, 곰팡이 등은 다습하고 공기의 질이 나쁠 경우 잘 증식하게 되며[6], 이중 기회감염균이 공기를 매체로 하여 폐 및 기타 기관에 전달되면 호흡기 및 알러지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경희. 산업체 작업환경에서 실내공기의 세균오염도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논문, 1996. 

  2. 김철홍, 최정윤, 손명현, 이경은, 김규언, 이기영. 서울 지역 실내외 공기 중의 곰팡이포자수 분포에 관한 다가구 조사. 소아과 천식 및 알레르기 2001;21(5): 970-976 

  3. 김윤신. 한국의 실내 공기질 현황과 문제점. 제 25회 보건학종합학술대회. 서울시. 2000 

  4. 최종태, 김윤신. 병원내 공기중 미생물의 농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환경위행학회지 1993; 19(1): 30-36 

  5. Macher, J.M., M.W.First. Personal air sampler for measuring occupational exposures to biological hazards. Am. Ind. Hyg. Assoc. J., 45, 76, 1984 

  6. 안태석. 대기중의 미생물의 검출과 측정방법. 공기청정기술 2000; 13(2): 60-69 

  7. 김윤신.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부 1999 

  8. 배경숙. 실내 미생물 제어기술 - 주거환경의 곰팡이 대책. 제 16회 공기청정기술 세미나 1999; 73 

  9. 이철민, 김윤신, 이태형, 박원석, 홍승철. 다중이용시 설내 공기중 바이오에어로졸 농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2004; 13(3): 215-222 

  10. Burge, H.A., Pierson, D.L., Groves, T.O., Strawn, K.F., and Mishra, S.K. Dynamics of airborne fungal populations in a large office building. Curr. Microbiol 2000; 40: 10-16 

  11. Burge, H.A., Pierson, D.L., Groves, T.O., Strawn, K.F., and Mishra, S.K. Dynamics of airborne fungal populations in a large office building. Curr. Microbiol 2000; 40: 10-16 

  12. 김윤신, 이은규, 엽무중, 김기영.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실내공기 중 미생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002; 28(1): 85-92 

  13. 정낙은, 정세윤, 정용호, 김신규, 최태열, 김춘원, 김기홍. 공기오염측정기(RCS Air Sampler)를 이용한 병원내 공기오염도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임상병리학회지 1986; 6(1): 117-123 

  14. 조현종. 일부종합병원 내 영역별 공기 중 미생물평가.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업보건대학원 석사 논문, 1998 

  15. 박천제. 병원지하공간내의 공기중 미생물 분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97. 

  16. 하권철. 미생물을 이용한 일부병원, 가정 및 일반 대기질의 평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1991; 10-12 

  17. Morey, P., Otten, J., Burge, H. Airborne viable microorganism in office environments sampling protocol and Analytical procedures. Appl. Ind. Hyg. 1986; 1(1): R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